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culture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9초

약용식물추출물의 광보호 효과와 항염증 효과 연구 (Photoprotec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hinese Medical Plants)

  • Jin-Hwa, Kim;Sung-Min, Park;Gwan-Sub, Sim;Bum-Chun , Lee;Hyeong-Bae, Pyo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7-233
    • /
    • 2004
  • 자외선이 피부에 지속적으로 조사되면 썬번, 염증, 광노화와 같은 다양한 부작용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광손상에 대한 보호작용은 점점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으며, 천연 식물추출물에서 자외선에 대한 광보호효과가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물질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손상에 대한 보호효과가 우수한 천연식물추출물에 대한 것이다. 향나무, 능소화, 비자추출물에서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라디칼에 대한 항산화효과, MMP 발현 및 활성 저해, 염증관련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 1알파, 6, 프로스타글란딘 E$_2$ 생성저해효과 등으로 피부세포보호 효과를 연구하였다. 실험결과 천연추출물 중 향나무추출물과 능소화추출물이 프리라디칼 및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피부 콜라겐과 같은 메트릭스를 분해하는 효소인 MMP-1의 활성 및 발현 저해효과는 섬유아세포에서 UVA 조사에 의한 실험에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피부세포 배양액에 대해 zymography를 실시하여 활성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피부 각질형성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염증관련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 6의 발현량 실험에서도 무처리군에 비해 향나무추출물이 인터루킨 6을 30% 정도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며, 염증반응 중 cyclooxygenase(COX)에 의한 경로에서 생성되는 프로스타글란딘 E$_2$의 생성량도 감소시켰다. 사람피부에서 SLS (0.5%) 첩포로 유발된 자극성 피부염의 항염증 효과 평가 시 SLS에 의해 유발되는 자극정도가 피검자의 피부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향나무 추출물 함유 에멀젼 제품 도포 실험에서는 피부 홍반 완화 효과와 피부장벽 회복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향나무추출물은 자외선 조사 및 SLS에 의한 피부손상에 대한 피부세포보호작용이 우수하여 광노화에 대응하는 자극완화 소재로서의 화장품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천연물 유래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신소재 개발 (Development of New Natural Antioxidants for Cosmeceuticals)

  • 유익동;김종평;김원곤;윤봉식;유인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9-357
    • /
    • 2005
  • 미생물, 버섯류, 약용식물 등 천연물 대사산물로부터 미백, 주름개선용 화장품 신소재로 활용 가능한 항산화 신소재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Eupenicillium shearii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4개의 phenol계 항산화 활성물질을 순수하게 분리하고 화학구조를 결정하여 melanocin A-D로 명명하였다. Melanocin $A{\sim}D$ 화합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EC_{50}21{\sim}94{\mu}M$, superoxide 소거활성은 $EC_{50}\;7{\sim}84{\mu}M$로 arbutin 및 BHA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주름개선 효과도 매우 우수하였다. 기와층버섯(Inonotus xeranticus) 자실체 추출물로부터 강력한 항산화 활성물질인 히스피딘계 신물질을 얻어 inoscavin A로 명명하였다. Inoscavin A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은 $EC_{50}\;0.03{\mu}g/mL$, rat의 간 microsome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EC_{50}$$0.3{\mu}g/mL$로서 ${\alpha}-tocopherol$$1.5{\mu}g/mL$, BHA의 $4.9{\mu}g/mL$ 보다 우수하였다. Streptomyces nitrosporeus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신규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물질을 benzastatin $A{\sim}G$를 분리하였다. Benzastatin $A{\sim}G$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EC_{50}$$3{\sim}30{\mu}M$로 매우 우수하였다. Penicillium sp. 균주로부터 미백활성물질을 탐색하여 cyclopentene계 화합물인 terrein을 얻었다. Terrein은 kojic acid 보다 약 10배 이상 강력한 미백활성을 나타낸 반면, $100{\mu}M$ 농도에서도 비교적 안전한 화합물로 확인되었으며, 작용기전은 MITF 단백질을 조절함으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낭기관배양과 임상에서 제주푸른콩발효추출물의 육모 효능에 미치는 영향 (Fermented Jeju Soybean Extract Promotes Hair Growth in Human Hair Follicle Organ Culture and Clinical Trial)

