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nts of lignin

Search Result 22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느릅나무 근피의 화학조성분 및 항균성 물질(I) : 화학조성분 및 추출성분의 항균성 (Chemical Analysis and Isolation of Antibacterial Compound from Ulmus species(I) : Chemical Analysi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Extractives)

  • 김창순;이중명;최장옥;박성배;엄태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66-73
    • /
    • 2002
  • 느릅나무 근피와 점액질의 화학 조성을 분석하였고, 근피의 MeOH추출물을 각종 유기용제 및 수층으로 분획하고 각 분획물의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원소조성은 수종간의 차이는 없었지만, 목부의 질소 및 리그닌 함량은 사부보다 높았으며 회분 및 추출물양은 목부보다 사부가 높게 나타났다. 근피의 점액질은 냉수에 의해 매우 느리게 용출 되었으며, 높은 산성당 함량을 갖는 pectin 유사 물질이었다. 느릅나무 근피로부터 약 7% 정도의 메탄올 추출물이 얻어졌고 이 중 78%가 수용성 물질이었으며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월동전 예취 높이가 북방형목초의 월동성 , 이른봄 수량 및 양분생산에 미치는 영향 II. 초종별 예취 높이에 따른 일반성분 함량변화 , Energy 생산성 및 상관관계 (Effect of Cutting Height on the Winter Survival, Early Spring Yield and Energy Production of Italian ryegrass II.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 energy production and relationship of yields)

  • 신재순;박근제;차동호;이필상;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0-25
    • /
    • 198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cutting height on the chemical composition, energy production and relation of yields of Italian ryegrass, tall fescue and perennial ryegrass swards. It was carried out on the experimental field of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in Suweon, from Sept. 1986 to May 1987.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hemical composition and Van Soest fiber contents were slightly different among grasses. But were not same trend with cutting heights. At the late vegetative stage, crude protein and crude fiber content were much more in tall fescue, Ash in perennial ryegrass, E.E. and NFE in Italian ryegrass respectively. NDF, ADF, Hemicellulose, Lignin, Cellulose and Silica contents were much more in tall fescue than the others. 2. DM, DCP, TDN, StE, ME and NEL productions were appeared to high in line with Italian rye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In addition 6 cm cutting height was the most production in Italian ryegrass, 15 cm cutting height was the most production in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3. The much more content of crude protein, the less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ntent. The less content of NDF, the much more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ntent. Green and dry matter yield before wintering were not influence the green and dry matter yield of the late vegetative stage, but green yield before wintering influenced total green yield.

  • PDF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폐MDF의 전처리 및 효소 당화 (Pretreatment and Enzymatic Saccharification of Wasted MDF for Bioethanol Production)

  • 강양래;황진식;배기한;조훈호;이은정;조영손;남기두
    • KSBB Journal
    • /
    • 제30권6호
    • /
    • pp.332-338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bioethanol production from wasted medium density fiberboard (wMDF). We were investigated the enzymatic saccharification characteristics using the enzyme (Cellic CTec3) after pretreatment with sodium chlorite. According to the component analysis results, the lignin contents before and after the pretreatment of wMDF (milling using sieve size of $1,000{\mu}m$) was significantly reduced from 31.13% to 4.11%. Therefore, delignification ratio of pretreated wMDF was found to be up to about 87-89% depending on the sieve size. And we were tested to compare the saccharification ratio according to the sieve size of wMDF ($1,000{\mu}m$, $200{\mu}m$), but it was no significance depending on the sieve size. When enzyme dosage was 5% based on the substrate concentration, enzymatic saccharification ratio was obtained up to 70% by maintaining at $50^{\circ}C$ for 72 hours. We could made the substrate concentration of pretreated wMDF ($1,000{\mu}m$) up to 12% and then enzymatic saccharification ratio was 76.8%, also contents of glucose and xylose were analyzed to 77,750 and 14,637 mg/L, respectively.

