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ceutical cosmetics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6초

미백화장품 국내외 시장경쟁력 확보방안 연구 (The research of the way to gain domestic and foreign market economy force of whitening cosmetics)

  • 박준수;김흥기
    • 국제지역연구
    • /
    • 제21권2호
    • /
    • pp.121-141
    • /
    • 2017
  • 세계 미백화장품시장은 복합된 기능을 포함한'복합기능성화장품'시장으로 빠르게 넘어가고 있다. 또한 고기능성화장품시장인 코스메슈티컬시장은 복합기능성화장품 시장과 함께 성장하고 있다. 더불어 복합기능성화장품 시장에서 미백기능을 포함한 천연화장품 시장은 전세계에서 성장하고 있다. 전세계 기능성화장품 유통채널은 '미용과 디지털(Beauty and Digital)'을 통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digital communication)이다. 글로벌 기업들은 브랜드와 소비자 사이에서 새로운 공간에 관계를 추가하고 있다. 그렇기에 전세계적인 미백화장품 유통 채널의 변화현상은 기존과 다른 공간에서 고객과 소통될 수 있어야 한다는 중요성을 시사를 할 것이다. 국내 미백화장품시장은 2015년 기준 연평균성장률 -3.61%로 감소하고 있다. 반면에 복합유형시장은 연평균성장률 33.28%로 지속적인 성장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 미백화장품시장은 2008년 이후로 기존의 방문판매 중심의 유통채널에서 변화되었다. 특히 온라인채널은 오프라인채널 대비 약1/6 수준이지만, 2014년 기준으로 온라인쇼핑의 전년대비증가율이 27.1%를 나타냈다. 향후에는 오프라인의 판매비중과 비슷해지거나 뛰어넘을 것으로 예측된다. 미백화장품의 유통채널은 변화하고 있고, 온라인 유통채널은 성장하고 있어, 국내 기업들은 새로운 미백화장품 유통채널과 기존의 오프라인 채널을 동시에 공략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규기업의 미백화장품시장 진출 시, 기존의 미백화장품시장보다 복합기능성화장품 내의 천연화장품으로의 진입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미백화장품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차별성을 확보하거나 유통채널의 변화를 추구하여 기업과 고객이 새로운 공간에서 커뮤나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진출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기능성화장품 시장의 세분화: 사용도에 따른 소비자유형별 특성 (Segmentation of the Cosmeceuticals Market : Based on Consumer Usage Behavior)

  • 이현옥;박경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60-570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gment the cosmeceuticals market based on consumer usage behavior and to develop a profile of each segment using appearance-related variables, purchase attributes, purchase behavior and demographics. A total of 518 responses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survey to female consumers was analyzed. Cluster analysis on usage behavior of cosmeceutical products identified three groups including: Anti-aging/Whitening/Slimming product users (22% ); Pore-control product users(20%); and Minimum users(57%). MANOVA, ANOVA and Chi-squar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on 2 appearance-related variables, 3 purchase attribute factors, 4 purchase behaviors, and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eveloped a profile of each segment and provided marketing implications.

  • PDF

The 21C Research Trend on the Cosmeceuticals

  • Horii, Izumi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12
    • /
    • 2000
  • Certain types of anti-inflammatory components and whitening components were in practical use as the active ingredients of quasi drugs expected to display their pharmacological actions. However, only twenty years at most have past since the introduction of cosmetics that not only physically change the condition of the surface of the skin, but also promote skin homeostasis from by acting on the physiological mechanisms of the skin. Since then, much effort hasa been made to find new active ingredients suitable for full-scale development, and the term "cosmeceutical" has often been coined to describe cosmetics containing pharmacologically active components. In this report, the prospects of cosmeceuticals will be discussed on the basis of a review of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current skin-care products.

  • PDF

아토피 화장품 시장동향 (Market Trends for Atopy Treatment Cosmetics)

