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rinellus congregatu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6초

먹물버섯 Coprinellus congregatus에서 분열자를 사용한 형질전환 (Genetic Transformation of a Mushroom Forming Fungus Coprinellus congregatus to an Antibiotic Resistance Using Oidia Instead of Protoplast Generation)

  • 박남미;김동식;최형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9-61
    • /
    • 2006
  • 먹물버섯의 하나인 Coprinellus congregatus를 대상으로 유전자의 도입을 위한 형질전환실험에서 원형질체를 생성하지 않고 분열자 (oidium)를 사용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분열자는 20일 이상된 CKMM 한천배지에서 생성되며, 이를 밤샘배양으로 발아를 촉진시킨 상태에서 전기천공방법으로 항생물질 basta에 대한 형질전환을 수행한 결과 10-20 형질전환체/${\mu}g$ DNA의 수율로 형질전환체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 형질전환체들은 도입된 벡터가 염색체 상에 삽입되어 유전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Increase of Yeast Survival under Oxidative Stress by the Expression of the Laccase Gene from Coprinellus congregatus

  • Kim, Dong-Sik;Kwak, Eun-Jung;Choi, Hyoung-T.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4권6호
    • /
    • pp.617-621
    • /
    • 2006
  • Coprinellus congregatus secreted a laccase isozyme when the culture was transferred to an acidic liquid medium (pH 4.1). The laccase cDNA gene (clac2) was used as a probe for cloning of the genomic laccase gene (lac2) including the promoter (Plac2). The open reading frame (ORF) of lac2 had 526 deduced amino acids and four conserved copper binding domains as other fungal laccases. Recombinant plasmid (pRSlac2p-cDNA) of lac2 cDNA with its own promoter was transformed in Saccharomyces cerevisiae. Expression of the transformed lac2 gene wa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H_2O_2$) in yeast and the survival rate of the transformed yeast strain was greatly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strain transformed with pRS316 yeast vector.

먹물버섯의 자가분해 과정에 대한 미세구조 연구 (Ultrastructural Studies on the Autolysis of Coprinellus congregatus)

  • 최형태;조정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12-315
    • /
    • 2005
  • 먹물버섯의 하나인 Coprinellus congregatus에서는 자실체가 성숙된 후 곧 자가분해되어 먹물로 전환된다. 이 자가분해 과정과 관련된 가수분재 효소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자가분해과정과 연관된 미세구조의 변화를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자실체의 성숙과정에서 자실층과 자실하층에 존재하는 모든 세포질은 새로운 포자의 형성을 위하여 포자로 이동되는 것으로 보인다. 조직 내의 세포질의 고갈과 포자의 완성은 조직 내의 세포벽의 분해를 야기하는 것으로 보이며, 자실층과 자실하층의 세포벽은 동시적으로 분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먹물버섯의 자가분해가 세포질의 분해가 아닌 세포벽의 분해과정에 의한 것임을 보여 주었으며, chitin 분해효소와 같은 가수분해 효소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먹물버섯의 키틴질 분해효소에 의한 식물병원균류의 생장억제 (Growth Inhibition of Plant Pathogenic Fungi by a Chitinase of Coprinellus congregatus)

  • 강유리;최형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25-327
    • /
    • 2012
  • 먹물버섯 C. congregatus의 자가분해되는 자실체 조직에서 발현되는 chitinase (Chi2)가 식물병원성 균류인 A. alternata와 F. graminearum를 대상으로 고체배지와 액체배지에서 포자의 발아 및 균사 생장에 대하여 보이는 억제효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액체배지에서 $50{\mu}g/ml$의 Chi2 농도에서 A. alternata의 포자 발아가 90% 이상 억제되었고, $70{\mu}g/ml$의 농도에서 실험균류 모두 생장이 억제되었다. 고체배지에서 하루에 $6{\mu}g$씩 2회 더한 Chi2에 의하여 F. graminearum 균사 생장이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이때 균사의 branching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이형 재조합한 먹물버섯 Coprinellus congregatus Chitinase 1 (Chi1)의 발현과 생화학적 특성 분석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Heterologously Expressed Chitinase 1 (Chi1) from an Inky Cap, Coprinellus congregatus)

