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iandrum sativum L.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Coriandrum Sativum L. on Lipid Metabolism in Rats with Hypertriglyceridemic Diet

  • Hwang, Geum-Hee;Heo, Young-Ran;Lee, Heung-Jae;Park, Ok-Ja;Kang, Seong-Koo;Kim, Yong-Doo
    • Nutritional Sciences
    • /
    • 제4권1호
    • /
    • pp.13-19
    • /
    • 200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iandrum Sativum L. on lipid metabolism in rats with hypertriglyceridemia. Also, we compared the effects of the leaf, seed and root of Coriandrum Sativum L. on lipid metabolism in rats with hypertriglyceridemia. Hypertriglyceridemia was induced in 32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ting 108$\pm$13 g through the feeding of high-fat diets containing 20% fat and 5% cellulose for ten days. Th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s follows : control (C), leaf (L), seed (S) and root (R) groups. For the five-week experimental period, the C group was fed the above diet an the L, S and R groups were fed Coriandrum Sativum L. diets containing 5% dry leaf, seed and root of Coriandrum Sativum L., respectively. Intake of diet and weight gai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 group than in the L, S and R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L, S and R groups. Because of weigh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all obtained data was adjusted to weight. The level of plasma total cholestero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ur groups. But after adjusting to weight differences, the level of plasma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 groups than in the L and S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Coriandrum Sativum L. may increase appetite and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the lipid metabolism of rats with hypertriglyceridemia. Also, those effects may be partly different (leaf, root and seed) from those of Coriandrum Sativum L.

  • PDF

고수 에탄올 추출물의 고지방식이 비만 동물모델에서의 항비만효과 (Ant-Obesity Effect of Coriandrum sativum L. Ethanol Extract in High Fat-Induced Obesity Animal Model)

  • 이락원;강순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6-308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Coriandrum sativum L. ethanol extracts in a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model (DIO). We confirmed the anti-obesity effects by analysing the expression of the related proteins, weight gain, dietary intake, dietary efficiency, blood biochemistry, histological analysis and western blot analysi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Coriandrum sativumL. ethanol extracts at concentrations of 250 and 500 mg/kg,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dietary efficiency, reduction in weight gain,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in blood lipid was observed for 8 weeks. In addition, improvement in blood glucose and metabolism confirmed through glucose tolerance test was observed. Further, the concentration of alanine transaminase (ALT) in bloo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ich improved the fatty liver caused by high-fat diet intake as confirmed by liver tissue analysis. This phenomenon was confirmed to decrease the expression of fat accumulation-related PPARγ and FAS protein in the liver tissue. Especially, it is believed that FAS, a liposynthetic enzyme, has a stronger inhibitory effect than PPARγ. Therefore, Coriandrum sativum L. ethanol extract is thought to improve obesity by reducing blood lipids levels, improving glucose metabolism and inhibiting synthesis of the fat that accumulates in the liver i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animal models.

1H NMR에 의한 γ-Aminobutyric Acid의 간단하고 신속한 정량분석법 확립과 고수 (Coriandrum sativum L.) 현탁배양세포로부터 γ-Aminobutyric Acid의 생산 (Establishment of a Simple and Rapid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minobutyric Acid Using 1H NMR and Production of γ-Aminobutyric Acid in Cell Suspension Cultures of Coriandrum sativum L.)

