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s material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32초

포공영을 이용한 마이크로캡슐 에멀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icrocapsule Emulsion Containing Taraxacum platycarpum)

  • 조우아;김영훈;장민정;천순주;이진태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45-148
    • /
    • 2007
  • The aims of this study was assess to preparation and stability of emulsion containing Taraxacum platycarpum ethanol extract our team was found to shape and size of capsule by optical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n the stability test of the emulsion including Taraxacum platycarpum ethanol extract, it was stable of pH, viscosity during 30days. According to all the test results that have been given, it is possible that the ethanol extract of Taraxacum platycarpum can be used as a new cosmetics material.

  • PDF

실리카-골드 복합체의 합성 연구 (Preparation of Silica-Gold Composite particles)

  • 김대욱;심승보;전용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365-5369
    • /
    • 2011
  • 실리카-골드 복합체 입자를 함침법에 의하여 합성하였고, 용매와 전구체가 실리카-골드 입자 합성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되었다. 구형 실리카 입자를 지지체로 하여 PVP, hydrogentetrachloroaurate(III) hydrate 수용액을 전구체로 사용했을 때, 연한 분홍색 색상을 띄는 실리카-골드 입자가 성공적으로 합성되었다. 합성된 복합체의 특성은 FE-SEM, FE-TEM과 XRD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새로운 화장료 함침재의 개발과 이를 활용한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Novel Cosmetics Impregnation Material and Study on Makeup W/O Emulsions using It)

  • 강성수;김현정;오세웅;박상욱;김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7-33
    • /
    • 2017
  • 지금까지 저점도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을 함침재에 침적시켜 휴대 간편성과 사용 편리성을 높인 화장품이 개발되어 왔다. 종래에는 주로 경도가 높고 다공의 망상구조를 갖는 폴리우레탄 스펀지가 함침재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스펀지는 구조적인 특성상 화장료 함침이 잘 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초기 토출량이 높고, 사용 횟수에 따라 토출량의 감소가 큰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발포형태의 스펀지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특징을 갖는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목적에 맞는 다양한 소재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natural rubber (NR)와 styrene butadiene rubber (SBR)의 조합을 통해 성형성이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적절한 흡수 및 배출 능력을 가지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함침재는 고무와 같은 탄성성질의 부드러움과 높은 신율 및 균일한 토출력을 가지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오일의 극성도(polarity)에 따른 신규 스펀지의 특성을 이해하고,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의 점성을 조절하여 메이크업 제품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새로운 특성을 갖는 화장료 함침재로써의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이용한 베이비파우더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by Powder Using Silk gland Powder of Silkworm)

  • 전정우;권해용;조유영;류강선;이광길;여주홍;강필돈;남성희;박광영;김미자;박명기;손용호;김성현;김상규;임성빈;최병훈;하수연;이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0-26
    • /
    • 2012
  • In this study, silk gland powder of silkworm were investigated to see the possibility for baby powder cosmetics materials. To test possibility as a baby powder cosmetics, total content rate of amino acid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MTT assay, and clinical trial were don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mino acids of silk gland powder, serin (26.77%) content was the highest and asparatic acid (15.47%), and glycine (9.62%) were follow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ilk gland powder was lower than vitamin C by 82.3% and 97%, respectively, which is relatively good. Moisture effect were increased in silk gland powder compared to control cosmetics by 50%. Also, silk gland powder was classified as a practically non-irritating material based on the score 0.05 of primary irritation index.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lk gland powder of silkworm may have beneficial properties as a material for baby powder cosmetics.

