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olymers

검색결과 866건 처리시간 0.035초

습도의 영향에 따른 PDMA-b-PS 친수성 블록공중합체 박막의 패턴 조절 (The Vertical and Lateral Ordering of PDMA-b-PS Block Copolymer Thin film via Control of Relative Humidity)

  • 정현중;김태준;방준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3호
    • /
    • pp.352-356
    • /
    • 2011
  • 리빙 프리 라디칼 중합법은 ATRP, NMP, RAFT 등의 방법이 있으며, 지난 수 십년간 매우 빠르게 발전해 왔다. 그 중에서 RAFT 중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최근에 학문적으로 크게 주목 받고 있다. RAFT 중합법은 다른 리빙 프리 라디칼 중합법에 합성할 수 있는 단량체의 종류나 합성의 제한이 비교적 작아서, 다양한 기능성 고분자를 쉽게 중합할 수 있으며, 합성한 고분자의 분자량 분포 또한 좁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RAFT 중합법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블록 공중합체, 댄드리머 등을 합성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RAFT 중합법을 이용해, 친수성 블록을 갖는 새로운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한다. Poly(ethylene-b-styrene)와 poly(ethylene-b-metharylate-bstyrene) 같은 블록 공중합체 박막을 이용해 용매 증발법에 의한 높은 수준의 정렬도를 갖는 연구가 진행, 보고되었다. 그리고 위의 2가지 연구에서 습도가 정렬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위의 연구에서 친수성 블록에 의한 영향을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다른 친수성 블록을 갖는 poly(N,Ndimethylacrylamide-b-styrene)를 RAFT 중합법에 의해 합성하고, 이를 이용해 박막 내에서 용매 증발법 중의 습도에 의한 영향을 일반화하고자 한다.

카르본산계 고성능감수제의 제조 및 그들의 시멘트 흡착성(I) (Preparation of High Range Water Reducer Containing Carboxylic Acid and Their Cement Absorptivity(I))

  • 김화중;강인규;김성훈;김우성;권영도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5-182
    • /
    • 1995
  • 스티렌과 무수말레인산의 라디칼 공중합에 의해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SMA)를 합성하고 SMA를 m-amino phenol과 치환반응하여 m-amino phenol 이 치환된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mSMA)도 합성하였다. 합성한 SMA와 mSMA를 황산화하여 각각 황산화 SMA(SSMA) 및 황산화 mSMA(SmSMA)를 제조하였다. 공중합체의 합성은 적외분광스펙트럼의 특성피크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원소분석 결과 mSMA의 m-amino phenol의 치환율은 44%이었고 이것은 황산화 과정을 거치면서 35%로 감소하였다. 공중합체의 시멘트에 대한 흡착실험 결과 공중합체의 첨가량이 적을수록 흡착율이 높게 나타났고, 첨가량에 관계없이 SSMA의 흡착율이 SmSMA의 그것보다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합성한 공중합체 (SSMA, SmSMA)는 시멘트 분산제로서의 가능성이 기대되어진다.

4차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이용한 저항형 습도센서 (II) : 4원 공중합체 (Resistive Humidity Sensor from Copolymers Containing Quaternary Ammonium Salt (II): Four Component Copolymers)

  • 이동근;임태호;전영민;공명선
    • 폴리머
    • /
    • 제31권4호
    • /
    • pp.302-307
    • /
    • 2007
  • 저항형 습도센서를 제조하기 위하여 [2-[(methacryloyloxy)ethyl]dimethyl] propylammonium bromide(MEPAB), [2-[(methacryloyloxy)ethyl]-2-hydroxyethyl]dimethylammonium bromide(MEHDAB), 2-[(methacryloyloxy)ethyl]trimethylammonium chloride(METAC), 그리고 n-butyl methylacrylate(BMA)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4가지 종류의 4원 공중합체 MEPAB/BMA/MEHDAB/METAC=4/4/1/1, 3/5/1/1, 2/6/1/1, 1/7/1/1을 blocked-isocyanate가교제를 사용하여 Ag/Pd 전극/알루미나에 도포한 후 좋은 내수성을 보여주었다. 습도센서의 상대습도에 대한 주파수 의존성, 온도 의존성, 히스테리시스, 응답속도 그리고 내수성을 평가하였다. MEPAB/BMA/MEHDAB/METAC=2/6/1/1 공중합체의 경우, $30{\sim}90%RH$에서 $1.4\;M{\Omega}{\sim}2.9\;k{\Omega}$의 저항을 보여주었으며 좋은 직선성과 작은 히스테리시스를 보여주었다.

