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body stabilization exercis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8주간의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천장관절 증후군 남성의 근체형 및 주관적 통증정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l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to Muscle Body Type and Subjective Pain Degree of Men Who Have Sacroiliac Joint Syndrome)

  • 백순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651-658
    • /
    • 2014
  • 본 연구는 천장관절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중년남성 17명을 대상으로 슬링을 이용한 요부 안정화 운동이 근체형 및 주관적 통증에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여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의 효과성을 증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C시에 소재한 S정형외과에서 X-Ray 등의 검사를 통하여 천장관절 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6개월 이상의 병력이 있는 만성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을 8주간 주 3회씩 1회 30분 통 24회 실시한 후 3차원 Moire 근체형검사기를 사용하여 근체형의 변화와 변형된 VAS통증 자각도를 이용하여 주관적 통증정도의 전 후 변화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근체형의 변화는 운동전과 운동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됐고 주관적 통증정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은 천장관절 증후군 환자의 근체형 및 통증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대면, 비대면, 자가운동에 따른 체간안정화 운동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according to face-to-face, non-face-to-face, and self-exercise on balance ability)

  • 이경은;김소은;김현정;전정우;홍지헌;유재호;김진섭;김성길;남연교;이동엽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65-7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체간 안정화 운동으로 대면, 비대면, 자가로 실시하였을 때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신체적으로 질병이 없는 건강한 20대 36명을 모집하였다. 대상자들은 무작위로 세 그룹으로 나뉘어져 체간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중재 전후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을 각각 측정하였다. 대면 및 비대면 그룹에서 중재 전, 후 동적 균형 및 정적 균형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자가운동군은 동적균형 3방향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정적균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대면 및 비대면 운동이 체간 안정화 운동이 정적균형과 동적균형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균형 능력 향상을 위한 비대면 운동의 사용 가능성을 지지하며, 균형 능력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체 능력에 대한 비대면 운동의 효과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Acupuncture in Sport Recovery: A Brief Review

  • CHAPLEAU, Christopher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6권2호
    • /
    • pp.23-26
    • /
    • 2020
  • Active and therapeutic sport recovery is becoming a popular and important component in approving performance for pro and recreational athletes alike. It is also helping in the realm of injury prevention. In the search of finding modalities that are widely effective, natural, and safe, acupuncture is a viable and cost-effective treatment for helping athletes achieve this goal. More direct related research is needed, but testimonials from pro athletes and the body of research that currently exists provides powerful evidence on acupunctures ability to help with enhancing recovery. Specializing in acupuncture and exercise science, Chris integrates acupuncture into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therapy or fitness training for pain modulation, speedy recovery, and enhanced performance. Clients can choose to focus on one-on-one corrective exercise therapy, manual and massage therapy, or acupuncture. However, for best results, Chris recommends all three. Other modalities that he uses in therapy are acu-taping, herbal therapy, nutrition supplementation, cupping, guasha, and stretching techniques. The corrective exercise component is one-on-one body balancing management, focusing on strength and conditioning, post physical rehab - exercise therapy, integrative sport specific exercise, weight loss, core strengthening, dynamic lumbar stabilization, active recovery techniques, and myo-fascial release techniques. The acupuncture component focuses on sport injuries, myofascial pain, peripheral neuropathy, arthritis, facial rejuvenation, stress, smoking cessation, addiction detoxification program, weight management, sport recovery and performance.

융복합적 신체안정화운동이 고등학교 축구선수의 시각반응속도와 기능적 움직임, 균형 및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vergence body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visual response speed and functional movement, balance, and vital capacity of High School Football Players.)

  • 서연순;송인영;윤종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191-20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남자 축구선수 24명을 대상으로 10주간 신체안정화운동 프로그램 중재 후 기술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블레이즈포드로 시각반응속도 검사를 시행한 결과 위팔, 왼발, 오른발의 15초간 반응횟수와 반응시간(p<0.001)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기능적 움직임 평가하기 위해 7가지 동작의 향상 여부 평가결과 허들건너기(p<0.001), 능동적폄다리올리기(p=0.022) 동작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균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와이발런스 평가결과 양쪽 복합점수(p<0.001)가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기동력과 근지구력을 평가하기 위해 폐활량 측정결과 노력성폐활량(p<0.001)과 1초간 강제날숨량(p=0.003)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10주간 신체안정화운동 중재 후, 경기에 필요한 기술 체력인 순발력, 민첩성, 다리 근력, 다리의 안정성, 기동력, 근지구력을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고, 이러한 기술체력의 향상은 축구선수들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경기력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