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ual Elements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초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의 실행 적합성 평가 - 맥락 요소를 중심으로 - (An Evaluation of Practical Implementability of Records Management Metadata Standard: With Special Emphasis on its Contextual Elements)

  • 설문원;조은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5-243
    • /
    • 2010
  • 이 논문은 메타데이터 표준 요소 중 특히 맥락 관련 요소를 실행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요소들이 국가기록원이 개발 보급한 표준 RMS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RMS 데이터 테이블, 장기보존포맷 기술규격 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둘째, 표준 RMS를 운영 중인 4개 공공기관과 국가기록원 RMS 운영센터를 방문하여 RMS를 통한 데이터 조회와 면담을 토대로 메타데이터 축적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공공표준 측면과 RMS 기능 개선 측면으로 나누어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시각적 몰입감 향상에 관한 VR 게임의 사용자 평가 연구 (A Study on User Evaluation of VR Games on Improving Visual Immersion)

  • 이랑구;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407-413
    • /
    • 2022
  • 본 연구는 초기 연구를 통해 제작하고 개발한 'COVID-19 SABER' VR 게임의 기술적, 내용적 구성 요소가 사용자의 시각적 몰입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용자 체험과 설문을 통해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먼저, 기술적 구성 요소의 해상도, 시야각, 이펙트, 디자인 품질에 관한 가설은 채택되었고, 프레임 레이트, 조명의 밝기에 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다음으로, 내용적 구성 요소의 가설은 배경, 연출, 색상과 질감, 흥미와 재미에 관한 가설은 채택되었고, 스토리텔링에 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정리하면, VR 게임의 시각적 몰입감 향상을 위해서는 기술적 구성 요소의 해상도, 시야각, 이펙트, 디자인 품질과, 내용적 구성 요소의 배경, 연출, 색상과 질감, 흥미와 재미를 중심으로 설계하고 제작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사용자의 시각적 몰입을 유도하고 향상할 수 있는 VR 게임의 제작 및 개발 분야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Contextual Models of Business Application Software Architecture

  • Koh, Seokha;Ji, Kyoung-Sook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0권3호
    • /
    • pp.1-18
    • /
    • 2013
  • Software architecture is the blueprint for a software system and should provide consistent guidelines for design,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throughout the entire lifecycle of the system. Components, interactions between the components, well-formed structure, reasons, and various perspectives reflecting various stakeholders' concerns changing through the phases of software lifecycle are the key elements of software architecture. The architect identifies and engages the stakeholders, understands and captures stakeholder's concerns including those regarding life cycle, and lets the concerns reflected in the architecture. To do so, architect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various contextual elements regarding the system too. We make an extended list of the elements, especially those of business application software architecture, that the architect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and construct a model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lements.

도서추천 시스템 개선을 위한 도서이용 맥락 요소 탐색 (Exploring the Contextual Elements of Book Use to Improve Book Recommender Systems)

  • 심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99-324
    • /
    • 2022
  • 본 연구는 기존의 도서추천 시스템 연구에서 간과되어 온 도서이용의 맥락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도서탐색 배경을 지닌 적극적인 도서 이용자 15명을 대상으로 6가지 도서탐색 상황에서 생성하는 내용을 사고구술(think-aloud) 프로토콜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도서이용 내용은 내용분석 과정을 통해 독자자문 서비스의 이론적 개념인 '어필 요소(appeal factor)'를 토대로 도서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 어필 요소와 외부 어필 요소를 각각 식별하였으며, 도서탐색에 사용하는 정보원과 탐색방법 관련 개념들을 또한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서추천 시스템 설계에 의미 있는 속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반영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XACML 정책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문맥적 요소 및 추가 정보의 효과적인 수집 방안 (Effective Methodology for Collecting Contextual Factors and Information that Affects The XACML Policy Evaluation)

  • 안윤근;이기찬;이욱진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82-87
    • /
    • 2018
  • 접근 제어 분야에서 정책 충돌 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이슈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해결 방법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정책 충돌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충돌 원인을 먼저 확인해야 하며, 이를 위한 최소한의 조건으로써 정책 평가 결정에 영향을 준 정책의 문맥적 요소를 탐지할 필요가 있다. XACML 정책 언어 명세에 이를 정의하는 기능이 있으나 정책 작성자가 모든 문맥적 요소마다 일일이 정의해야 하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정책 충돌의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문맥적 요소 이외에 다른 정책 조합 알고리즘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책 충돌의 원인이 되는 문맥적 요소 및 추가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공공공간의 컨텍스트 표현 특성 연구 - 청계천 거리, 광화문 광장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of Public Space - Focused on the Case of the CheongGye-Cheon and the Gwanghwamun Square -)

  • 용은영;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88-96
    • /
    • 2011
  • In contemporary urban space, the identify is absent because of the object-oriented plans that ignore the context of urban space, and the ignorance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historicity of places. Due to this reason, urban space lost i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becomes a mismatch with its surrounding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ideological trend of post-modernism emerged and new spatial paradigm rose based on the contextual concept to go with this trend. This contextual concept should be considered more importantly in the public space with discontinuous many and unspecified behavioral patterns. The components of space do not exist independently with individual identity. They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a holistic view formed by the relations among elem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those relations, and through this, correct identity can be established. Thu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text of spatial components through new contextual views on public spaces and study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unveiled between these relations.

