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intervention

검색결과 799건 처리시간 0.025초

도구나 수기를 이용한 연부조직 가동술이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M using Instrument or Manual Therapy on Muscle Activity)

  • 김충유;강종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00-205
    • /
    • 2020
  • 본 연구는 도구를 이용한 연부조직 가동술(IASTM)과 도수 근막이완술(MFR)이 위팔두갈래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모든 대상자는 3일 동안 실험에 참석하여 위팔갈래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첫 날은 중재 전 근활성도 값을 측정하였고, 남은 이틀은 임의의 순서로 각각의 수기요법을 중재 후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근활성도 값은 대응t검정과 독립t검정을 통해 비교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두 중재(IASTM, MFR) 모두 중재 전후로 유의하게 위팔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증가하였고, 중재 후 집단간 근활성도 값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두 수기요법(IASTM, MFR) 모두 신경근 조절 능력의 증진에 효과적임으로 사료된다.

국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김두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43-25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비약물적 중재를 수행한 문헌을 검색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추후,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간호학에서의 비약물적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으로 Whittemore & Knafl가 제시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비약물적 중재를 수행한 연구는 최종 11편 이었으며, 연구의 질적 수준은 두 집단 비무작위 연구가 9편, 단일 집단 비무작위 연구가 2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0년 이후의 연구가 10편이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가 수행되었다. 경도인지장애노인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는 인지강화 프로그램 4편, 운동프로그램 6편, 음악프로그램 1편이었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수행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는 각 연구마다 다양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지속적인 반복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정환경 수정과 과제기반 중재의 융복합 접근이 지역사회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 및 활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Convergence Approach of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and Task-oriented Intervention on Fall Efficacy and Activity Level of Person with Stroke in the Community)

  • 김수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9-4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조공학 기술을 적용한 가정환경 수정과 낙상 안전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과제기반 중재를 함께 적용하는 융복합 접근법이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활동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뇌졸중 환자 41명 대상자(실험군 21명, 대조군 20명)는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졌다. 실험군에는 환경수정과 낙상 안전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과제기반 중재를 4주간 적용하였다. 대조군에는 가정환경 수정만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에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orean Activity Card Sort, KACS), 한국형 낙상효능감 측정도구(Falls Efficacy Scale-Korean version, FES-K)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낙상효능감과 활동수준의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모두 중재 이후에 낙상효능감과 활동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임상 현장에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가 지역사회에서 안전하게 생활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갑상선 질환자에게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Systematic review of the intervention program applied to patients with thyroid disease - Focused on Domestic studies)

  • 오현주;조정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17-326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갑상선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중재 연구 프로그램의 특성과 결과변수를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국내 5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2019년까지 발표된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확인한 824편 중 선정기준에 맞는 6편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프로그램은 교육, 활동, 상담으로 분류되었다. 교육 및 상담요법은 심리사회적인 변수와 신체생리적인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활동요법은 신체생리적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국내 갑상선질환자를 위한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방안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갑상선질환자의 신체생리적 기능과 심리사회적 문제를 고려한 융합적 프로그램개발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당뇨병환자에게 적용한 중재프로그램 연구논문 분석 (Analysis of Reported Study on Intervention Programs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 송갑선;김호진;전점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541-551
    • /
    • 2015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에게 적용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국내 연구논문의 내용을 분석한 연구이며, 검색은 Riss4u, 국회도서관, 국립 중앙도서관 등을 이용하였다. 검색어는 "당뇨병 환자", "당뇨병환자와 교육", "당뇨병환자와 운동", "당뇨병환자와 중재", "당뇨병환자와 교육 또는 운동"이었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53편의 논문을 중재프로그램의 적용방법 및 효과변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유형은 총 8가지이며 사용된 효과변수는 113가지이다. 가장 많이 사용된 유형은 교육과 상담을 동시 적용한 경우 이며 당 대사, 자가 간호, 자기 효능감이 자주 사용되는 종속변수였다. 중재프로그램의 적용방법은 다양하였으며, 효과변수의 결과는 효과가 없거나 상이한 경우도 있었다. 향후 중재프로그램의 기대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디지털 융합 시대에 적합한 체계적인 내용 구성 및 운동이 적극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사회 심리적 변수를 포함한 효과변수의 선정 및 효과변수 측정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한국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우울 감소 프로그램의 융합적 분석 (Convergence analysis of Depression managing Program for Menopausal Women in Korea)

  • 방윤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57-264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갱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해 시행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주요결과를 고찰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시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국내 database로 RISS, KMbase, KoreaMed, KISS를 통해 검색 하였으며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0년 동안 출판된 국내논문으로 제한하였다. 총 14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제공된 다양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중 운동요법은 우울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재방법은 구두교육, 시범교육, 실습을 제공하였고, 중재횟수는 주1~6회, 1회당 60분 제공, 중재기간은 5~10주, 중재효과 측정 시기는 6~12주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갱년기여성의 우울은 일시적, 단기적으로 나타나는 정서상태가 아니므로, 일상생활에 구애 받지 않고 스스로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운동요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국내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중재에 대한 효과 연구: 메타분석 (The Effectiveness of Stress Intervention Program for Hemodialysis Patients in Korea: A meta-analysis)

