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24초

관상동맥조영술과 MDCT를 이용한 관상동맥 이식편의 비교평가 (Comparison of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with Coronary Angiography for Evaluation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s)

  • 유병수;신윤철;김건일;김응중;지현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호
    • /
    • pp.42-47
    • /
    • 2006
  • 배경: 새로 나온 다절편 전산화흥부단층촬영(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은 관상동맥 영상화에 유용하다. 본 교실에서는 관상동맥우회로 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술 후 관상동맥 이식편의 평가를 위하여 비침습적 MDCT와 기존의 침습적 관상동맥조영 술의 유용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1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관상동맥우회로 술을 시행한 후 16 Channel MDCT와 관상동맥조영 술 모두에 동의한 15명을 대상으로 52개의 이식편의 개존성을 분석하였다. MDCT를 이용하여 3차원으로 재조합된 영상과 관상동맥조영술을 통해 얻은 영상을 비교하여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치, 음성 예측치 등을 계산하였다 결과: 환자당 평균 3.4$\pm$0.8개의 도관을 사용하였다. MDCT 도중 환자들의 평균 심박동수는 86회/분(범위, 60$\∼$110회/분)이어서 베타차단제는 사용하지 않았다. 모든 환자들이 필요한 시간만큼 호흡을 참을 수 있었다. 관상동맥조영 술을 통해 얻은 전체 이식편 개존율은 96.2$\%$였다. MDCT의 진단력은 민감도 100$\%$,특이도 98.0$\%$, 양성 예측치 100$\%$,음성 예측치 66$\%$였다. 결론: 관상동맥우회로 술 후 16 Channel MDCT는 기존의 관상동맥조영 술과 비교하여 이식편의 개존상태와 혈류 정도 파악에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이며, 비침습적이며 저렴하므로 관상동맥조영 술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관상동맥우회술 중의 경식도 초음파에 의해 발생한 심부감염을 동반한 Pyriform Sinus 천공 - 치험 1예 - (Pyriform Sinus Perforation with Deep Neck Infection Caused by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dur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A case report -)

  • 장형우;유재석;황호영;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528-531
    • /
    • 2009
  • 경식도 초음파는 심장수술에서 비교적 안전하게 수술 중 심장의 기능 및 수술 결과를 평가할 수 있어 그 이용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경식도 초음파 관련 합병증은 드물지만 하인두 손상이나 식도 천공 등 위험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폐부종을 동반한 심근경색으로 진단받은 77세 남자환자에서 심폐 바이패스를 사용하 않는 관상동맥우회술 시행 후, 수술 중 경식도 초음파 시술과 관련되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pyriform sinus 천공 및 이에 동반된 경부 심부감염을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내흉동맥과 요골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의 조기 결과 (Early result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Using the Internal Thoracic and the Radial Arteries)

  • 나찬영;이영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0호
    • /
    • pp.891-896
    • /
    • 1999
  • Increasing interest in the use of arterial conduites is based on the better patency of the internal thoracic artery(ITA) than the saphenous vein graft and the hope that other arterial conuits will perform similarly over the long term. Material and Method: Between May 1997 and July 1998, 43 patients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with ITA and the radial artery(RA). There were 28 men and 15 women with a mean age of 61.5 years(range, 35 to 78). In 43 patents, 30 bilateral ITA(including 7 diabetes mellitus, 5 more older 70 years), 8 bilateral ITA only, 2 left ITA and both RA, 11 left ITA and left RA and 22 both ITA and left RA were used. Result: There was 1 hospital mortality. Of the 42 patients alive, 39 patients are asymptomatic.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postoperative bleeding in 1 patients, and low cardiac output syndrome in 3. Follow-up angiography was performed in 5 patients after the operation(mean 3 months), and all ITA & RA grafts showed excellent results. Conclusion: We conclude that complete arterial revascularization with internal thoracic artery and radial artery is technically feasiale with low mortality and morbidity, and but long term follow-up is needed.

  • PDF

관상동맥협착증의 외과적 치료 -6례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 이재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5호
    • /
    • pp.842-849
    • /
    • 1988
  • Between July, 1987, and September, 1988, 6 patients with coronary occlusive disease received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at Kyungpook University Hospital. There were five males and one female whose age ranged from 39 to 64 years[mean 54*8.0 years]. Of the 6 patients, 5 suffered from unstable angina, 1 suffered from stable angina. Selective coronary angiography revealed a significant stenosis of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in 6 cases, of its diagonal branch in 1 case, of the right coronary artery in 1 case, the circumflex artery in 1 case, and of its obtuse marginal branch in 1 case. The mode of anastomosis were single saphenous vein graft in 3 cases, single left internal mammary artery graft in 1 case, double saphenous vein graft with sequential anastomosis in 1 case, and left internal mammary artery plus saphenous vein graft in 1 case. Of these, 6 grafts to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were done. There was no operative death, but peri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 was happened in 1 case. All survivors were free of angina and discontinuing medical therapy during the follow up period[mean 7.8*5.15 months].

