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onary artery CT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2초

The Effects of a Vasodilator on Transluminal Attenuation Gradient at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 Moon Sung Kim;Eun-Ju Kang;Hyun Jin Kim;Moo Hyun Kim;Ki-Nam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1권12호
    • /
    • pp.1285-1293
    • /
    • 2020
  •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sodilators on contrast enhancement and transluminal attenuation gradient (TAG) of coronary arteries at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CTA).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CCTA scans of patients who underwent double-acquisition CCTA; CCTA without a vasodilator, and CCTA during a intravenous (IV) infusion of nitrate. Among them, we enrolled 19 patients who had no significant atherosclerotic lesions or coronary spasms. In the control group, 28 patients were enrolled who showed normal coronary arteries on CCTA, which was acquired by a conventional method (sublingual vasodilator). We measured the TAG and Hounsfield units for each of the three major epicardial coronary arteries (reported as 'ProxHU') and then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the nitrate administration methods (CT without vasodilator [CTpre], CT with IV vasodilator [CTiv], and CT with sublingual vasodilator [CTsub]). Results: The mean TA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ronary arteries (right coronary artery [RCA] >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AD] > left circumflex artery [LCX], p < 0.05),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oxHU of each coronary artery in all three types of nitrate administration methods (p > 0.05). The TAG of CTpre group showed steeper slope than those of vasodilator groups (CTiv and CTsub) on LAD and LCX ([LAD: CTpre = -22.1 ± 6.66, CTiv = -16.76 ± 5.78, and CTsub = -16.47 ± 5.78, p = 0.005], [LCX: CTpre = -31.26 ± 17.43, CTiv = -23.74 ± 14.06, and CTsub = -20.94 ± 12.15, p = 0.051]), while that of RC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 = 0.600). When comparing proxHU, CTiv showed higher proxHU than that of CTpre or CTsub, especially on LCX (CTpre = 426.7 ± 68.3, CTiv = 467.9 ± 84.9, and CTsub = 404.9 ± 63.3, p = 0.013). ProxHU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AG on all three of methods (r = -0.280, p < 0.001). Conclusion: TAG in CCTA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vasodilator administration. Both TAG and ProxHU of coronary arteries tend to increase with vasodilator administration on CCTA.

다양한 비죽상경화 관상동맥 질환의 CT 영상 소견 (CT Imaging Findings in Non-Atherosclerotic Coronary Artery Disease)

  • 박종민;박병건;강은주;이종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70-83
    • /
    • 2022
  • 급성 관동맥 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은 대부분 죽상경화 관상동맥 질환(atherosclerotic coronary artery disease)에 의해 발생하지만, 비죽상경화 관상동맥 질환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고식적 관상동맥 혈관조영술은 동맥 내강의 협착이나 확장 등의 형상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동맥경화반이나 동맥벽에 대한 평가가 어려워 관상동맥 이상의 원인 질환의 진단에 낮은 특이도를 보인다. 반면,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은 혈관경화반의 특징, 혈관벽의 조영증강뿐 아니라 연접한 대동맥이나 폐동맥의 변화 등도 함께 관찰할 수 있어, 비죽상경화 관상상동맥질환의 진단 및 다양한 원인 감별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이종설에서는 다양한 비죽상경화 관상동맥 질환들을 소개하고, 이의 병태생리 및 대표적인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의 영상 소견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관상동맥 CT 조영술을 활용한 스텐트 재협착 평가: 과거와 현재 최신 동향으로의 여정 (Coronary CT Angiography-Based Assessment of Coronary in-Stent Restenosis: A Journey through Past and Present Trends)

  • 이윤성;박은아;이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58-269
    • /
    • 2024
  • 관상동맥병 환자의 치료에 풍선팽창스텐트 치료는 현재 가장 흔히 시행되는 관상동맥재개통 치료법이다. 그러나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이후 재협착은 여전히 주요 합병증으로 남아 있다. 스텐트 재협착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로서 관상동맥 CT 조영술(coronary CT angiography; 이하 CCTA)는 과거에는 주로 번짐허상과 움직임허상으로 인해 내강을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워 그 역할이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 침습적인 고식적 관상동맥 조영술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근래 CT 기술의 발달로 민감도와 특이도가 모두 개선되면서 그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특히 일관되게 음성예측도가 높게 보고되고 있다. 본 종설에서는 CCTA를 이용한 관상동맥 스텐트 재협착 진단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최신 동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영상의학과 의사가 꼭 알아야 할 관상동맥기형 (Coronary Artery Anomaly, What Radiologist Should Know?)