녹두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에 관한 임상 연구 (Clinical Studies on the Anti-Irritation Effects of Mung Bean (Phaseolus aureus) Extract in Cosmetics)

  • 안기웅;강태원;정지헌;조병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3-28
    • /
    • 2004
  • 본 연구는 화장품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자극원에 대한 녹두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임상연구에 관한 것이다. 녹두는 해독 작용이 탁월하여 예로부터 민간요법이나 화장료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녹두의 생물학적인 효능 및 구성 성분을 구체적으로 밝혀낸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우리는 기존의 연구를 통하여 녹두의 에탄을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이러한 효능을 제공하는 유효물질인 비텍신(vitexin)과 이소비텍신(isovitexin)을 분리해낸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녹두추출물의 항염증 기작을 살펴보고자 흰쥐 복강 비만세포로부터의 항원 유도성 히스타민 유리 억제능 및 5-lipoxygenase 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녹두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히스타민 유리를 억제시켰지만 5-lipoxygenase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현재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극 유발 물질인 lactic acid, retinol, 방부제 등에 대한 녹두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임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체 첩포시험 결과, 5.0% lactic acid, 4000 IU retinol, 1.0% Preservative mixture가 들어간 제형에 2.0% 녹두추출눌을 첨가할 경우 각각 60%, 30%, 50% 정도의 우수한 자극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주관적인 자극을 평가하는 피부 자극감시험 결과도 2.0% 녹두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에서 약 50∼30%의 자극완화 효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3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4주간 실시한 double-blind usage test 결과 역시 녹두추출물을 화장품에 사용하였을 경우 우수한 항자극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단풍잎돼지풀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B16F10 세포에서의 미백 활성 검증 (Verification of the Antioxidant Effects and Whitening Activity of fermented Ambrosia trifida L. Extracts in B16F10 Cells)

  • 유단희;오민정;염현지;이진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56-563
    • /
    • 2020
  • 본 연구는 단풍잎돼지풀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검증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전자공여능 측정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단풍잎돼지풀 발효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1,000 ㎍/ml 농도에서 68.4%의 효과를 보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같은 농도에서 58.7%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효과를 Tyrosinase의 효소 억제 활성에 의해 측정한 결과, 1,000 ㎍/ml 농도에서 32.4%의 저해활성 효과를 보였다. 세포 차원에서 미백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단풍잎돼지풀 발효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멜라노마 세포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100 ㎍/ml 농도에서 85.2%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인 100 ㎍/ml 농도 이하에서 western blot을 진행하였다. 단풍잎돼지풀 발효 추출물의 단백질 발현억제 효과를 25, 50, 100 ㎍/ml의 농도에서 western blot으로 측정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β-act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100 ㎍/ml 농도에서 MITF, TRP-1, TRP-2, Tyrosinase인자들은 각각 51.14%, 55.4%, 38.6%, 83.77%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단풍잎돼지풀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가 검증되었으며, 화장품 천연물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의 자기조직체 형성공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의 자외선차단 상승효과

  • 조현대
    • 세라미스트
    • /
    • 제19권3호
    • /
    • pp.26-35
    • /
    • 2016
  • 화장료의 UV차단과 은폐효과를 갖는 이산화티탄을 사용하여 자기조직체 형성공법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을 제조하고 형태, 성질, 공정의 최적조건과 자외선차단 개선을 확인하였다.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은 마이크로 이산화티탄(250~300nm)의 표면에 나노 이산화티탄(20~30nm)을 자기조직체 형성공법을 이용해 결합시킨, 이산화티탄 대 이산화티탄의 결합체를 말한다.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 제조의 최적조건을 알아내기 위해 (-)을 띄는 마이크로 이산화티탄의 표면에 양이온의 링크로 써 $AlCl_3$를 농도별로 조정하고, 그에 따른 마이크로와 나노 이산화티탄의 투입비율을 달리하여 각각의 조건에서 만들어진 시료를 광학분석, 입도분석, 전위차분석 등을 이용해 확인하고 최적의 제조 조건을 알 수 있었다. 최적의 제조 조건에서 만들어진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의 자외선차단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이 첨가된 화장료와 사용된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과 같은 비율의 마이크로와 나노 이산화티탄을 첨가한 화장료의 SPF in-vitro를 측정하였고, 15%내지 30%의 자외선차단 상승 효과를 확인하였다.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의 자기조직체 형성공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의 자외선차단 상승효과 (Synergy Effect of Sun Protection Factor Using Method of Forming Self-Assembly of Hybrid Titanium Dioxide)