AMINO ACID DIGESTIBILITY AS AFFECTED BY VARIOUS FIBER SOURCES AND LEVELS 2. THE RELATIONSHIP BETWEEN FIBER LEVELS AND AMINO ACIDS DIGESTIBILITY

  • Nongyao, A.;Han, In K.;Choi, Yun J.;Lee, N.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권4호
    • /
    • pp.353-361
    • /
    • 1990
  • A number of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on data from apparent and true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at ileal and fecal level with finishing pigs,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se amino acid digestibilities could be predicted with certainly degree on their fiber fractions content (chemical analysis). The data comprised 16 diets varying in 4 levels of crude fiber and from 4 fiber sources. The relationships between fiber fractions including crude fiber (CF), NDF, ADF lignin and cellulose contents on apparent and true digestibility of almost all amino acids in both ileal and fecal level were negative, except glutamine at fecal level. In apparent digestibility at ileal level, the correlations of fiber fractions were moderate (r of NDF = 0.53 to 0.63; ADF, 0.50 to 0.77; cellulose, 0.50 to 0.75), with an exception of CF content was relatively high (r of 0.58 to 0.81). The correlations to true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were weaker. In case of at fecal level, the higher correlation (negative) was found with NDF than CF content. Estimations of amino acids digestibility were performed using regression equation. The data showed that apparent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could be estimated for almost amino acids except arginine, threonine, valine and tyrosine at fecal level and phenylalaine, valine and glycine at ileal level. The best prediction at ileal and fecal level ($r^2=0.55-0.77$ and 0.52-0.76), respectively was obtained with NDF content. Prediction for true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none of fiber fractions could be estimated for arginine, leucine and valine at all collection levels. At ileal level, CF could be used for most of amino acids except phenylalanine, glycine and praline; cellulose, only for lysine and methionine and NDF, only for proline. At fecal level, glutamine digestibility could be estimated only from CF and ADF content. The best predictor at ileal level was ADF content whereas at fecal level was NDF cont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ignin content could not be used as predictor for all amino acids at both levels neither in apparent nor true digestibility.

가열처리 및 탄화처리 소나무재(Pinus densiflora Sieb. et Zucc.)의 구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III) - 소나무재 톱밥의 열분해 반응 - (Analysis of Structure an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Carbonized Pine Wood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Materials - Pyrolytic Behavior of Pine Wood Dust -)

  • 이인자;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66-274
    • /
    • 2014
  • 목재의 열분해 메카니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소나무재(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톱밥을 $180{\sim}450^{\circ}C$에서 열분해시켜 얻은 목탄과 휘발성 물질을 원소분석, IR과 GC/Mass로 분석하였으며, 활성화 과정이 목탄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600^{\circ}C$에서 탄화시킨 것과 $750^{\circ}C$에서 활성화시킨 목탄을 원소분석 및 IR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목분의 열분해는 $240^{\circ}C$ 부근에서 본격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하며, $270^{\circ}C$까지는 화학적 구조가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300^{\circ}C$에서 원소의 성분비와 IR 스펙트럼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 리그닌의 방향족 고리가 $450^{\circ}C$에서도 여전히 관찰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온도에서 분해되지 않은 리그닌이 일부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 활성화 시간은 활성탄의 화학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경운과 무경운 조건에서 벼 건답휴립직파재배의 질소분시비율 (Nitrogen Split Application of Direct-seeded Rice in Tillage and No-tillage Systems)