Synthesis and Design of Electroactive Polymers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Thermal Stability in Organic Photovoltaics

  • 김범준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2-11.2
    • /
    • 2011
  • Polymer based organic photovoltaics have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due to the potential cost-effectiveness of light-weight and flexible solar cells. However, most BHJ polymer solar cells are not thermally stable as subsequent exposure to heat drives further development of the morphology towards a state of macrophase separation in the micrometer scale. Here we would like to show three different approaches for developing new electroactive polymers to improv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BHJ solar cells, which is a critical problem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these solar cells. For one of the examples, we report a new series of functionalized polythiophene (PT-x) copolymers for use in solution processed organic photovoltaics (OPVs). PT-x copolymers were synthesized from two different monomers, where the ratio of the monomers was carefully controlled to achieve a UV photo-crosslinkable layer while leaving the ${\pi}-{\pi}$ stacking feature of conjugated polymers unchanged. The crosslinking stabilizes PT-x/PCBM blend morphology preventing the macro phase separation between two components, which lead to OPVs with remarkably enhanced thermal stability. The drastic improvement in thermal stabilities is further characterized by microscopy as well as grazing incidence X-ray scattering (GIXS). In the second part of talk, we will discuss the use of block copolymers as active materials for WOLEDs in which phosphorescent emitter isolation can be achieved. We have exploited the use of triarylamine (TPA) oxadiazole (OXA) diblock copolymers (TPA-b-OXA), which have been used as host materials due to their high triplet energy and charge-transport properties enabling a balance of holes and electrons. Organization of phosphorescent domains in TPA-b-OXA block copolymers is demonstrated to yield dual emission for white electroluminescence. Our approach minimizes energy transfer between two colored species by site isolation through morphology control, allowing higher loading concentration of red emitters with improved device performance. Furthermore, by varying the molecular weight of TPA-b-OXA and the ratio of blue to red emitters,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omain spacing on the electroluminescence spectrum and device performance.

  • PDF

폴리펩티드-의약 전달체 및 폴리펩티드 공중합체의 합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 (Ⅰ) L-Lactic Acid 와 L-Glutamic Acid 공중합체의 합성 및 그의 물성 (Studies on Synthesi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Polyester and Polypeptide for Drug Delivery System Ⅰ.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opolymer of L-Lactic Acid and L-Glutamic Acid)

  • 김홍범;성용길;정재희;백형게;민태진;김영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03-210
    • /
    • 1990
  • 의약 전달체에 사용되는 생체분해성 고분자로서 L-lactic acid 와 L-glutamic acid가 각기 다른 조성비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Poly (L-lactide)는 zink oxide를 이용하여 합성하였으며, Poly (L-lactide) 말단에 3-Amino-l-propanol을 도입시킨 다음 이미 합성된 γ-benzyl-L-glutamate-N-carboxyanhydride (γ-BLG-NCA)를 개환중합시켜서 block copoly (L-lactide-γ-benzyl-L-glutamate)를 합성하였다. NMR로써 L-lactide와 γ-BLG-NCA가 서로 일정한 비율로 이루어진 공중합체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생성된 공중합체들의 열적성질은 시차주사열량계법 및 열무게 측정법으로 조사하였다.

  • PDF

저온특성을 갖는 이온전도성 고분자의 합성 연구 : I. 비정형 PEO 공중합체의 합성 및 분석 (Synthesis of Ion Conducting Polymer Having Low Temperature Characteristics : I.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morphous PEO Copolymer)

  • 황승식;조창기
    • 폴리머
    • /
    • 제24권1호
    • /
    • pp.133-139
    • /
    • 2000
  • 분자량이 200 또는 400인 poly(ethylene glycol) (PEG 200, PEG 400)을 알칼리 존재하에서 다양한 linking agent (CH$_2$C1$_2$, CH$_2$Br$_2$, CH$_2$I$_2$, Br(CH$_2$)$_3$Br)와 반응시켜 oxyalkylene-linked poly(oxyethylene)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alkali/CH$_2$C1$_2$/PEG의 당량비를 달리하여 조절하였으며 PEG 200을 사용하였을 경우 약 500~8500, 그리고 PEG 400을 사용하였을 경우 약 1000~2000정도이었다. 말단의 -OH기 농도 적정에 의한 분자량과 GPC에 의해 얻어진 분자량은 서로 거의 일치하였다. PEG 400으로부터 얻어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약 -75$^{\circ}C$정도였고, 용융온도가 1$0^{\circ}C$정도였으며 결정화도가 0~25% 정도이었다. 또한 PEG 200을 이용하여 합성된 공중합체의 경우는 분자량이 2500이하에서는 완전한 비정형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2-비페닐릴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제조와 2-페닐페놀의 방출 (Preparation of Poly(2-biphenylyl acrylate-co-methacrylic acid) and Release of 2-Phenylphenol)