  • 김석원;유장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207-212
    • /
    • 2007
  • 식물현탁배양세포의 whole cell extract의 $^1H$ NMR 스펙트럼 데이터로부터 통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GABA의 간단하고 신속한 정량분석방법을 확립하였다. 이 기술을 활용하여 고등식물 8종의 9개 세포주를 MS 배지에 1 mg/L의 2,4-D를 첨가한 배지에 유지하였을 때 고수 (Coriandrum sativum L.)가 가장 많은 양의 GABA를 생산하였다. 고수 현탁배양세포로부터 2,4-D농도 및 배양기간에 따른 GABA의 생산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현탁배양세포를 0.5 mg/L 2,4-D가 첨가된 배지에서 3주간 배양된 현탁배양세포를 이용할 경우 GABA 함량이 건중량 1 g 당 16.9 mg으로 가장 높게 생산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간단하고 신속한 분석법으로 다양한 식물자원으로부터 GABA의 생산성을 초고속탐색(high-throughput screenig)할 수 있을 것이며 고수 현탁세포배양법으로 GABA의 상업적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식이내 고수(Coriandrum sativum L.)의 첨가가 당뇨성 흰쥐의 혈장과 간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riandrum sativum L. on Lipid Content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황금희;윤연희;최인선;최옥자;강성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84-69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향신료로 사용되고 있는 고수의 첨가가 당뇨성 흰쥐의 혈당, 혈청 및 간조직의 지질 수준 저하효과와 각 부위별 효능을 규명하고자 평균체중이 108$\pm$13g인 Sprague Dawley종 숫쥐 32마리를 사용하여 streptozotocin(St. Louis, USA)을 흰쥐 체중 kg당 65mg씩 복강내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시킨 후 4주간 실험하였다. 식이섭취량과 체중을 매일 측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식이효율을 구하였고, 혈당, 혈장, 간 및 근육 조직의 인슐린 농도, 지질, 과산화지질 및 비타민 E의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즉 당뇨병성 고지혈증쥐는 일반 식이를 기본 식이로 하였으며, 고수급여군은 분말화한 고수(잎, 씨, 뿌리)를 5% 일정하게 배합하였고, 대조군은 고수의 평균 섬유소 함량을 고려하여 cellulose 5%로 대체하였다. 본 실험에서 식이섬취량, 체중중가량 및 이들로부터 계산한 식이효율은 고수의 섭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신장, 비장, 고환 및 췌장의 무게는 고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간과 심장무게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간 무게는 그 차이가 현격하였다. 고수의 급여로 혈장 인슐린의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HDL-cholesterol 농도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혈장과 간의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고수뿌리군이 고수잎,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으로 체내의 지질 과산화물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고, 비타민 E의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는 바 쥐에서 지질과산화물이 증가된 만큼 비타민 E가 항산화제로 이용되어 그 함량이 저하된 것으로 보여진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당뇨병에 있어서 고수는 혈당 강하효과를 나타내주지는 못하였으나 고수의 뿌리가 혈장의 지질수준을 낮추었고, 비타민 E의 함량을 감소시켜 혈장과 간조직의 과산화지질생성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나타나 콜레스테롤 수준을 낮출 수 있고, 항산화성을 보이는 향신료 또는 식품재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이 시사되었다.

  • PDF

고수(Coriandrum sativum L.) 지상부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Aerial Part of Coriandrum sativum L.)

  • 난리;이창현;최유나;추병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13-528
    • /
    • 2019
  • 본 논문은 고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 mg/mL 농도에서 각각 76.03 ± 1.36 mg of Gallic acid equivalents/g, 182.23±4.32 mg of Rutin equivalents/g으로 나타났고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각각 500 ㎍/mL, 1000 ㎍/mL 농도에서 52.8%, 58.3%의 소거율을 확인하였으며 2000 ㎍/mL 농도에서 환원력을 나타났다. 세포독성 검사 결과, LPS와 함께 처리한 세포에서 고수 추출물 (0-500 ㎍/mL)에 의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염증 매개인자인 NO, 염증성 cytokine인 TNF-α 및 IL-1β의 생성량을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염증성 단백질인 iNOS 및 COX-2의 발현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이런 염증성 단백질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 NF-κB/MAPK signaling pathway의 활성화 수준도 유의하게 억제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고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활용 가치가 기능성 식품 및 대체 의약 소재로 이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Synergism in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andida and Trichophyton Species in Combination with the Essential Oil of Coriandrum sativum L. and Antibiotics

  • Lim, Sook;Shin, Seung-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3권1호
    • /
    • pp.85-89
    • /
    • 2007
  • To determine whether the essential oil from Coriandum sativum and its main component, linalool, exhibit antifungal activity, we employed a broth dilution assay and disk diffusion test using common pathogenic Candida and Trichophyton species. Both coriander oil and linalool significantly inhibited growth of the tested fungi, with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in the range of $0.03{\sim}2mg/ml$. Furthermore, in a checkerboard titer test, both the oil fraction and linalool exhibited synergism when combined with ketoconazole, with resultant FICIs ranging from 0.06 to 0.53. Notably, hyphal formation in C. albicans cells was obviously inhibited by C. sativum essential oil in this experiment.