  • 배연희;이고운;염혜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61-37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적용된 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을 메타분석하여 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 스트레스 중재 방법의 특성과 경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분석대상연구는 총 10편으로 MINORS를 사용하여 문헌의 질평가를 실시하였으며, Comprehen sive Meta Analysis Version 3.0 및 Review manager version 5.3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질 평가 점수는 21.2점이었으며, 중재프로그램의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크기는 -.72, 생리적 스트레스 중 코티졸의 효과크기는 -.52로 보통의 효과를 보였다. 하위그룹 분석에서 음악요법, 아로마요법, 투석 중 중재, 개인중재, 1회당 60분 이상의 중재, 총 10~20회기 중재의 효과가 더 컸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추후 효과적인 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배정 실험연구가 더 필요하다.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in Improving Maternal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Complementary Feeding Practices: A cluster-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Ondo State, Nigeria

  • Akinrinmade, Remilekun;NJOGU, Eunice;OGADA, Irene Awuor;KESHINRO, Olufunke Oluremi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5권4호
    • /
    • pp.1-10
    • /
    • 2019
  • Significant low knowledge and poor attitudes on complementary feeding undermine the practices. This study was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which 284 study participants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One intervention group and a control group in a ratio of 1:1. Nutrition education on complementary feeding was carried out among the caregivers in the intervention group but the caregivers in the control group were not educated. To determine complementary feeding knowledge and attitudes, data was collected from caregiver at baseline, midline and at endline using researcher-administered questionnaires.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2.0. From th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ementary feeding knowledge of the caregivers after the intervention. The baseline difference was -0.06, the midline difference was 3.85 the endline difference was 4.00 and the DID of the baseline and endline was 4.06 which was significant at p=0.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of the caregivers towards complementary feeding at baseline (-0.14), midline (2.09), endline (3.82) and the DID of baseline and endline was 3.96 which was significant at p=0.001. The intervention improved the caregivers' knowledge on complementary feeding and it improved the attitudes of the caregivers towards adequate complementary feeding.

장애인 신체활동 증가를 위한 운동중재에 관한 연구: 융합형 디바이스 활용 관점에서 (A Study on Exercise Intervention for Improving Physical Activity for the Disabl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gence Device)

  • 강선영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85-9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신체활동량 증가를 위해 다양한 디바이스를 적용한 운동중재 동향을 분석하고, 특히 인구고령화로 인한 장애인 노년층 증가에 따른 시대적 니즈에 부합하는 융합형 디바이스 활용 운동중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장애인에게 적용 가능한 융합형 디바이스 활용 운동중재는 첫째, 가상현실 기반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운동중재방식, 둘째, 밴드, 시계 등과 같은 착용형 또는 신체부착형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운동중재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장애노인들에게 즐거움과 환경적 제한의 최소화, 개별화가 용이한 융합형 디바이스를 활용한 운동중재를 위해서는 편리한 조작과 간편한 운영규칙, 손쉬운 장치 설치 및 착용 방식, 미숙한 디바이스 활용능력을 보완해줄 수 있는 지도자와 같은 구성요건이 필요하며, 인지능력과 신체적 기능의 현저한 저하를 경험하게 되는 장애인 노년층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유지 및 향상을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친숙하게 경험할 수 있으면서도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경험이 가능한 신체활동 게임이나 신체활동량 증가를 위한 다양한 디바이스의 활용이 필요하며, 이는 장애를 가진 노인의 긍정적인 신체활동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국소 진동 자극과 양쪽 팔 훈련의 융합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팔 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nvergence Intervention of Focal Vibration Stimulation an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on Recovery of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김선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95-10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소 진동 자극과 양측성 팔 훈련의 융합 중재를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했을 때, 팔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20명의 뇌졸중 환자를 국소 진동 자극과 양측성 팔 훈련의 융합 중재를 실시한 실험군과 양측성 팔 훈련만 실시한 대조군으로 나누어, 회기 당 30분씩 4주간, 총 20회 실시하였다. 진동자극은 실험군의 손상측 팔에 훈련이 이루어지는 30분간 적용되었다. 평가는 손상 측 팔의 회복정도와 양측 팔 의 사용량, 양손 사용의 수행의 질과 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그룹 내, 공분산 분석을 사용하여 그룹 간 비교를 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손상 측 팔의 기민성과 손상 측의 사용량에서 유의한 차이의 변화를 보였다. 효과 크기는 모든 항목에서 작은 효과 크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소 진동 자극과 양측성 팔 훈련의 융합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팔 기능 회복을 위한 효율적 중재로써 임상에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