  • 유예은;최형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09-312
    • /
    • 2013
  • 진균류의 세포벽은 다양한 결합의 글루칸과 키틴질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의 생활사 전체에 해당하는 균사생장과 분화과정에서 키틴질 분해효소(chitinase)를 생성한다. 먹물버섯의 하나인 Coprinellus congregatus는 전 생활사 동안 최소 2종 이상의 chitinase를 생성한다. Chi1은 균사시기부터 버섯의 자가분해 시기까지 고르게 생성되며, chitinase 2는 버섯 자가분해 시기에 다량 생성된다. Chi1의 cDNA 유전자를 Pichia pastoris의 발현벡터의 하나인 pPICZB 벡터의 c-myc과 6x Histidine tag을 포함하는 Chi1 재조합 단백질 발현벡터를 구축하고 이를 발현시킨 후, Histidine tag에 의한 affinity chromatography 방법으로 Chi1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정제된 Chi1은 endochitinase의 기질인 4-nitrophenyl N,N',N"-triacetyl-${\beta}$-D-chitotrioside에 대하여 활성을 보였다. 이를 기질로 사용했을 때 최적 pH는 8.0이었고, 최적 온도는 $35^{\circ}C$로 확인되었다. $K_m$ 값과 $V_{max}$ 값은 각각 0.780 mM과 0.10 (OD $min^{-1}unit^{-1}$)로 나타났다. 이러한 생화학적 특성은 버섯 자가분해 시기에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는 Chi2가 exochitinase 활성을 보이며, pH 4.0에서 최대 활성을 보이는 것을 종합하면 상호 보완작용을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정제된 Chi1은 Alternaria alternata, Fusarium graminearum 및 Trichoderma harzianum 등과 같은 식물 병원성 균류에 처리한 결과 60 ${\mu}g/ml$ 농도에서 이들의 생장을 완전하게 억제하였다.

먹물버섯의 생성.자가소화 과정에서 laccase 및 chitinase의 발현 (Chitinase and Laccase Expression during the Fruit Body Development in Coprinellus Congergatus)

  • 김윤정;박혜연;조정원;최형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5-237
    • /
    • 2006
  • 먹물버섯은 버섯 시원체로부터 버섯이 성숙되는 과정에서 자가소화가 일어나 먹물이라 불리는 검은 액체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멜라닌을 생성하는 laccase, 균류 세포벽 성분의 하나인 키틴을 분해하는 chitinase의 관련을 분석하고자 Northern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시원체가 생성되고 버섯이 성숙되어 먹물을 생성하는 시기에 따라 멜라닌색소 생성 효소인 laccase와 킨틴분해효소인 chitinase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Coprinellus congregatus의 laccase 유전자 프로모터의 산성반응인자 분석 (Analysis of an acid-responsive element in a promoter of laccase gene in the inky cap, Coprinellus congregatus)

  • 김수연;;최형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49-253
    • /
    • 2016
  • 먹물버섯의 하나인 Coprinellus congregatus는 생활사 동안 여러 종의 laccase 효소를 생성한다. 균사 끝 효소와 버섯시원체 효소 및 sclerotium (균핵) 효소들은 모두 이 균의 분화와 관련되었다. 이핵체 균사를 산성 액체배지(pH 4.0-4.5)에 접종하면 새로운 laccase가 합성되어 분비된다. 이 laccase 유전자의 프로모터의 어느 부분이 산 충격의 신호에 관련된 단백질이 결합하는가 분석하기 위하여 녹색형광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유전자를 laccase 프로모터 2.0 kb 다음에 연결하고, 이를 형질전환 벡터인 pBARGEM7-1에 삽입함으로써 발현벡터를 구축하였다. 이 promoter-GFP 조합의 5'-region부터 차례로 제거한 짧은 길이의 이 발현벡터를 먹물버섯 교배형 a1균과 a2균에 형질전환 방법으로 도입시키고 phosphinothricin 저항성으로 형질전환체들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형질전환체 a1 (a1TF)과 a2 (a2TF)를 서로 교배하여 동형접합(homozygotic) 이핵체 형질전환체를 만들었다. 이들을 산성 액체배지에서 36시간 배양하고 균체를 모아 confocal microscope를 사용하여 형광을 분석하였다. Laccase 유전자의 전체 프로모터(2.0 kb)를 가진 발현벡터(F0-GFP)를 도입한 동형접합 형질전환체에서는 형광을 보였으나, 그 보다 짧은 길이(1.29 kb 이하)의 프로모터를 가진 형질전환체에서는 형광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에 근거하여 먹물버섯의 산 충격에 대한 신호를 받는 부위가 laccase 유전자 프로모터의 -2.0 kb ~ -1.29 kb 사이에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먹물버섯 키틴질 분해효소에 의한 인체유해성 Cryptococcus neoformans 세포벽 생성억제 및 Alternaria alternata에 기인한 생쥐의 피부알레르기의 감소 (Inhibition of cell wall synthesis in Cryptococcus neoformans and decrease of skin allergy induced with Alternaria alternata in mouse model by a chitinase from an inky cap)

  • 강유리;최형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26-229
    • /
    • 2016
  • 먹물버섯 Coprinellus congregatus의 버섯조직이 자가분해되는 시기에 발현되는 chitinase (Chi2)는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Cryptococcus neoformans의 세포벽 두께를 정상 세포벽의 32% 수준까지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세포 외 섬유상 물질도 제거하였다. Chi2 처리에 의하여 사람에게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Alternaria alternata의 생장은 물론 생쥐 모델에서 이 균에 의한 피부알레르기 증상도 감소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