  • PDF

Minimal Invasive Coronary Artery Fistula Ligation

  • Mitropoulos, Fotios A.;Kanakis, Meletios A.;Chatzis, Andrew;Contrafouris, Constantinos;Sofianidou, Ioanna A.;Lioulias, Achilleas 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6호
    • /
    • pp.545-547
    • /
    • 2014
  • A coronary artery fistula was surgically ligated in a 38-year-old woman via a left anterior mini-thoracotomy without the use of cardiopulmonary bypass. In selected cases, this surgical approach can provide an excellent surgical exposure for coronary artery fistula ligation. It also offers an excellent cosmetic result and shorter hospital stay.

체외순환에서 박동 혈류와 비박동 혈류가 관상동맥 혈류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Pulsatile and Non-Pulsatile Extracorporeal Circulation on the Pattern of Coronary Artery Blood Flow)

  • 손호성;방영호;황진욱;민병주;조종호;박성민;이성호;김광택;선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01-109
    • /
    • 2005
  • 배경: 심정지와 같은 위급상황에서 관상동맥의 혈류를 유지하는 것은 심장근육의 보존과 회복 및 환자의 생명을 보존하는 데 중요하다. 최근 들어 Extra-Corporeal Life Support System (ECLS)의 기계식 순환장치의 사용으로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보존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체외순환 모델에서 박동성 혈류와 비박동성 혈류가 관상동맥의 혈류량 및 심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험은 $25\~35Kg$의 돼지 14마리를 각각 7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제 1군은 비박동성 혈류 펌프인 원심펌프를 사용하였고 제2군은 이중 박동형 펌프를 사용하였다. 체외순환은 우심방에서 상행대동맥으로 심폐바이패스를 하고, 9V의 전기 충격으로 심실세동을 만들었다. 체외순환은 2시간 동안 유지하였으며, 펌프량은 두 군 모두 2 L/min로 유지하였다. 초음파를 이용한 관상동맥 혈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좌전하행지의 관상동맥 관류량을 펌프 시작 전(기초치)과 시작 후 20분마다 측정하였다. 또한 관상 정맥동의 혈액을 펌프 시작 전(기초치)과 시작 후 1시간, 2시간에 채취하여 두 군간의 심근효소의 차이와 대사물질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각 관찰지표의 군간 비교는 STATISTICA 통계프로그램(Version 6.0)의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값이 0.05 이하인 경우로 하였다. 결과: 관상동맥의 저항지수는 제 2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펌프 구동 후 40분, 80분, 100분, 120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났다 (p<0.05). 관상동맥의 평균 혈류 속도는 제 2군에서 펌프 구동 후 20분부터 의미 있게 높게 유지되었다(p<0.05). 관상동맥의 혈류량도 제2군에서 높게 유지되었으며, 펌프 구동 후 40분, 60분, 100분, 120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그러나, 관상정맥동의 혈액학적 검사에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박동성 혈류는 비박동성 혈류보다 좌전하행지 관상동맥의 저항지수를 낮추고, 관상동맥의 관류속도를 빠르게 하여, 관상동맥으로의 혈류량을 높게 유지하였다.