고수(Coriandrum sativum L.)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Coriandoer (Coriandrum sativum L.) Extract)

  • 김용두;강성구;최옥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92-696
    • /
    • 2001
  • 천연 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항균력이 있을 것으로 추정 되는 고수를 대상으로 물과 에탄올로 항균성 물질을 추출하여 몇 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효모 및 젖산균 등 10균주에 대하여 항균성이 있는지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항균성이 강한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 추출물에 함유된 항균성 물질의 열안정성 pH 안정성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고수 에탄올 추출물을 용매 계통분획하여 각 분획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고수의 부위별 추출물 중 에탄올 추출물은 대부분의 세균에서 항균 효과가 나타났는데, 효모와 젖산균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물추출물에서는 세균, 효모 및 젖산균 등 10균주 모두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고수 잎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세균에서는 그람양성균인 B. cereus와 B. subtilis 두 균주에서 0.25mg/mL로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람음성균에서는 0.5~1.5mg/mL로 나타나 그람양성균보다는 항균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수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항균활성물질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열한 후에도 그 활성이 유지된 것으로 보아 열에 안정하였으며, pH의 변화에도 항균활성이 유지된 것으로 보아 열에 안정하였으며, pH의 변화에 항균활성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수 에탄올 추출물의 용매계통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세균의 경우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생육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고수를 첨가한 고추장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added with Coriander(Coriandrum sativum L.))

  • 최기철;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73-85
    • /
    • 2009
  • 본 연구는 서구권 국가에서도 영양학적 우수성을 인정하고 소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능성이 있는 천연 향신료 중 독특한 향과 항산화, 항암효과를 갖고 중국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고수(Coriandrum sativum L.)를 고추장에 첨가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고수 고추장 개발을 통해 중국 시장에 고추장의 활용성과 소비를 확대를 높이고자 하였다. 고수 고추장의 고수는 파우더와 원액 넣어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CP7의 색(4.04), 고수의 향(3.72), 고수의 맛(3.92), 부드러운 정도(4.36)가 강하게 평가되었고, CJ4는 윤기(3.42), 고수의 향(3.04), 고수의 맛(4.29)이 강하게 평가되었다. 이는 고수의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고추장의 향과 고추장의 맛은 약하게 평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약용작물 고수 종자의 형태학적 특성 및 발아조건에 관한 연구 (Seeds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of Coriandrum sativum L. on Several Storage Conditions)

  • 이정훈;이상훈;안찬훈;이윤지;김영국;차선우;김성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5-310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data related to seed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conditions of the Coriandrum sativum L. at different storage condition and temperature. The shape of fruit was oval with light brown color. Fruit was mericarp, biloculate, with one ovule in each locus. The length and width of seed were $1.37{\pm}0.067mm$ and $0.52{\pm}0.039mm$, respectively. Weight of 1,000 seeds was $6.55{\pm}0.15g$. Seeds which were stored at room ($15^{\circ}C$) and cold temperature ($4^{\circ}C$) in vinyl container show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93.3%) under the room temperature germination condition. Percentage of germination in cold and freeze temperature was 20% and 0%, respectively. Germination rate of room storage seeds with paper container increased to about 91.3%, however, decreased in cold ($4^{\circ}C$) and freeze storage ($-20^{\circ}C$) with paper container (76.7% and 78.0%, respectively). Germination rate of seed in vinyl stock container was better than that of paper stock container. Germination rate of seeds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4 years (2010 - 2013) ranged from 80.0% to 91.3%. Therefore, coriander seeds are expected to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increasing the germination rate and keeping a long term.

Allelopathic effects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and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on early seedling growth of wheat (Triticum aestivum L.)

  • Iqbal, Muhammad Zafar;Ahmed, Lubna;Shafiq, Muhammad;Athar, Mohammad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1-15
    • /
    • 2015
  • A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and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on seedling growth of wheat (Triticum aestivum). The aqueous extracts treatment of red pepper and coriander showed a significant (p < 0.05) reduction in root, shoot and seedling length, number of leaves and seedling dry weight of wheat (T. aestivum) as compared to control. The inhibitory different effect on growth of wheat (T. aestivum)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1, 2, 3, 4 and 5%) of aqueous extracts of red pepper and coriander as compared to control treatment (0%). The root, shoot, seedling length and number of leaves of T. aestivum significantly p < 0.05 decreased at 5% concentration of red pepper as compared to control. The root, shoot and seedling growth of T. aestivum was also significantly reduced at 1, 2, 3, 4 and 5% concentration of coriander as compared to control. The root, shoot and leaves dry weight of T. aestivum at 5% coriander extract treatment concentration decreased as compared to control. The tolerance in seedlings of T. aestivum to red pepper and coriander extract treatment was dose dependent as compared to control. The seedlings of T. aestivum showed low percentage of tolerance to pepper extract treatment than coriander extract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