  • 이현진;김진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84-101
    • /
    • 2022
  • 심장 전산화단층촬영(이하 CT)은 현재 관상동맥기형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가장 정확한 진단 도구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심장 CT 촬영 건수가 증가함에 따라 관상동맥기형을 종종 관찰할 수 있다. 본 종설은 관상동맥기형에서 영상의학과 의사들이 꼭 알아야 할 대표적인 기형의 CT 소견들에 대해 다루었다. 관상동맥기형의 종류를 3부분 즉, 기시부, 동맥 내, 그리고 연결 부위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며, 임상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기형들 중심으로 다루었다. 특히 혈역학적 이상을 유발하거나, 급사의 위험이 있는 기형들의 CT상 위험한 해부학적 소견에 대해서는 자세히 기술하였다.

전산화단층촬영 관상동맥조영술: 분획혈류예비력과 심근관류 영상 (Beyond Coronary CT Angiography: CT Fractional Flow Reserve and Perfusion)

  • 김문영;양동현;추기석;이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3-27
    • /
    • 2022
  • 심장 전산화단층촬영은 비약적인 기술발전과 다양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심혈관위험 계층화와 치료 결정을 위한 관상동맥 질환의 진단과 예후 평가성능이 입증되었다. 전산화단층촬영 관상동맥조영술은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에 대한 음성 예측도가 높아서 침습적 혈관조영술의 빈도를 줄일 수 있는 관상동맥 질환 관련 검사의 관문으로 부상했지만, 진단특이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하지만 심장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분획혈류예비력과 심근관류를 분석하여 관상동맥 질환의 혈역학적 유의성을 확인하는 기능적 평가를 통해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를 보다 객관적이고 재현 가능하도록 인공지능을 접목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종설에서는 심장 전산화단층촬영의 기능적 영상화 기법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관상동맥질환의 예후 및 위험도 평가 (Assessment of Prognosis and Risk Stratification in Coronary Artery Disease)

  • 임석태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3호
    • /
    • pp.222-228
    • /
    • 2009
  • Risk stratification and assessment of prognosis in patients with known or suspected CAD is of crucial important for the practice of contemporary medicine. Noninvasive testing such as myocardial perfusion scintigraphy, coronary artery calcium scoring or CT coronary angiography is increasingly being used to determine the need for aggressive medical therapy and to select patients for catheterization. The integrated anatomic and functional information may provide more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cardiologist or other clinician by the improved risk stratification and diagnostic accuracy of integrated techniques. The development of SPECT/CT or PET/CT hybrid systems is therefore of important value for the nuclear cardiology.

관상동맥 질환 판독과 자료 체계와 CT 혈관조영술에서의 경계성 관상동맥 병변 (Visualization of Borderline Coronary Artery Lesions by CT Angiography and Coronary Artery Disease Reporting and Data System)

  • 박혜원;오유환;이기열;용환석;김채리;황성호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97-307
    • /
    • 2024
  • 관상동맥 질환은 죽상동맥경화(atherosclerosis)로 인해 혈관의 내강이 좁아지면서 심근허혈 또는 경색까지 유발할 수 있는 질병이다. 이런 관상동맥 질환은 조기에 진단해서 치료하면 그만큼 예후가 좋기에 정확한 진단이 환자 관리에서 매우 중요하다.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CT angiography; 이하 CTA)은 높은 해상도와 대조도를 통해 혈관의 구조 및 협착 정도를 세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비침습적 영상 진단법이다. 여러 임상시험들이 관상동맥 질환에 대한 조기 진단과 평가에 있어 관상동맥 CTA의 유용성을 보고하였다. 최근에 관상동맥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들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처치를 위해 CTA에 기반한 관상동맥 질환 진단 분류 체계인 관상동맥 질환 판독과 자료 체계(coronary artery disease-reporting and data system; 이하 CAD-RADS)가 만들어졌다. 이런 CAD-RADS는 관상동맥 CTA를 기반으로 하지만 CAD-RADS는 CTA 결과만으로 관상동맥의 정확한 상태를 해석하는 것이 어려운 경계선 범주를 포함하고 있다. 본 종설은 침습적 관상동맥 조영술 진행 여부를 결정하기에 앞서 추가검사가 필요한 경계선상 CAD-RADS범주들의 CTA의 소견과 이들에 대한 대처를 논하고자 한다.

