• 제목/요약/키워드: Cotton medium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3초

제지 부산물을 이용한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자실체 형성용 염가배지개발 (Development of Cheap Substrate for Fruiting of Pleurotus ostreatus using Paper Sludge)

  • 조우식;윤영석;박선도;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74호
    • /
    • pp.197-201
    • /
    • 1995
  • 느타리버섯 재배에 있어서 배지재료로 제지부산물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배지재료별 화학특성은 제지부산물이 폐면, 볏짚, 왕겨보다 CaO는 많았고, T-C, T-N, $P_2O_5$, MgO는 비슷하였으며 $K_2O$는 현저히 적었다. 균사생장은 혼합처리가 폐면단용보다 생장이 다소 빠르거나 비슷한 경향이었다. 초발이소요일수는 폐면단용보다 혼합처리가 비슷하거나 $1{\sim}2$일 정도 빠른 경향이었다. 배지종류별 수량은 폐면단용에 비해 폐면 10+왕겨 20+제지부산물 70% 처리를 제외하고는 증수되었으며, 특히 계면+제지부산물 30% 혼합처리가 21% 증수되어 가장 우수하였다. 경제성분석결과 폐면단용보다 폐면+제지부산물 30% 혼합처리에서 소득지수가 50% 높게 나타났다.

  • PDF

인터넷에서의 소재 평가에 대한 연구 -실물과 영상에서의 면직물 유사성 평가- (The evaluation of fabric on the Internet -The difference of cotton fabric texture perceived between on-line and off-line-)

  • 신혜원;이정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3_4호
    • /
    • pp.396-40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cotton fabric texture perceived between on-line(screening fabric) and off-line(real fabric), and to analyze fabric characteristics having an effect on the difference. The similarity of 55 various cotton fabrics perceived between on-line and on-line were measured showing simultaneously real fabrics and screening fabrics by 7-scale questionnai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tton fabrics such as weave structure, thickness, weight, fabric density, stiffness, Hunter's L, a, b, and hue were measured. Cotton fabric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by extent of similar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ft density, stiffness, Hunter's L, a, b, and hue among 3 group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ave structure, thickness, weight, warp density, and difference of warp & weft density. The fabrics having large similarity were thick and heavy, had small warp density and difference of warp & weft density, and distinct surface texture. The group having medium similarity included fabrics of medium thickness and weight, having weak surface texture, large warp density and difference of warp & weft density. The group having small similarity, which the differences between on-line and off-line were large, included thin and light fabrics having smooth surface and large warp density and difference of warp & weft density.

High Frequency of Callus Induction, its Proliferation and Somatic Embryogenesis in Cotton (Gossypium hirsutum L.)

  • Haq, Ikram-ul;Zafar, Yusuf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55-61
    • /
    • 2004
  • Callus induction and somatic embryogenesis are fundamental to cotton tissue culture biotechnology. An efficient protocol for callus induction, somatic embryogenesis and their maturation have been developed to regenerate plantlets from cotton (Gossypium hirsutum L.) variety coker 312. Embryogenic callus was initiated from hypo-cotyl region that was used as an explant at seedling stage when it was about 7-8 days old. Callus induction was achieved through culturing hypocotyls (5-7mm) on $MS_{1a} medium supplemented with 2,4-D (0.1 mg/L) and KT (0.5 mg/L) for six weeks. A friable, colorless, bulky and well proliferating callus becomes greenish with the addition of NAA (2.0 mg/L), ZT (0.1 mg/L) and removal of 2,4-D (M $S_{1b}$) cultured for two weeks then again transferred to $MS_{1a}.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promoted the proliferation of embryogenic callus, bu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and germination of somatic embryos. ZT (0.1mg/L) and activated charcoal (2g/L), both hormones play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on and germination of somatic embryos in hypocotyls derived embryogenic callus but in case of cotton, such a capability have been observed on MS medium with 1.92 g/L $KNO_3$, but it is considered to attain somewhat more improvement. High embryogenesis frequency was achieved through nutrient deficient stress treatment. The frequency of globular embryogenesis (two-three folds) was achieved when well proliferating callus was (from $MS_{1a}$ media) cultured on MS (1/5 strength) medium for four weeks. Here the development of anthocyanins is the best indicator for somatic embryogenesis. However, when embryoid callus was cultured on MS (full strength) medium, the globular embryos were developed into normal plantlets immediately. In this procedure 27.49% cotyledenary embryos were developed. Of that 70% cotyledenary embryos were developed not only into normal plantlets but rooted simultaneously, when cultured on MS (with 0.05 mgg/L giberrelic acid) medium. So complete plants could be regenerated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from hypocotyl explants within 6 months.s.