  • 이용희;신승현;김세현;정규상;홍민정;박혁곤;김승훈;김은주;강영규;박병철;박원석;김수나;김형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55-263
    • /
    • 2021
  • 콩 추출물은 노화, 암, 비만 및 심혈관 질환과 같은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콩 추출물은 in vitro, in vivo 및 임상 연구에서 모발 성장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발효추출물이 일반추출물에 비해 다양하고 높은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발효된 콩 추출물의 모발 성장을 유도하는 근본적인 매커니즘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미녹시딜과 유사한 기본 매커니즘에 초점을 두고 제주푸른콩발효(FJS)추출물이 모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in vitro, ex vivo와 임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의 연구결과, FJS 추출물은 모낭모유두세포증식, VEGF 수준 및 포타슘 채널 활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FJS 추출물 이 함유된 토닉을 사용하였을 때, 24주 후 모발 밀도 개선을 확인한 임상결과에서도 종합적으로 입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FJS 추출물이 모낭의 미녹시딜과 유사한 매커니즘을 통해 모발 성장을 촉진하고 탈모를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20세기 초 미의식의 변화에 따른 국내여성들의 화장법 (The Evolution of Makeup Methods of Korean Women in Response to Changing Standards of Beauty in the Early 20th Century)

  • 이순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364-1377
    • /
    • 2010
  • Although the human body is a biological subject with definite and distinctive physical features, its actualization and perception differs among societies. The aesthetics of the human body are based on diverse cultural perceptions that must be considered prior to design development. This study establishes the foundations of newly adopted concepts of beauty that are presumed to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at continue to affect our mindset even now. The research includes human figures in the articles of women's magazines and cosmetic advertisement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perception in the human body: Instead of being a subject of preservation, the body has become a subject of sculpture with emphasis on health in the 1920's and on beauty in the 1930's.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body has created intensive attention on physical training and an increased sense of hygiene. The body exposed to the public perceives itself through the eyes of others that alter one's own perception of oneself as well as become a target of evaluation. There is an additional emphasis on the exotic eroticism of a passive subordinate. Western culture became the standard for modernization along with the dissociation of traditional standards and values. Through the effect of education and western thinking, the awareness of women's rights and self-appreciation was developed. Second, ideal beaut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Unprocessed natural beauty was extolled as ideal in the 1920's, but the 1930's, it highlighted big eyes and an aquiline nose t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western women. Taking care of one's appearance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value for every social class. Cosmetics and skin care treatments promised soft and white skin. In contrast to western cosmetics, dark and shiny hair was highly favored. Exercising and traveling, differing seasonal and regional skin treatments were also widely accepted. In its initial stages, the research had originally assumed th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would be a time in which traditional concepts of beauty and new, westernized aesthetics coexisted. However, as the research progressed, it was clear that the idea of beauty had already adopted occidental ideals by that time. Thus, it seems necessary to continue the study on the shifting paradigms of beauty that must have occurred in the nineteenth and late twentieth century.

형질전환 미세조류의 고주파 처리 배양을 통한 MAA 생산량 증가 (Production Yield Enhancement of Mycosporine-like amino acid(MAA)s in Transformed Microalgae Culture by Radiofrequency)

  • 서효현;송미영;아툴 쿨카르니;서승석;이택견;모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799-3804
    • /
    • 2014
  • Mycosporine-like 아미노산(MAAs)은 UV 흡수물질이며, 다양한 해양생물들은 MAAs의 합성과 축적을 통하여 환경자외선의 직 간접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진화시켜 왔다. 이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Chlamydomonas hedleyi에 포도당 전달 단백질인 Glucose transporter 1(Glut-1) 유전자를 pCAM1303 벡터에 도입한 형질전환체를 제작하여, 형질전환체의 바이오매스를 최대로 증가시킬 수 있는 최적의 Glucose 농도와 NH4Cl농도를 결정하고, 고주파(Radiofrequency) 발생장치를 활용한 바이오매스 증가와 함께 MAA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배양 조건을 확립하였다. 연구결과 고주파 처리를 통한 형질전환 미세조류는 4.13 mg/L(MAAs/DCW)으로 3.23 mg/L(MAAs/DCW)의 고주파 처리 없이 배양한 형질전환체보다 효율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외선 A 흡수물질을 인위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어서, 대량배양한 후 MAAs물질을 분리 및 정제하여 피부자극성이 없는 친환경적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산업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블매트릭스 캡슐화에 의한 유산균의 안정화 (Stabilization of Lactobacillus with Double Matrix Capsulation)

