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rastive Reduplica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A Focus Account for Contrastive Reduplication: Prototypicality and Contrastivity

  • Lee, Bin-Na;Lee, Chung-Min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259-267
    • /
    • 2007
  • This paper sets forth the phenomenon of Contrastive Reduplication (CR) in English relevant to the notion of contrastive focus (CF). CF differs from other reduplicative patterns in that rather than the general intensive function, denotation of a more prototypical and default meaning of a lexical item appears from the reduplicated form resulting as a semantic contrast with the meaning of the non-reduplicated word. Thus, CR is in concordance with CF under the concept of contrastivity. However, much of the previous works on CF associated contrastivity with a manufacture of a set of alternatives taking a semantic approach. We claim that a recent discourse-pragmatic account takes advantage of explaining the vague contrast in informativeness of CR. Zimmermann's (2006) Contrastive Focus Hypothesis characterizes contrastivity in the sense of speaker's assumptions about the hearer's expectation of the focused element. This approach makes possible adaptation to CR and recovers the possible subsets of meaning of a reduplicated form in a more refined way showing contrastivity in informativeness. Additionally, CR in other languages along with similar set-limiting phenomenon in various languages will be introduced in general.

  • PDF

한국어와 표준 중국어 부분 중첩 의성·의태어에 대한 운율 형태론적 분석의 문제와 최적성 이론적 분석을 통한 대조 분석 (Study into prosodic morphological analysis in Korean and Standard Chinese partial reduplication and contrastive analysis using optimality theory)

  • 장재웅
    • 비교문화연구
    • /
    • 제49권
    • /
    • pp.275-301
    • /
    • 2017
  • 본 논문은 부분 중첩으로 만들어진 한국어 상징 부사를 대상으로 한 중국 학자 왕홍군(王洪君)의 운율 형태론적 분석의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필자는 왕홍군(王洪君)과는 달리 부분 중첩 현상을 일관되게 접두사화로 가정하고, 접두사 부가 방식에 대한 분류를 시도해 보았으며, 그 결과 어간의 형태, 특히 말음으로 나타나는 소리 자질은 접두사 부가의 양상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준 중국어 의성어 부분 중첩 현상에서 접두사 부가에 대한 최적성 이론적 분석을 보이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와 표준 중국어 의성 의태어의 제약 등급 순위를 대조한 결과 중첩의 적용 양식이 같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두 언어에서 공히 설단음 /t/와 유음 /l/이 특별한 지위를 갖고 있는 이유를 기능론적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이로써 본 논문에서는 최적성 이론의 틀 안에서 중요한 몇 개의 제약과 그들의 특정 등급만으로 다양한 유형의 한국어와 표준 중국어의 부분 중첩 의성 의태어를 쉽게 분석할 수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