관상동맥우회술 후 1년 개존성에 관한 연구 (One-year Graft Patenc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김기봉;김현조;성기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2호
    • /
    • pp.1190-1196
    • /
    • 1997
  • 1994년 7월부터 1995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술 78례 중 49례 (62,8%)에서 수술 1년 후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이식 혈관의 개존성을 조사하였으며, 수술 전,후 및 수술과 관련된 여러 위험 요소들이 개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관상동맥 우회술 후 평균 13.4$\pm$2.1개월 째에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내유동맥으로 문함을 시행한 60개소 중 3개소에서 string sign을 보였으나, 폐쇄 없이 전례에서 개존성이 유지되었으며, 요골동맥으로 문합을 시행한 4개소는 모두 개존성이 유지되었다. 복제정맥으로 문합을 시행한 81개소 중 69개소(85.2%)에서 개존성이 유지되었으며, 12개 소(14.8%)에서 폐쇄되었다. 개존성에 미치는 위험요소로 수술 전,수술 중 그리고 합병증 등의 수술 후 요소로 나누어 일원적 및 다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내유동맥의 협착 과 복재정맥의 개존성, 폐쇄에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내유동맥은 환자의 연령(60세 이상),수술 후 대동맥 내 풍선펌프의 삽입,수술 후 출혈, 및 급성신부전 등 합병증이 이식 혈관의 협착과 관련된 위험 인자였으며, 복제정맥은 우회술을 시\ulcorner 받은 관상동맥의 직경이 1.5mm 이하인 경우가 이식 혈관의 폐쇄 위험성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 분석되었다(p<0.05). 관상동맥 우회술 1년 후 이식 혈관의 개존성은 내유동맥이 복재정맥보다 우수함을 보였으며 환자 연령 수술 후 대동맥 내 풍선펌프의 삽입여부, 출혈, 급성 신부전 등의 합병증 및 문합된 관상 동맥의 직경 등이 개존에 관련된 요소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술 후 이식혈관의 폐쇄 여부에 대한 11측과 수술 방법이나 수술 후 환자의 추적 관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Takayasu 동맥염에 병발한 관상동맥질환 치험 1예 (Surgical Correction of the Coronary Artery Disease in Takayasu`s Arteritis)

  • 정윤섭;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3호
    • /
    • pp.296-302
    • /
    • 1991
  • Coronary artery involvement and myocardial ischemic symptom in Takayasu`s arteritis is uncommon Its presentation as coronary artery narrowing is a potentially lethal but correctable problem. In this case report, a 17-year-old woman of Takayasu`s arteritis with unstable anginal and moderate heart failure is presented. Her coronary angiogram showed that the main trunk of the left coronary artery was moderately narrowed and the proximal portion of the circumflex branch was severely obstructed and the right coronary artery was also narrowed diffusely. Simultaneously the patient had the moderate degree of mitral regurgitation. In order to save her life, the coronary bypass surgery using the saphenous veins and the modified Wooler`s mitral annuloplasty were done urgently, Immediate recovery was uneventful and the postoperative exercise capacity was markedly improved. But the long-term prognosis seems to be uncertain because of 3 reasons: 1] natural progress and complication of Takayasu`s arthritis; 2] fate of the saphenous vein grafts in a relatively young patient with aortitis; 3] residual mitral regurgitation. So long-term follow-up should be needed.

  • PDF

심폐바이패스하의 심박동상태에서 시행한 관상동맥우회로술 ("On-Pump" CABG on the Beating Heart - Two case report -)

  • 신종목;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80-483
    • /
    • 1999
  • 심폐바이패스와 심정지액을 이용하여 심장을 완전히 정지시킨 상태에서 원위부 관상동맥 문합을 시행하는 방법이 현재 관상동맥우회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심정지액을 이용한 심정지하의 관상동맥우회술은, 특히 고위험군 환자에서 수술중 심근의 허혈성 손상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심폐바이패스를 사용치 않는 방법이 관상동맥우회술중 심근의 허혈성 손상을 방지하고 심폐바이패스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겠지만, 이는 기술적으로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에 저자들은 좌심실 구출률이 25%로 좌심실 기능 저하가 심했던 경우와, 경피적 관상동맥확장술 중에 심인성 쇼크가 초래된 경우 등의 고위험군 환자에서 시행한 심폐바이패스하의 심박동상태에서의 관상동맥우회술 2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Effect of Postoperative Constrictive Physiology on Early Outcomes after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Kim, Jung-Hwan;Hwang, Yoo-Hwa;Youn, Young-Nam;Yoo, Kyung-J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1호
    • /
    • pp.22-26
    • /
    • 2013
  • Background: Constrictive pericarditi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has been known to affect cardiac output by limiting diastolic ventricular filling. We aim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postoperative constrictive physiology on the early outcomes of patients undergoing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PCAB).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8 and July 2011, 903 patients underwent an isolated OPCAB and postoperative transthoracic-echocardiography. The patient cohort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group A, constrictive physiology and group B, control group without constrictive physiology. Early outcomes were analyz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Of the total 903 patients, group A consisted of 153 patients (16.9%). The amount of blood loss in group A during the postoperative 24 hours was greater than that of group B,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20).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ortality rates (group A, 0.6%; group B, 1.4%; p=0.40) and 30-day major adverse cardiac and cerebrovascular events (MACCEs; group A, 3.3%; group B, 6.1%; p=0.42). Conclusion: Postoperative constrictive physiology does not affect 30-day MACCEs or other major complications after OPCAB.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tients with early postoperative constrictive physiology do not need medical or surgical treatment, and that conservative care is suffic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