무살균 배지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재배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Using Non Sterilized Media)

  • 장현유;김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6-205
    • /
    • 2001
  • NSM으로 무살균 재배를 여러 가지 배지를 혼합하여 균사생장과 밀도, 오염율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울솜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 미강을 각각 10, 20, 30, 40%를 혼합하였을 때 옥수수강, 미강, 비트 순으로 균사생장과 밀도가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방울솜:옥수수강을 80 : 20(V/V)으로 혼합한 경우가 가장 양호하다. 특히 방울솜에 비트를 10% 이상 혼합하면 균사생장과 밀도가 현저히 불량한 특징이 있다. 둘째, 면자각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 미강을 각각 10, 20, 30,40%를 혼합하였을 때 비트, 미강, 옥수수강 순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방울솜과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면자각에 미강을 20%이상 혼합하면 잡균오염도 높아질뿐만 아니라 균사생장과 밀도도 현저히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셋째, 방울솜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를 각각 혼합한 경 우 방울솜:옥수수강:비트를 70:20:10(V/V)로 혼합한 배지가 가장 양호 하였다. 넷째, 면자각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를 각각 혼합한 경우 면자각:옥수수강:비트를 70:20: 10(V/V)로 혼합한 배지가 가장 양호하였다. NSM의 적정 약제 농도별로는 500배가 가장 좋았으나 2,000배액에서도 균사생장은 비교적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잡균오염율은 희석을 많이 하면 오염율이 높았다. NSM 배지의 적정수분함량은 77%가 적당하였으며, $25^{\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 균사밀도와균사속도가 양호하였다. NSM에 배지를 침지한 시간별로 조사한 결과 침지한 즉시 꺼내어 접종한 것이나 32시간 동안 침지한 것이나 동일한 효과가 있었으며 48시간 이상 침지하면 균사속도와 균사밀도가 약간 나빠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NSM에 침지한 즉시 꺼내어 접종하면 균사생장과 균사밀도가 양호하였다. 즉 N.S.M을 이용하여 느타리버섯 폐면재배에 있어서 방울솜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 비트, 미강을 혼합하여 균사생장, 균사밀도, 잡균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방울솜에 옥수수강을 20~30% 혼합하였을 때 균사생장이 76mm/10일 정도로 가장 양호하였고 균사밀도도 양호하였다.

  • PDF

카티온화 면직물의 치자와 소목에 의한 혼합염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bination Dyeing of Cationized Cotton Fabrics with Gardenia and Sappan Wood)

  • 성우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2-88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ombination dyeing of the cationized cotton with natural colorants extracted from Gardenia and Sappan wood extract using methanol. To improve dyeing properties of cotton with natural dye, cotton fabric was preheated with cationizing agent containing chlorohydrine group in aqueous solution of sodium hydroxide. On the whole the various medium colors were developed by repeat dyeing with different colorants after dyeing with one colorant in case of natural dyeing, In this study, however in order to obtain various colors on cationized cotton fabrics with natural dyes, pre-mordanting and combination dyeing were carried out. The various colors were obtained according to various metal compounds for pre-mordants and various mixing portion of Gardenia and Sappan wood. Metal compounds containing alum, copper and iron were used for pre-mordants.

느타리버섯 병재배 면실박 대체배지 선발 (Selection of substitute medium of cotton seed pomace on the oyster mushroom for bottle cultivation)

  • 김정한;하태문;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05-108
    • /
    • 2005
  • 톱밥:비트펄프:면실박(50:30:20) 배지의 면실박 대체배지로서 아주까리박, 유채박을 사용한 경우 C/N율은 대조와 유사하였고, 야자박, 코코넛박을 이용한 배지에서는 대조보다 높은 C/N율을 나타났다. 아주까리박, 유채박 사용시 배양일수는 2~5일, 초발이소요일수는 2일 지연 되었고 수량 또한 대조보다 20g이상 낮게 나타났으며 야자박, 코코넛박 사용시 배양일수는 3일 지연되었으나 수량은 관행재배 128g/병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결과, 미송톱밥:비트펄프:면실박(50:30:20)의 관행재배에서 면실박 대체배지로 야자박, 코코넛박을 이용시 1000병규모로 연간 8.2회 재배 경우 소득이 각각 2,864천원, 2,733천원으로 관행재배의 2,849천원 대비 101%, 96%의 소득지수를 보였다.

