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Design and Management(CDM)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국내 설계 안전성 검토 및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esign For Safety through the Analysis of Overseas Cases)

  • 염성준;김준호;이동훈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25-31
    • /
    • 2020
  • 지난 10년간 모든 산업의 재해율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반면 건설업의 재해율은 증가 추세에 있어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디자인 안전성 검토 시스템을 해외 사례와 비교 분석하여 국내 디자인 안전성 검토 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영국이나 싱가포르처럼 작업설계 초기부터 재검토해야 하고, 건설업 재해 경감을 위한 대규모 건설뿐 아니라 소규모 건설에서도 안전성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 특히 관련 제도 미비 등에 대한 제도 마련이 필요한데, 안전시스템 설계는 사업자 중심의 안전관리 체계에서 스펙트럼을 확대하는 것으로 향후 충분한 개선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해외 유사 제도 비교분석을 통한 설계안전성검토 개선 방안 (Improvements of Design For Safety in Korea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Countries)

  • 김시은;정재민;정재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8-49
    • /
    • 2019
  • While the overall industrial accident rate has been decreased, but thos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not been. For safety management during the planning/design phase, which accounts for 45% of the cause of accident at the construction site, Design For Safety (DFS) was established to minimize a hazard and risk in 2016. Currently, DFS system has difficulty settling down in Korea due to the several reasons. So, this paper aims to propose to the Key Success Factor (KSF) and related action plan to improve DFS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by following 2 steps: i) identification of problems on current DFS, and ii) proposal of KSF and following action plan for DFS. The DFS in Korea was compared with UK, Singapore, Australia, and US on 7 criteria (application target, execution period, change of design, collaboration among participants, expert participants, alternative review and decision support system). DFS was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s system based on the identical criteria and the corresponding improvement measures were also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improve DFS system in various aspects.

공공기관 건설공사의 안전강화를 위한 안전보건대장이 건설산업에 미치는 기대효과와 취약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cted Effects and Vulnerabilities of Safety&Health Shee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 오세미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45-4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안전보건법과 관련하여 실질적인 의사결정 권한을 행사하고 건설공사 비용을 부담하는 자가 주도하는 안전보건대장을 작성하는 것이 의무화됨에 따라 안전보건대장 작성방법과 향후 예상되는 효과를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과 관련하여 건설산업에 대한 안전보건대장의 기대효과와 향후 안전보건대장이 건설산업에 미치는 취약점을 예측한다. 이것은 건설산업에서 발주자의 역할에 대한 책임과 안전을 강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발주자가 주도하는 선제적 안전 및 보건 관리 시스템이 가져올 변화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