Anomalous Origin of the Coronary Artery from the Pulmonary Artery in Children and Adults: A Pictorial Review of Cardiac Imaging Findings

  • Hyun Woo Goo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9호
    • /
    • pp.1441-1450
    • /
    • 2021
  • Anomalous origin of the coronary artery from the pulmonary artery is a rare and potentially fatal congenital heart defect. Up to 90% of infants with an anomaly involving the left coronary artery die within the first year of life if left untreated. Patients who survive beyond infancy are at risk of sudden cardiac death. Cardiac CT and MRI are increasingly being used for the accurate diagnosis of this anomaly for prompt surgical restoration of the dual coronary artery system. Moreover, life-long imaging surveillance after surgery is necessary for these patients. In this pictorial review, multimodal cardiac imaging findings of this rare and potentially fatal coronary artery anomaly are comprehensively discussed, and representative images are provided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is anomaly.

열형광선량계를 이용한 16-MDCT와 64-MDCT의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 시 선량평가 (Evaluation of the dose of 16-MDCT and 64-MDCT in case of Coronary Artery CT Angiography using Thermoluminescence Dosimeter)

  • 김상태;최지원;조정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36-343
    • /
    • 2010
  •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coronary artery CT angiography)은 작은 스캔 길이에도 불구하고 방사선량이 높다. 3차원 영상을 얻기 위해서 다른 방사선 검사보다 고 선량(high dose)이 조사되는 CT촬영으로 인한 방사선 피폭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MDCT의 이용 시 장기선량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16-MDCT와 64-MDCT에서 동일 프로토콜의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을 대상으로 16-MDCT와 64-MDCT에서의 주요장기의 흡수선량을 측정하여 주선속 내외의 주요장기 흡수선량 및 유효선량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시 받는 흡수선량이 큰 조직 순으로 열거하면 16-MDCT에서 심장, 위, 간, 췌장, 신장, 비장, 대장, 폐, 소장, 갑상선, 난소, 방광, 안와 순으로 $0.538{\pm}0.026(Mean{\pm}SD,\;p<0.05)mGy{\sim}71.316{\pm}4.316mGy$의 흡수선량 분포를 나타냈으며 64-MDCT에서는 심장, 위, 췌장, 비장, 간, 신장, 소장, 대장, 폐, 갑상선, 난소, 방광, 안와 순으로 $0.87{\pm}0.01mGy{\sim}115.26{\pm}1.59mGy$의 흡수선량 분포를 나타내 16-MDCT와는 그 분포 형태가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 1회 촬영으로 받는 환자선량이 16-MDCT에서 심장을 기준으로 한 흡수선량이 $71.316{\pm}4.316mGy$였으며 64-MDCT에서는 $115.26{\pm}1.59mGy$로 나타났고 유효선량은 16-MDCT에서 7.41 mSv, 64-MDCT에서 12.11 mSv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스캔길이와 면적이 비교적 큰 뇌 CT 2.8 mSv, 안면-도관 CT 0.8 mSv, 가슴 CT 5.7 mSv, 골반 CT 7.2 mSv, 복부와 골반 CT에서 14.4 mSv임을 감안할 때 스캔구간이 심장에 제한된 13 cm의 스캔길이를 고려하면 상당히 높다. 그러나 주어진 진료 목적을 달성하면서 환자의 선량을 감축할 수 있다면 그러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MDCT를 이용한 관상동맥협착 진단의 정확성 평가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in the assessment of coronary artery stenoses using MDCT)

  • 양원석;신성규;박재홍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75-279
    • /
    • 2012
  • 16MD CT(n=93) and dual source CT(n=100)를 이용해 촬영된 심장 CT 중 그 결과 협착으로 진단되어 심장영화 촬영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심장영화 촬영과의 협착 유무에 대한 비교를 하였다. 그 결과 16MDCT의 경우 가장 높은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는 LAD(73.5%), RCA(74.5%), LAD(66.7%), LCX(75%), LCX(67.7%)로 나타났고, 16Slice MDCT에서 각 관상동맥 혈관별 정확도는 평균67%로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Somatom Definition dual source CT의 경우 평균 정확도 84%로 16Slice MDCT보다는 17%더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관상동맥영역별(segaments) 구분에서는 16Slice MDCT와 Somatom Definition 모두 근위부(proximal)보다는 원위부로 갈수록 더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그 결과 값이 10% 오차 범위 내에 있어 명확한 차이라 보기는 힘들 것 이다. 또한 Dual source CT의 경우 역시 관상동맥 영역별 구분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