지구단위계획 지구에서의 건축디자인 결정에 관한 연구 - 광주 수완지구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rchitectural Design Decision in District Unit Plan Area - with Apartment Houses at Suwan District in Gwangju -)

  • 박현주;김윤학;윤인중;박주연;조용준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73-277
    • /
    • 2008
  • Architectural design guideline of Korea prescribed that district unit plan was established for development over fixed scale since 2000 and it was based on the intention to make district view contextually. But, it was not applicable to practice and as a result of research, setting of district image was not clear when development of district unit plan was completed and elements and contents of district unit plan for embodying it were finite or theoretical. In addition, architectural design neglected contextual view of the whole district based on district unit plan and was inclined to individual view within district, and architectural deliberation was also inclined to individual view within the district rather than contextual view rather than contextual view. Therefore, district unit plan requires decision of element and range as design management for setting image and embodying it when development is completed and architectural design or deliberation must be also premised on district view.

  • PDF

'맥락성' 관점에서 본 수학교과서의 문제 분석 (An Analysis on Mathematics Textbook Problems Focusing on 'Contextualization')

  • 김민경;박은정;허지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25
    • /
    • 2012
  • 본 연구는 Freudental의 수학관에 근거한 RME가 표방하는 현실 속 풍부한 맥락적 상황들로 이루어진 관점으로 초등학교 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 및 미국(3종) 교과서에서 제시된 문제의 맥락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맥락성의 요소를 일상성, 다양성, 수학적 잠재성으로 도출하여 맥락문제를 분류하여 분류된 문제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교과서는 미국 교과서에 비해, 맥락문제가 차지하는 비율 뿐 아니라, 과정별 맥락성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각 요소별 성향을 잘 나타내고 있는 문항을 분석, 기술함으로써 추후 교과서 개발 뿐 아니라, 문항 개발에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향단(香壇)의 건축공간(建築空間) 구성수법(構成手法)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Hyangdan)

  • 노동성;홍대형
    • 건축역사연구
    • /
    • 제8권3호
    • /
    • pp.39-5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heory of the spatial composition that is 'The Structure of Relation' in Korean traditional houses.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Hyangdan. The form composition is an element defining primitive functions and space and producing aesthetical effects, where 'quality as a substance' is not important but 'quality as a relation' is essential. Quality as a meaningful relationship comes from realization and regulation of visual attributes among form elements. Each form compositional element establishes the hierarchical structure logically with the entire order, In order for the quality of all form compositional elements to be clarified as a meaningful relationship logically, 'compositional concept' which combines a series of form elements into the grammatical dependence to a specific direction, has to be assumed. If the intrinsic relationship among a series of form compositional elements fails to confront with the 'contextual concept' which eventually indicates unique conditions for a place according to the refined compositional concept, the result of form composition never leads to a specific solution

  • PDF

장 누벨 작품 공간에 나타나는 맥락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xtual special quality in Jean Nouvel's projects)

  • 이찬;윤현숙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1-120
    • /
    • 2007
  • 본 연구는 우리의 현대 건축이 극복해야할 과제인 지역적, 역사적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써 맥락적 공간 표현을 하나의 가능성으로 제시하고 있다. 모더니즘 건축이 역사적, 장소적 맥락의 특수성을 거부하고 익명적인 공공성만을 지향하였다면, 이후의 포스트모던 건축, 지역주의건축 등은 다양한 역사적, 환경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단절되었던 맥락의 의미를 되살리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은 맥락을 피상적으로만 이해하여 건축의 소재로만 차용하였을 뿐, 끊임없이 변화하는 맥락을 수용해내지 못했다. 이러한 현대의 변화하는 맥락성에 대응 할 수 있는 공간 계획을 설명할 수 있는 건축가로 장 누벨을 선정하여 그의 건축공간에서 맥락적 표현 특성을 파악하고 작품을 사례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맥락주의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건축적 맥락의 특징을 장 누벨의 맥락적 공간 표현과 비교하여 그 관계성을 찾았고, 위상기하학적 조작, 표피의 물질성, 투명성을 통하여 장 누벨이 단지 건축과 공간 내부에만 머물지 않고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이해하고 독창적인 해석과 표현방식을 통해 맥락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를 통해 맥락성이란 임의적으로 추출되어 공간화 및 고정화된 것이 아니라,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흐르고 변화하는 유동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임을 시사해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