  • 이석순;홍승범;백준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05-412
    • /
    • 1992
  • 경운과 무경운 조건에서 수도를 건답휴립직파할 때 질소분시비율이 수도의 생육과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직파재배용으로 육성중인 밀양 9005의 건조종자를 6kg / 10a 수준으로 1990년 5월 17일 산파하고, 맥류휴립산파기로 복토하였다. 질소-인산-가리를 15-10-10kg /10a 수준으로 시용하였는데 인산과 가리는 모두 기비로 시용하였다. 질소는 기비 : 담수직후 : 담수 2주후 : 출수 25일전 : 출수기에 요소를 10 : 20 : 30 : 20 : 20%, 20 : 30 : 20 : 20 : 10%, 30 : 40 : 0 : 20 : 10%로 분시하였고, 완효성시비료는 질소가 40%이고, 비효특속기간이 120일인 latex 피복한 요소를 전량기비로 시용하였다. 경운에서는 무경운에 비하여 출수기가 1일 지정되었고, 출수기의 엽면적지수가 컸으며, 도복지수가 적었을 뿐 입묘수, 수량, 수량구성요소, 도복관련형질 및 간기부의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질소분시비율간에는 완효성비료 전량기비구에서 간장, 유효경비율, 간기중, 천립중, 수확지수가 더 컸으며, 무경운의 완효성비료 전량시비구에서 수량이 더 높았다. 완효성비료 시용구에서는 생육 초기에는 질소함유율과 흡수량이 가장 낮았지만, 출수기 이후에는 질소함유율과 흡수량은 다른 질소분시구보다 높았다. 분얼수는 완효성비료 시용구에서 가장 낮았고, 생육초기에는 질소의 기비비율이 높을수록 많았으며, 생육중기에는 20 : 30 : 20 : 20 : 10%의 분얼수가 가장 높았지만 유효경비율이 달라 수수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바랭이 우점 야초지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s of Crabgrass(Digitaria Sanguinalis L.) Dominant Sward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7-202
    • /
    • 1999
  •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L.) 우점 야초지의 건물수량, 사료가치 및 영양소 이용성 등을 구명하여 조사료원으로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숙기별 건물수량, 화학적 성분을 조사하였고, 재래산양 12두를 공시하여 혼파목초와 바랭이 우점 야초를 급여하여 섭취량, 건물소화율 및 질소와 에너지 이용성 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바랭이 우점 야초지의 평균 건물수량은 8,473kg/ha이었으며, 평균 CP, NDF, ADF 및 lignin 함량은 각각 13.0%, 74.1%, 38.6% 및 10.4%이었다. 건물섭취량은 바랭이 우점 야초지가 혼파초지에 비하여 다소 낮은 편이었으나 두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건물소화율, 세포내용물의 소화율, NDF 및 ADF 소화율은 바랭이 우점 야초지가 혼파초지에 비하여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질소 및 에너지의 이용성은 바랭이우점 야초지가 혼파초지에 비하여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바랭이 우점 야초지는 혼파초지에 비하여 건물섭취량과 소화율 및 질소와 에너지이용성 등이 다소 낮은 편이지만, 시비를 하지 않고 연간 8,473kg/ha의 건물수량을 얻을 수 있어 부존 조사료원의 하나로 이용 가능성은 크다고 하겠다.

  • PDF

예취시기를 달리한 건초의 섭취량이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ake on Digestibilty of Grass Hay Harvested at Different Cutting Dates)

  • 성경일;김창주;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1-115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은 예취시기(刈取時期)를 달리하여 조제(調製)된 건초(乾草)를 이용(利用)하여 예취시기(刈取時期)와 섭취량(攝取量)이 소화율(消化率)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檢討)하였다. 목초(牧草)는 6월(月) 4일(日)(영양생장기(榮養生長期))과 6월(月)30일(日)(출수기(出穗期))에 예취(刈取)된 1 번초(番草)로 건초(乾草)를 조제(調製)하였으며 이 건초(乾草)는 제한급여(制限給與)와 수준(水準)으로 급여(給與)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취시기(刈取時期)가 지연(遲延)됨에 따라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조지방함량(粗脂肪含量)은 감소(減少)하였고, 섬유질(纖維質) 및 lignin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2. 조기예취건초구(早期刈取乾草區)와 만기예취건초구(晩期刈取乾草區)의 건물섭취량(乾物攝取量)은 각각(各各) $82g/W_{kg}^{0.75}$$68g/W_{kg}^{0.75$이였다. 3. 조기예취건초구(早期刈取乾草區)에서 제한급여(制限給與)와 자유채식간(自由採食間)의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에서는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며, 배분상태(排糞狀態)를 고려(考慮)하지 않은 무제한급여(無制限給與)에서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조단백질(粗蛋白質), 유기물(有機物) 및 섬유질소화율(纖維質消化率)에서도 유의차(有意差)는 없었으나 자유채식(自由採食)했을 때가 감소(減少)하는 경향을 보였다. 4. 만기예취건초구(晩期刈取乾草區)의 경우 조단백질소화율(粗蛋白質消化率)을 제외한 전성분(全成分)의 소화율(消化率)이 섭취량(攝取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유의(有意)하게 감소(減少)하였다. (P<0.05 혹은 P<0.01) 5. 조기예취건초구(早期刈取乾草區) 와 만기예취건초구간(晩期刈取乾草區間)의 소화율(消化率)을 비교하면 1%수준(水準)의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 PDF

