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aminant Source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1초

오염원에 의한 지하수 수질의 변화 (Change of Groundwater Quality derived from Contaminant Sources)

  • 배상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5호
    • /
    • pp.75-75
    • /
    • 1995
  • In order to provide for the guidance on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design and also, to suggest the index to the solution of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remediation problems in the lake watersh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ntaminant transport in the groundwater. The solute transport was analyzed in the lake watersh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the injected contaminant sources depen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oint of contaminant sources and position of the lake. Three hypothetical groundwater flow systems, which is composed of a flow-through lake and two solute sources, were considered. The lakes located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s of a watershed respectively. The transported contaminant was numerically simulated for five years by using MT3D contaminant transport model under the three-dimentional steady state conditions. From the above simulat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taminant concentration was high as the contaminant source located at the upper position of a watershed, and the influence of the contaminant injection was large as the solute source located at the lower position. When the injection of contaminant was continued for one year without regard to the position of contaminant source and the lake, the influence of contaminant source was reached to bedrock.

오염원에 의한 지하수 수질의 변화 (Change of Groundwater Quality derived from Contaminant Sources)

  • 배상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5호
    • /
    • pp.461-468
    • /
    • 1995
  • In order to provide for the guidance on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design and also, to suggest the index to the solution of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remediation problems in the lake watersh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ntaminant transport in the groundwater. The solute transport was analyzed in the lake watersh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the injected contaminant sources depen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oint of contaminant sources and position of the lake. Three hypothetical groundwater flow systems, which is composed of a flow-through lake and two solute sources, were considered. The lakes located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s of a watershed respectively. The transported contaminant was numerically simulated for five years by using MT3D contaminant transport model under the three-dimentional steady state conditions. From the above simulat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taminant concentration was high as the contaminant source located at the upper position of a watershed, and the influence of the contaminant injection was large as the solute source located at the lower position. When the injection of contaminant was continued for one year without regard to the position of contaminant source and the lake, the influence of contaminant source was reached to bedrock.

  • PDF

사용종료 매립장 오염원의 장기 변화 및 안정성 (Long Term Trend and Stability of Contaminant Sources of Finished Landfill)

  • 장연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6년도 사용종료 매립지의 안정화 에 관한 국제 세미나
    • /
    • pp.1-40
    • /
    • 1996
  • In order to determine the proper treatment of the finished landfill,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trend and stability of the major sources of contaminant in the landfill. In this paper the fate of contaminant sources in the landfill is studied from various literatures by grouping the contaminants into waste, leachate, and landfill gas. One example site referred is Nanji landfill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nished landfills in our country and the trend of contaminant sources in this landfill at current stage is discussed.

  • PDF

클린룸 국소환경에서 오염원의 위험율에 대한 수치해석적 평가 (Numerical evaluation of risk rates for contamination sources in a minienvironment)

  • 노광철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81-189
    • /
    • 2018
  • In this study, the risk rates of different contamination sources of the contaminant in a minienvironment were analyzed through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simulation. The airflow pattern characteristics can only predict the qualitative variation of contaminant concentration, but cannot evaluate the quantitative variations in the risk rate of sources. From the results, the ambient contamination sources mainly affect wafers in the Front Opening Unified Pod (FOUP), whereas the internal contamination sources mainly affect wafers laid on the robot arm in the minienvironment. And the purging plenum system is very useful in protecting the wafers in the FOUP from contaminants transferred from the Fan Filter Unit (FFU). However, this system is unable to protect the wafers on the robot arm from internal contaminants and the wafers in the FOUP from sources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FOUP and the minienvironment.

불균질 대수층에서 유선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다수 오염원의 용질 이동 모사 (Solute Transport Modeling using Streamline Simulation in a Heterogeneous Aquifer with Multiple Contaminant Sources)

  • 정승필;최종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3호
    • /
    • pp.24-31
    • /
    • 2005
  • 2차원 불균질 대수층에서 다수의 오염원이 있음 경우 오염물의 거동을 모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유선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하며 다차원의 계산을 다수의 일차원으로 분해하여 계산하는 방법으로서 불균질한 매질에서 수두 계산을 한 후, 관심영역에 유선을 분포시키고 그 유선을 띠라 오염물이 전파되는 농도를 계산한다. 개발된 모델을 Visual MODFLOW를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시간에 따른 농도 분포나 관측정에서의 용질 도달 곡선이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발된 모델은 시뮬레이션 수행 시간에 대한 효율 면에서 Visual MODFLOW보다 뛰어나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하는 대규모 대수층의 용질거동 예측이나 반복 계산을 필요로 하는 역산 모델링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GIS를 이용한 대기오염 배출량 분포도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ccuracy in Mapping the Distribution of the Emission Volume of Air Pollution Using GIS)