  • 현석희;김민우;전일련;손석호;백창훈;김우식
    • 폴리머
    • /
    • 제30권1호
    • /
    • pp.80-84
    • /
    • 2006
  • 항균제인 2-페닐페놀을 아크릴로일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2-비페닐릴아크릴레이트(BPA)를 합성하고 이를 메타크릴산(MA)과 라디칼 공중합시켜 2-페닐페놀 moiety를 가지는 친수성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핵자기공명 스펙트라로부터 구한 이들 고분자중의 BPA와 MA 단량체의 조성을 사용하여 Kelen-Tudos 플로트로 결정한 단량체 반응성 비는 0.86과 1.21이였다. 이 결과는 제조된 poly(BPA-co-MA)가 이상적인 랜덤 공중합체라는 것을 뜻한다. 자외선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이들 공중합체의 가수분해로 방출된 2-페닐페놀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pH가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공중합체중의 친수성의 MA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방출된 2-페닐페놀의 양이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제조한 고분자는 2-페닐페놀을 조절방출하는 고분자 항균제라는 것을 의미한다.

지방족 copolyester 및 copolyesteramide의 합성과 분해성(2) (Synthesis and Degradability of Aliphatic Copolyester and Aliphatic Copolyesteramide(2))

  • 김우식;현석희;전일련;강혜정;이치규;김승환
    • 공업화학
    • /
    • 제7권3호
    • /
    • pp.481-489
    • /
    • 1996
  • 이 연구에서는 촉매로서 tetraphenyltin을 사용하여 D,L-lactide (2-LA)와 ${\beta}$-methyl-${\delta}$-valerolactone(MVL)의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그 물성을 조사하였다. 공중합체중의 lactic acid반복단위(LA)의 조성은 단량체 공급에서의 LA조성보다 높았다. 공중합체중의 그 조성은 공중합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그 공중합체의 수율과 분자량은 공급조성중의 LA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공중합에 있어서 2-LA의 반응성이 MVL의 반응성보다 크다는 것을 뜻한다.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은 54,000에서 63,000의 범위에 있었고 다분산성지수는 1.7에서 2.1의 범위에 해당하였다. 공중합체는 융점을 나타내지 않았고 유리전이온도만 나타내었다. Lipase에 의한 공중합체의 분해성의 경향은 L-lactide-MVL 공중합체의 분해성의 경향과 거의 같았다.

  • PDF

Poly(ethylene naphthalate)/Poly($\varepsilon$-caprolactone) 용융 블렌딩에 의하여 발현된 공중합체의 Randomness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andomness of Poly(ethylene naphthalate)/poly($\varepsilon$-caprolactone) Copolymer by Melt Blending)

  • 강호종;한규일;김환기
    • 폴리머
    • /
    • 제24권5호
    • /
    • pp.664-672
    • /
    • 2000
  • Poly(ethylene naphthalate)/poly($\varepsilon$-caprolactone) (PEN/PCL)의 용융 블렌딩시 필연적으로 발현되는 상호에스테르 교환반응은 PEN/PCL 공중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블렌드의 조성비, 상호에스테르 교환반응 조건 그리고 사용된 촉매가 형성된 공중합체의 randomness와 평균 sequence length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과 블렌드의 생분해 특성과의 관계를 확인하여 보았다. 용융 블렌딩에 의하여 얻어진 PEN/PCL 공중합체는 randomness가 0과 1사이인 것으로 보아 블럭 공중합체임을 알 수 있었으며, 열처리 시간과 온도의 증가 그리고 촉매의 첨가에 의하여 randomness가 1에 근접하고 PEN과 PCL의 평균 sequence length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랜덤 공중합체로 변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공중합체의 생성과 랜덤화는 PEN/PCL 블렌드의 생분해성 감소를 초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폴리올레핀 기반 블록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정밀 제조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controlled preparation of polyolefin based block or graft copolymers)

  • 이종헌;홍성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1호
    • /
    • pp.30-38
    • /
    • 2013
  • 폴리올레핀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용되는 범용성 고분자로 물성이 우수하고 가격경쟁력이 높기 때문에 오랜 시간 동안 산업적 요구에 따라 발전하여 왔다. 그러나 폴리올레핀은 비극성 재료로서 다른 물질과의 상호 작용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 용도가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폴리올레핀 사슬에 극성기를 도입함으로써 그 응용 분야를 확장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폴리올레핀에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블록 공중합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대표되는 분절 공중합체를 합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중합체는 폴리올레핀 고유의 물성 손실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 받고 있다. 또한 리빙 라디칼 중합법을 이용하면 잘 제어된 구조와 조성을 가지는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중합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리뷰에서는 리빙 라디칼 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올레핀 기반 블록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예들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