Effects of different ratios and storage periods of liquid brewer's yeast mixed with cassava pulp on chemical composition, fermentation quality and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 Kamphayae, Sukanya;Kumagai, Hajime;Angthong, Wanna;Narmseelee, Ramphrai;Bureenok, Smerj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4호
    • /
    • pp.470-478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chemical composition, fermentation quality and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of various ratios and storage periods of liquid brewer's yeast (LBY) mixed with cassava pulp (CVP). Methods: Four mixtures of fresh LBY and CVP were made (LBY0, LBY10, LBY20, and LBY30 for LBY:CVP at 0:100, 10:90, 20:80, and 30:70, respectively) on a fresh matter basis, in 500 g in plastic bags and stored at 30 to $32^{\circ}C$. After storage, the bags were opened weekly from weeks 0 to 4. Fermentation quality and in vitro gas production (IVGP) were determined, as well as the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crude protein (CP), ether extract (EE), neutral detergent fiber, acid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lignin contents. Results: The contents of CP and EE increased, whereas all other components decreased, in proportion to LBY inclusion (p<0.01). The DM and OM contents gradually decreased in weeks 3 and 4 (p<0.05), while EE contents were lowest in week 0. The pH, ammonia nitrogen per total nitrogen ($NH_3-N/TN$) and V-score in each mixture and storage period demonstrated superior fermentation quality ($pH{\leq}4.2$, $NH_3-N/TN{\leq}12.5%$, and V-score>90%). The pH increased and $NH_3-N/TN$ decreased, with proportionate increases of LBY, whereas the pH decreased and $NH_3-N/TN$ increased, as the storage periods were extended (p<0.01). Although IVGP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LBY inclusion (p<0.01), in vitro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IVOMD) was unaffected by the mixture ratios. The highest IVGP and IVOMD were observed in week 0 (p<0.01). Conclusion: The inclusion of LBY (as high as 30%) into CVP improve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mixture, thereby increasing the CP content, while decreasing IVGP, without decreasing fermentation quality and IVOMD. In addition, a preservation period of up to four weeks can guarantee superior fermentation quality in all types of mixtures. Therefore, we recommend limiting the use of CVP as a feed ingredient, given its low nutritional value and improving feed quality with the inclusion of LBY.

임간초지 개발에 관한 연구 III. 임간혼파초지에서 3요소 시비수준이 목초의 품질과 무기성분함량 및 나무생장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assland Development in the Foerst III. Effect of fertilizer level on quality , mineral constituents and tree growth of grass-clover mixtures grown under pine trees)

  • 서성;한영춘;박문수;이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87-194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은 임간혼파초지(林間混播草地)에서 3 요소(要素) 시비수준(施肥水準)이 목초(牧草)의 조단백질(粗蛋白質), 조섬유(粗纖維) 및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과 임간지(林間地)에서 자란 나무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고자 차광정도(遮光程度) $40{\sim}50%$인 수영(樹齡) $10{\sim}15$년생(年生)의 소나무지대에서 실시(實施)되었다. 4. 시험(試驗)은 13가지 NPK 시비수준을 달리하여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되었으며, 1984년도(年度) 수원 근교 임간지에서 수행된 시험(試驗)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목초중(牧草中) 조단백질함량(粗蛋白質含量)과 총단백질량(總蛋白質量)은 대체로 질소시비수준이 표준비 이상일 때 높았으며, 3 요소 무비구와 질소무비구에서 가장 낮았고, 인산과 칼리가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작았다. 2. 조섬유함량중(粗纖維含量中) lignin과 silica함량은 3 요소 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P<0.05), NDF, ADF, cellulose 및 hemicellulose함량은 시비수준별(施肥水準別)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조섬유함량(粗纖維含量)과 소화율(消化率)은 질소시비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인산과 칼리시비의 영향은 작았다. 3. 목초(牧草)의 무기성분함량중(無機成分含量中) N, K 및 $SiO_2$ 함량은 시비수준별(施肥水準別) 차이가 있었으나, P, Ca, Mg 및 Na 함량은 시비수준별 차이가 없었다. 4. 각 시비수준별(施肥水準別) NPK 비료회수율(肥料回收率)은 표준비시용에서 가장 높았고, 그 이상의 시비수준(施肥水準)에서는 낮았으며, $K_2O>N>P_2O_5$순(順)이었다. 5. 나무생장(生長)도 3 요소(要素) 시비수준(施肥水準)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목초(牧草)에 미치는 영향과 마찬가지로 질소시비의 영향이 크고, 인산과 칼리시비의 영향은 작았다. 6.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여 볼 때 목초중(牧草中) 단백질(蛋白質), 조섬유(粗纖維) 및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과 나무생장(生長)에서는 질소시비(施肥)의 영향이 가장 컸으며,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목초(牧草)의 품질(品質)을 높이고, 양질(良質)의 목초(牧草)를 가축에게 급여하기 위해서는 표준비시용(標準肥施用)($N-P_2O_5-K_2O=28-20-24kg/10a$)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