  • 최진무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65-76
    • /
    • 1998
  • 대기오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대기오염 농도와 함께 대기오염 배출량의 공간분포가 정확히 산정되어야 한다. 기존의 대기오염 분포도에서는 토지이용 분류도의 해상도(rdsolution)가 낮아 같은 위치에서 오염원별 토지이용이 중복되었기 때문에 배출량의 정확한 공간분포를 산정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분류도를 고해상도(28.5m x 28.5m)로 작성하므로써 이것이 배출량의 공간분포 산정과 대기오염농도의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는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GIS를 이용하여 비교적 고해상도(28.5m x 28.5m)의 토지이용 분류도를 작성하므로써 점 및 선 오염원이 면 오염원과 동일한 지점에서 중보되지 않도록 토지이용을 효율적으로 반영할 수 있었다. 서울지역에 대해 기존으 방법으로 작성된 배출량 분포도와 본 연구에서 작성된 배출량 분포도를 이용하여 대기오염 농도를 추정(TCM-2모형을 이용)한 결과 본 연구에서 작성한 배출량 분포도에 의한 대기오염 농도의 추정지가 자동측정망의 실측치에 근접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금강유역 비점원에서 발생하는 미생물 오염 및 수질에 대한 영향 (Microorganism Contamination from Diffuse Sources and Its Impacts on Water Quality in the Geum River Basin)

  • 김건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04-512
    • /
    • 2006
  • In order to estimate microbial contaminant discharge from diffuse sources, rainfall runoff was monitored at forestry, agriculture and urban watersheds. Total coliform and E. coli were monitored at the study watersheds as they are regulated by the environmental laws. Concentration and EMC (Event Mean Concentration) of coliform of rainfall runoff at the urban watershed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those from agricultural and forestry watersheds. By monitoring coliform concentrations of overlying water and sediment at five monitoring points in the downstream of the Geum River, average concentration from spring to summer was higher than those values from fall to spring. Coliform concentrations in the pore water were higher compared to those of overlying water and closely related with flow rate of the river.

난류형 클린룸에서 영역분할법을 이용한 오염원 추정에 관한 연구 (Zoning Method to Predict Contaminant Sources in Turbulent-Type Cleanroom)

  • 김동권;성하금;한상목;황영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3호
    • /
    • pp.253-260
    • /
    • 2015
  • 클린룸 내부에서 발생한 오염은 복잡한 공정과 여러 가지 장비에 의해서 더욱 더 복잡한 형태를 나타내며, 다양한 오염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서 클린룸 내부에서 발생한 오염입자를 생산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오염입자 분포에 대한 상세한 해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제어의 목적으로 오염원 추정법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여도를 추정하기 위한 계산 가속화 방법으로 영역분할법을 제안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각 오염원의 오염 발생량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지하수 오염물질 이동모형에 있어서 배열된 점원의 근사방법 연구 (Approximations for Array of Point Sources in Groundwater Contaminant Transport Modeling)

  • Kim, Chang-La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0권2호
    • /
    • pp.132-136
    • /
    • 1988
  • 지하수 오염물질의 이동모형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의 하나가 각각의 폐기물 저장용기 나 드럼을 독립된 선원으로 볼 것이냐 아니면 상응하는 합쳐진 선원으로 볼 것이냐 하는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포화된 다공성 매질에서의 분산된 선원에 대한 연구를 소개한다. 지하수의 유동이 있는 다공성 매질에서 평면상에 분산된 점 형태의 선원들을 가정하여 얻어 진 지하수내의 오염물질의 농도분포를 상응하는 크기를 가진 무한한 평면선원이나 하나의 점 선원을 농도분포들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음의 세 영역을 찾아낼 수 있었다. 즉, (1) 선원에 가까운 관계로 인근 선원의 영향이 커서 각각의 선원들을 따로 고려한 모형을 사용하여야 하는 영역, (2) 선원에서 몇 미터 떨어진 지점으로부터 수백 내지 수천미터 떨어진 지점까지의 각각의 선원 대신 상응하는 유한한 평면 선원만이 정착한 결과를 얻게 하는 영역, (3) 선원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어서 상응하는 유한한 평면 선원만이 정확한 결과를 얻게 하는 영역이다

  • PDF

범용 시나리오 및 오염물질 시나리오에 기반한 불포화대 오염물질 경로에 대한 수치모의 연구 (Numerical Study of Contaminant Pathway based on Generic-scenarios and Contaminant-based Scenarios of Vadose Zone)

  • 장선우;김민규;정일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6호
    • /
    • pp.751-758
    • /
    • 2019
  • 본 연구는 오염부지의 위해성 평가를 위해 수치모의 기반 오염물질의 노출이동경로 평가에 활용가능한 개념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1차원으로 유한차분 기법을 적용하여 지하수 내 오염물질 이송확산을 모의하였다. 불포화대 경로에서의 수리지질학적 및 오염물질 매개변수가 가질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하여 범용 시나리오 및 오염물질별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모의에 적용하였다. 모델에서는 흡착 및 생분해를 갖는 유한차분 1 차원 이송확산이 고려되었고, 또한 초기 농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갈되는 것을 가정하였다. 일반 시나리오의 결과는 지하수 침투율이 감소함에 따라, 오염원에서 지하수면까지의 경로가 길어질수록 지하수면으로 유입되는 지점의 농도 범위는 낮아졌다. 특히, 높은 생분해 속도와 오염원의 빠른 고갈의 경우, 범용 시나리오가 좁은 범위의 지하수 유입농도 예측치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