  • 박세규;이봉진
    • 공업화학전망
    • /
    • 제22권1호
    • /
    • pp.3-11
    • /
    • 2019
  • 최근 화장품 산업은 제약사들을 중심으로 기업들이 보유한 바이오 및 의약 기술을 접목하여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주목하고 있다. 화장품과 의약품의 경계가 무너지고 코스메슈티컬이 화장품 산업의 블루오션 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현대병으로 알려진 고질적 피부질환 아토피성 피부 인구가 늘면서 아토피 기능성 스킨케어 시장이 급부상하고 있다. 98년부터 시작된 아토피 관련 시장은 국내 약국 아토피성 화장품 시장 100억 원을 포함해 현재 700억원대로 급성장하고 있어 앞으로 확고한 수익 시장으로 자리잡을 것이라 전망되고 있다. 현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는 아토피 피부를 치료할 수 있는 다양한 화장품 제품들이 급증하고 있으므로, 본 기획에서는 아토피 화장품 시장의 현황, 동향 및 전망을 분석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한방복합처방단의 발모효과 및 멜라닌 생성 촉진효과 (Hair Growth Activity and Melanogenic Activity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 임경란;김미진;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1-16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발모 소재 개발을 위하여 한방복합처방단의 효소처리에 의한 발모 및 흑모 관련 생리활성을 알아보았다. 효소 처리된 한방 복합 처방단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과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을 알아보았으며, lipoxygenase 활성 저해효과, $5{\alpha}$-reductase 활성 저해효과 및 멜라닌 생성 촉진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인체 피부 일차 자극시험 결과 자극이 없는 저자극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효소 처리된 한방 복합 처방단은 피부자극 없이 모발제품의 기능성 원료로서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화장품의 세계적인 개발동향과 21세기 아시아인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Global Cosmetics Trends and Cosmceuticals for 21st Century Asia)

  • T.Joseph Lin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20
    • /
    • 1997
  • 2차대전 이후에 미국, 유럽, 일본의 사례와 냉전 종식 후의 동구권 국가의 사례 등을 볼 때, 전쟁과 가난에 의하여 화장품 소비는 억제되며, 평화와 번영의 시기에는 그 소비가 증대된다. 그 외에도 화장품시장의 성장은 아시아권 국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경제성장, 대중매체의 발달에 의해서, 혹은, 중국본토에서 볼 수 있는 경제제도의 변화 및 정치 흐름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앞에서 본 전쟁, 경제, 정치흐름, 대중매체 등의 요소 이 외에도 생활방식, 종교, 윤리, 가치관 등도 화장품 시장의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화장품은 사회의 산물이다. 사회와 그 구성원의 needs가 변하면 그에 따라 화장품도 내용물, 포장, 배송, marketing concepts, 소구사항 등도 변하게 된다. 많은 점에서 화장품은 우리사회의 거울이며, 사회변화를 반영한다. 1970년대 초반까지 미국에서의 화장품은 주로 백인 영성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그러나 60년대의 시민권운동 이후, 70, 80 년대에는 미국의 흑인 여성을 위한 제품(색조화장)시장이 급성장하였으며, 안전성이 제대로 검토되지 않은 원료의 사용으로 부작용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FEA 규제에 의하여 70년대부터는 제품에 사용원료를 명기하게 되었다. 기존 원료의 안전성이 다시 검토되었으며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많은 원료, 특히 기존에 사용되던 많은 색소의 사용이 제한되었다. 결과적으로 안전을 중시하는 "hypoallergenic" 화장품이 유행하였고, 원료의 사용에서도 기능성 있는 복잡한 이름의 원료보다는 소비자에게 쉽게 인식되는 이름의 원료를 선택하게 되었다. 유럽에서도 신원료명기법이 제정되어 신제품 개발을 위한 개발자의 원료선택에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러나 원료의 명기에 따라 경쟁사의 제품복제가 매우 쉬워졌다. 환경오염도 마찬가지로 화장품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성층권의 오존층이 얇아지면서 suncare 제품의 소비가 늘었다. Hair spray제품에 있어서는 propellant로 사용되는 CFC가 오존층 파괴의 주범임이 밝혀지고 나서는 propellant를 다른 것으로 대체한 제품들이 많이 나왔으나 예전에 hair spray가 끌었던 만큼의 인기는 회복할 수 없었다. 이외에도 천연화장품원료의 증가. 비 동물시험법의 개발, 포장의 간소화 등은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 들이다. 한편 70년대에 고조에 달했던 아무런 효과도 없는 화장품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 80년대에는 효능 위주의 제품이 미국을 휩쓸었으며, FDA에 의하여 이에 제동이 걸렸다. 그러나 고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는 끊이질 않았다. 이때에 유명한 원료로는 AHA가 있으며 이를 사용한 화장품이 의약품이냐 화장품이냐 하는 논쟁이 있었다. 이와 같이 의약품과 화장품의 구분을 명확히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기능성 화장품은 미국에서는 OTC, 일본에서는 quasi-drug 라고 구분하였다. Cosmeceuticals는 cosmetics와 pharmaceuticals의 합성어이며, 90년대 미국에서 관심을 끌었고, 세계적인 관심사가 되었다. 과거에 식품업계에서 nutraceuticals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으나 FDA에 의하여 의약품으로 분류될 위험성으로 인하여 이 단어를 전면으로 사용하진 않았으며, 무기물과 비타민을 사용한 경우에는 nutra-cosmeceuticals라는 단어를 사용할 수도 있었으나 이 또한 FDA와의 문제가 생길 소지가 있어 사용이 자제되었다. 법적규제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요구와 새로운 기술에 의하여 계속 개발되고 있으며, 수많은 아시아의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위한 새로운 종류의 cosmeceuticals가 21세기의 문턱에서 범람하고 있다. 아시아권의 화장품시장은 성장을 계속하고 있으며, cosmeticals중에서도 미백 제품이 가장 중요한 종류이다. 백인여성은 갈색의 피부를 갖길 원하는 반면 일본, 중국, 한국의 여성들은 하얀 피부를 갖고자 한다. 단순히 안료를 사용하는 방법이 아닌 피부자체가 하얗게 되길 바라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OTC로 구분된 hydeoquinone이 일본과 한국에서는 사용이 금지되고 있으며, 안전하고 새로운 미백원료의 개발을 위한 탐색이 계속되고 있다. 즉 미국과 유럽의 화장품 회사는 피부를 검게 하기 위하여 melanogenesis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찾고 있으며, 이와 반대로 아시아권의 화장품회사는 melanin합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 있다. 각기 다른 소비자의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21세기의 화장품 과학자는 상당히 바쁠 것임에 틀림이 없다.임에 틀림이 없다.