  • PDF

팔레높시스의 PLB 증식에 미치는 배지와 배양온도 및 광도의 영향 (Effect of Culture Medium,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on PLB Propagation of Phalaenopsis)

  • 김미선;은종선;김재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15-219
    • /
    • 2001
  • 팔레높시스 대량생산시 PLB 증식에 미치는 배지와 배양환경에 대해 조사하였다. PLB 증식량은 MS배지에서 높았지만, 증식된 PLB상태는 NDM배지가 더욱 양호하였다 천연첨가 물인 CW 10% 또는 사과와 감자의 사용은 PLB 증식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이었다. 배지내 지지물에 따른 PLB 증신률은 gelrite가 첨가된 고체배지가 흰색과 분홍색계통 모두 액체탈지면 배지보다 증식이 양호하였다. PLB 증식시 적정 sucrose 농도는 10g/L이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PLB가 유식물체로 재분화되었고 저농도 일수록 증식과 유식물체의 재분화가 모두 억제되었다. PLB증식을 위한 적정 PPF와 온도는 각각 14.3 $\mu$mol.s$^{-1}$m$^{-2}$ , $25^{\circ}C$이었다.

  • PDF

Aspergillus niger와 A.fumigatus에 의한 면직유에 대한 열화 (The Deterioration of Cotton Fiber Caused by Aspergillus niger and A.fumigatus)

  • 홍정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
    • /
    • 1987
  • The effects of Aspergillus niger H-18(AN) and A.fumigatus E-29(AF) on the deterioration of test materials were examined. 1. When the fungi were inoculated to the cotton fibers placed on Czapeck agar, malt extract agar, and potato agar, they grew best on potato agar which in that context was chosen as a basal medium for deterioration studies. The tensile strength of ontton fiber on which AN was grown for 30 days decreased by 33.9% with a concommitant increase in elongation by 43.1%. 2. Cotton fabric lost the weight by 1.35%, when inoculated with AN while it lost the weight by 0.86% when inoculated with AF. 3. When AN and AF were inoculated separately on cotton fibers, tensile strength decreased by 52.8% and 43.3%, respectively, with concommitant increases in elongation by 34.2% and 29.4%, respectively. 4. The cotton was damaged more severely by AN than AF, when they we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PDF

에탄올 생산을 위한 효모 Pichia stipitis의 고정화 (Immobilization of Yeast Pichia stipitis for Ethanol Production)

  • 이상은;이지은;김은진;최준호;최운용;강도형;이현용;정경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08-515
    • /
    • 2012
  • Cotton을 효모 세포($Pichia$ $stipitis$)의 고정화 담체로 사용하기 위하여 2-(diethylamino)ethyl chloride hydrochloride (DEAE HCl)로 derivatization 시켰다. 0.5 M DEAE HCl로 처리하였을 때, 효모 세포가 완전히 흡착하였으며, 이것은 DEAE-cotton g 당 101.8 mg의 효모 세포가 흡착하는 것이고, DEAE-cellulose에 효모 세포가 흡착하는 양의 약 6배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DEAE-cotton을 이용하여 효모 세포를 고정화하고, 이것을 ethanol 생산에 이용하였을 경우, glucose와 xylose가 포함된 배지에서 단당류에 대한 ethanol 수율로 0.33 정도로 ethanol을 생산 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lignocellulosic bomass의 가수분해물로부터 bioethanol 생산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DEAE-cotton에서 얻어진 결과는 DEAE-cellulose에서 같은 실험을 실시하여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한방재료를 이용한 느타리버섯의 배지개발 (Medium Development of Pleurotus Ostreatus by Using Korean Herb Medicine Materials)

  • 정주교;이창윤;이상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50-656
    • /
    • 2012
  • 느타리버섯의 생산단가를 절감할 목적으로 한의원 등에서 폐기처리 되고 있는 한방슬러지를 수거하여 느타리 버섯 배지의 개발을 행하였다. 한방재료의 일반성분을 검토한 결과 조회분 함량은 홍화대와 지리오갈피가 11.6%와 10.1%를 나타내어 대조구인 폐면의 9.6% 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지방 함량은 모든 시험구에서 대조구인 폐면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 함량은 폐면배지에서는 9.8%로 검출되었으나 야생 쑥, 지리오갈피, 한방슬러지 및 홍화대에서는 각각 14.9%, 13.9%, 13.4% 및 11.5%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방슬러지, 야생쑥 및 지리오갈피의 pH는 5.27~5.72 범위로 폐면이 나타낸 pH 5.70과 거의 같은 수준이었다. 느타리버섯의 균사 성장에 미치는 각 한방재료의 첨가농도는 3% 및 6%의 첨가보다 9%의 첨가구에서 느타리버섯 균사의 성장이 양호하였다. 그러나 한방재료의 첨가는 $P.$ $tolaassi$의 생육 및 $Trichoderma$ $sp.$의 생육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폐면배지에 9%의 한방슬러지를 첨가하여 실시한 현장 실험결과 버섯의 균사생장은 폐면배지에서 보다 약 2~3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고, 버섯의 수확량은 10~15% 정도 증수되었으며 또한 버섯의 대 및 갓 등이 균일하고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