  • 조현대;박수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48-758
    • /
    • 2014
  • 화장료의 UV 차단과 은폐효과를 갖는 이산화티탄을 사용하여 자기조직체 형성공법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을 제조하고 형태, 성질, 공정의 최적조건과 자외선차단 개선을 확인하였다.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은 마이크로 이산화티탄(250~300nm)의 표면에 나노 이산화티탄(20~30nm)을 자기조직체 형성공법을 이용해 결합시킨, 이산화티탄 대 이산화티탄의 결합체를 말한다.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 제조의 최적조건을 알아내기 위해 (-)을 띄는 마이크로 이산화티탄의 표면에 양이온의 링크로써 $AlCl_3$ 를 농도별로 조정하고, 그에 따른 마이크로와 나노 이산화티탄의 투입비율을 달리하여 각각의 조건에서 만들어진 시료를 광학분석, 입도분석, 전위차분석 등을 이용해 확인하고 최적의 제조 조건을 알 수 있었다. 최적의 제조 조건에서 만들어진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의 자외선차단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이 첨가된 화장료와 사용된 하이브리드 이산화티탄과 같은 비율의 마이크로와 나노 이산화티탄을 첨가한 화장료의 SPF in-vitro 를 측정하였고, 15%내지 30%의 자외선차단 상승 효과를 확인하였다.

STUDY OF SYNTHESIS, MATTER S PROPERTIES AND APPLICATION OF MICA/TIA$_2$/SIO$_2$PIGMENT IN COSMETICS AREA

  • Ju, Namgung;Lee, Dong-Kyu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1-58
    • /
    • 1998
  • Generally pigment differs from dye stuff because it cannot be melted in water but also because it is stable physically and chemically. In this study you will discover the function, properties and effects of Micai-TiO$_2$-SiO$_2$pigment as abase material pigment. But until now used Mica of the base material is about 7-l5${\mu}{\textrm}{m}$ with an average diameters of 15${\mu}{\textrm}{m}$. A new characteristic superficial pigment was obtained from covering the TiO$_2$ and SiO$_2$ with the adsorption result of isoelectric point of a Mica flake, TiO$_2$ and SiO$_2$In the composition reaction study of adsorption was done as well a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perficial texture of the obtained material. L,a,b of color change as oil was absorbed, optical nature and change of reflection according to direct and diffused reflection. In the composition of Mica slurry the best result obtained was in a solution with pH 2.0 to 2.3. Following this result, we can come to the idea that electrical attraction was done during the change of electrical charge of the Mica and TiO$_2$ deposit. Also this pigment shows a big scale between the direct reflection and diffused reflection light. Using this characteristic in cosmetic, it was obtained a natural but a contrast between light and shadow making possible a sculptured make-up. Color change due to oil adsorption was insignificant which improved the last of make up.

  • PDF

맥문동 뿌리줄기의 저장력 향상을 위한 기능성필름 활용 (Use of Functional Films for Storage of Seed Tuber in Liriope platyphylla)

  • 성은수;최재후;김희규;최승혁;김철중;이재근;유지혜;김나영;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6-301
    • /
    • 2018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ckaging material on the growth of rootstock of Liriope platyphylla. Methods and Result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wo types of packaging material,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functional film on the growth of the tubers of L. platyphylla, at $5^{\circ}C$. During the 16-weeks of storage period, the ratio of loss and decay of the tubers was examined at intervals of 4, 8, and 16 weeks to detect the quality of the plant. After 16 weeks of storage, the treated tubers were own. Subsequently,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leaves were recorded. The results revealed that functional film at $5^{\circ}C$ was the ideal material for the storage of L. platyphylla tubers. The rate of loss was the highest (57.42%) with a onion net and the lowest (22.12%) with a functional film. Similarly, the rate of tuber decay was highest (8.20%) using onion net and the least (4.60%) when the functional film was used. Conclusions: Thus, the use of the functional film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the storage of L. platyphylla tubers when compared with the LD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