  • PDF

암대극 추출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특성 (Application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of Extract from Euphorbia jolkini)

  • 이대우;김영진;김영실;엄상용;김종헌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5-280
    • /
    • 2007
  • 본 연구는 암대극 추출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미백 및 항염 효과와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암대극 70 % 메탄올 추출물은 MPLC를 사용하여 5개의 분획들로 분리하였다. 1번과 5번 분획에서 항산화(Mn-SOD 생성 억제), 미백(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그리고 항염($IL-1{\alpha}$, IL-6, COX-2, Total NO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암대극 추출물은 화장품 원료로서의 개발이 기대된다.

오이풀 뿌리 분획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약리활성 연구 (The research of pharmacological activation for Sanguisorbae Radix Fractions as cosmetic material)

  • 장영아;여신일;이진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43-46
    • /
    • 2012
  • Objectives : Sanguisorbae Radix(SO) is a plant in the family Rosaceae, which grows widely in open fields Korea. It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 for thousands of years, as a treatment for anti-inflammatory and it is widely used for throat infection, tonsilitis, conjuctivitis and lymphadentis. In this study, investigated skin antiaging and anti-bacterial by using SO fractions water, acetone and butanol, chloroform. Methods : The effects of anti-microbial on SO fractions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collagenase inhibition activity were experimented. Results : 1.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2. The elastase inhibition rate and collagenase inhibition rate of the water fraction of SO was the highest other factions. Conclusions :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e SO has sufficient potentiality applying itself to industry and also SO can be utilized as antimicrobial natural materials and antiaging cosmetics.

코스메슈티컬 적용을 위한 흑호두 과피의 생리학적 연구 (Physiological Study of the Extract of Junglans nigra Shells for the Cosmeceutical Application)

  • 이현주;옥승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9-36
    • /
    • 2021
  • 천연물 중 시판되지 않고 대부분 버려지는 흑호두(Juglans nigra) 과피를 추출하여 화장품 적용 가능성과 생리 활성 및 효능을 조사하였다. 흑호두 과피 열수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00㎍/mL에서 76.06%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1000 ㎍/mL에서 61%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흑호두 과피 추출물을 피부 각질 세포인 HaCaT 세포에 적용했을 때 250 ㎍/mL에서 92.6%로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히 낮았고 500 ㎍/mL 농도에서 67.35%의 nitric oxide(NO) 생성이 억제되었으며 100 ㎍/mL 농도에서 비타민 C보다 31배 더 높은 Hyaluronidase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흑호두 과피 추출물은 코스메슈티컬 응용 및 식품, 향료, 헬스 케어, 제약 등 다양한 산업에서 고부가 가치 천연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밤부산물(율피)의 주름개선 및 미백 효과 (The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 of Extracts of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 장민정;천순주;김희영;권대준;김학윤;김세현;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34-738
    • /
    • 2011
  • 율피를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주름개선, 미백 및 수렴효과를 검증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elastase 저해활성과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율피 아세톤 추출물 100 ug/ml에서 51.0%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아세톤 및 에탄올 추출물이 50 ug/ml 에서 96.4%, 94.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아세톤 및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와 비교시 약 50%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율피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