  • 김대섭;박미의;유소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56-663
    • /
    • 2013
  • 본 연구는 식품으로 사용하고 있는 유산균의 보존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맛과 시각적인 차별화를 주기 위한 방법으로 더블매트릭스 캡슐화에 대한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일차캡슐화방법으로 5wt%의 슈크로스에스터를 이용하여 부드럽고 촉촉한 크림을 만들었다. 더블매트릭스캡슐화는 키토산과 아르긴산을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였을 때 가장 안정한 캡슐이 형성되었다. 더블매트릭스 캡슐입자의 크기는 지름이 3mm이었다. 유산균의 pH변화에 대한 활성은 산성($pH=4.3{\pm}0.3$)이나 중성($pH=7.12{\pm}0.2$)상태에서보다 알칼리성 ($pH=10.5{\pm}0.3$)에서 더욱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1개월 경과 후에서도 살아있는 유산균의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품산업에 응용으로 요거트안에 유산균캡슐이 함유된 제형과 5가지의 색상을 입힌 더블매트릭스캡슐을 개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유산균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의 하나의 도구로써, 더블매트릭스캡슐이 식품산업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의약품산업에서 인슐린 등의 캡슐화를 통한 약물전달시스템 (drug delivery system) 및 화장품산업에서의 활성성분의 안정화 기술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음주.흡연습관이 피부건강 화장습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inking and Smoking on Skin Health and Make-up)

  • 이선희;최가;나영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63-269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an informative and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to give a guideline how to keep and care the skin healthy and proper. Female freshmen, enrolled in colleges in Jeonbuk provincial area, were surveyed about their status of health and way of skin care and make-up. The results of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268 students(65.4%) were 19 years old or younger. Among the respondents, 219 persons(54.4%) lived in small or medium cities and 271(66.1%) showed less than 20 of body mass index($kg/m^{2}$).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welling place, drinking habit(p<0.05), and subjective health status(p<0.05) with health, skin care and make-up habit. Third, drinking, subjective health status appeare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facial skin(p<0.05) and health status(p<0.01), respectively. Forth, smoking and regular meal seemed to affect the length of make-up(p<.05) and smoking esd strongly connected with the extent of make-up. The way of thinking about cosmetics were affected by the habits of drinking(p<0.05) and smoking(p<0.01), respectively. Drinking habit was the significant variable of health affecting on the belief in the effect of cosmetics. Fifth, skin heal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rinking and smoking habits and positively with subjective health status, BMI($kg/m^{2}$) and frequency of make-up. Sixth, healthier state of facial skin appeared to be happen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p<0.01)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and with a person of higher than 20 of BMI($kg/m^{2}$) than of less than 20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the status of health and make-up among female freshmen. Accordingly, the concept of health reinforcement can be adopted to skin care and skin maintenance, so various and comprehensive approaching methods were required to improve and reinforce the skin management and cosmetic culture.

  • PDF

β-Carotene의 섭취가 당뇨 유도 흰쥐의 간조직 항산화효소 활성과 Glutathi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β-Carotene on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Glutathione Concentration in Diabetic Rats)

  • 장정현;이경순;서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092-109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의 치료에 중요한 저해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는 당뇨합병증을 예방하고자 녹황색 채소 등을 통해 식사 시 한국인들이 쉽게 섭취할 수 있는 ${\beta}$-carotene의 혈관계 합병증 예방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간 미토콘드리아에서의 catalase 활성은 ${\beta}$-carotene을 급여한 비당뇨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당뇨군에서는 ${\beta}$-carotene 급여에 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간 사이토졸 내의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beta}$-carotene을 급여하지 않은 당뇨군에서 그 활성이 가장 저하되었으나 ${\beta}$-carotene 공급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간 사이토졸 내의 glutathione-S-transferase 활성은 ${\beta}$-carotene의 급여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 마이크로솜에서의 glucose-6-phosphat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beta}$-carotene을 급여하지 않은 당뇨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beta}$-carotene을 급여한 당뇨군에서는 활성이 유의적으로 저하되었다. 간조직의 환원형 glutathione 함량은 당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당뇨군에서 ${\beta}$-carotene의 급여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beta}$-carotene의 섭취는 당뇨 유도에 의한 산화스트레스가 증가된 생리적 상태에서 glutathione의 소모를 감소시키고, 항산화 효소계 중 특히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을 유도하여 과산화 라디칼을 환원시킴으로써 활성산소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적 손상의 일차적 방어에 관여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인체시험 등을 통한 후속연구와 연계하여 ${\beta}$-carotene 수준을 적절하게 보충 섭취한다면 당뇨로 인한 항산화계 활성의 변화를 조절함으로써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Clitocybe aurantiaca 균주가 생산하는 주름개선소재 clitocybin A의 대량 발효생산 및 MMP-1 발현저해활성 (Fermentation Process for Mass Production of Clitocybin A, a New Anti-Wrinkle Agent from Clitocybe aurantiaca and Evaluation of Inhibitory Activity on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 김관철;이혁원;이홍원;추수진;유익동;하병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94-20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버섯의 일종인 Clitocybe aurantiaca KCTC11143BP 균주가 생산하는 주름개선 화장품 신소재 clitocybin A의 발효생산 최적조건, 추출정제조건, 세포독성 및 자외선 조사에 따른 MMP-1 발현 저해활성을 규명하였다. C. aurantiaca 균주를 5 L 발효조를 이용하여 회분식으로 배양하였을 경우, PD 액체배지보다 YM 액체배지에서 양호하게 생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00 L 용량의 대형 발효조에서 modified된 YM 배지를 이용한 유가식 배양으로 14일간 배양한 결과, 12.5 kg/120 L의 총 균체량을 얻었다. 발효 추출물로부터 항노화 소재인 clitocybin A를 추출정제를 한 후 HPLC를 실시하여 배양 4일째부터 clitocybin A가 생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litocybin A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100 ${\mu}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경우 $134.6{\pm}10.4%$로 오히려 세포가 증식하여 안전한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대조군으로 사용한 oleanolic acid는 25 ${\mu}g/ml$ 농도에서도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또한, clitocybin A는 100 ${\mu}g/ml$ 처리시 33.1%의 MMP-1 발현 저해활성 보여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 소재로 매우 우수한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해양성 Marinomonas sp. SH-2 균주가 생성하는 agarase의 분리 및 특성조사 (Characterization of Agarase Produced from the Isolated Marine Bacterium Marinomonas sp. SH-2)

  • 조정권;이솔지;이동근;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8-20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많은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한천올리고당과 네오한천올리고당을 생산할 수 있는 agarase를 생성하는 신규 해양성 세균을 분리하고, 이 균주가 생성하는 한천분해효소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한천분해활성을 가진 신규의 SH-2 균주는 경상남도 남해군 연안에서 채취한 해수에서 분리하였으며, 16S r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Marinomonas 속 세균과 약 99% 유사하여 Marinomonas sp. SH-2로 명명하였다. Agarase는 Marinomonas sp. SH-2 균주의 배양액으로부터 추출하였으며, 한천분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pH 6.0의 20 mM Tris-HCl buffer를 사용할 경우 30℃에서 최고 활성(170.2 units/l)이 나타났다. 하지만, 40℃ 이상의 온도에서 0.5시간 이상 처리할 경우 효소의 잔존활성이 40% 이하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이 효소는 내열성을 가지지 않는다고 판단되었다. 효소의 가수분해산물을 TLC로 분석한 결과, Marinomonas sp. SH-2으로부터 생성되는 효소는 아가로스를 분해하여 neoagarohexaose와 neoagarotetraose를 생성하여 β-agarase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Marinomonas sp. SH-2와 이 균주의 한천분해효소는 식품, 화장품, 의약품 연구 등에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