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CBCT)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3초

Comparison of changes in the nasal cavity, pharyngeal airway, and maxillary sinus volumes after expansion and maxillary protraction with two protocols: Rapid palatal expansion versus alternate rapid maxillary expansion and constriction

  • Weitao Liu;Shaonan Zhou;Edwin Yen;Bingshuang Zou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75-184
    • /
    • 2023
  • Objective: To evaluate and compare a series of volume changes in the nasal cavity (NC), nasopharynx, oropharynx, and maxillary sinuses (MS) in growing Class III patients after either rapid palatal expansion (RPE) or alternate rapid maxillary expansion and constriction (Alt-RAMEC) followed by facemask (FM) therapy, b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ethods: Forty growing Class III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matched groups: RPE/FM (14 females, 6 males; mean age, 9.66 ± 1.23 years) and Alt-RAMEC/FM groups (14 females, 6 males; mean age, 10.28 ± 1.45 years). The anteroposterior and vertical displacements of Point A, the volumes of the NC, nasopharyngeal, oropharyngeal, and MS were measured at different time points: pretreatment (T1), postexpansion (T2), and postprotraction (T3). Results: Both groups demonstrated significant maxilla advancement (by 1.3 mm) during expansion,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during protraction (RPE/FM, 1.1 mm; Alt-RAMEC/FM, 2.4 mm; p < 0.05) and throughout the treatment (RPE/FM, 2.4 mm; Alt-RAMEC/FM, 3.7 mm; p < 0.05). NC and nasopharyngeal airway volum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after expansion, protraction, and treatment. The oropharyngeal and MS volumes increased in both groups after protraction and post-treatment. However, no volumetric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irway volume changes, including NC, nasopharyngeal, oropharyngeal airway, and MS, between RPE/FM and Alt-RAMEC/FM groups at different time points. Although there was significantly more forward movement after protraction in the Alt-RAMEC/FM group, the difference was deemed too small to be clinically relevant.

Skeletal and dentoalveolar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microimplant-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 Hyeong-Yoon Choi;Sang-Min Lee;Jin-Woo Lee;Dong-Hwa Chung;Mo-Hyeon Le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41-253
    • /
    • 2023
  • Objective: To evaluate the following null hypothesis: the skeletal and dentoalveolar expansion patterns in the coronal and axial planes are not different with two different types of microimplant-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MARPE) systems. Methods: Pretreatment (T0) and post-MARPE (T1)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mages of 32 patients (14 males and 18 females; mean age, 19.37) were analyzed. We compared two different MARPE systems. One MARPE system included the maxillary first premolars, maxillary first molars, and four microimplants as anchors (U46 type, n = 16), while the other included only the maxillary first molars and microimplants as anchors (U6 type, n = 16). Results: In the molar region of the U6 and U46 groups, the transverse expansion at the midnasal, basal, alveolar, and dental levels was 2.64, 3.52, 4.46, and 6.32 mm and 2.17, 2.56, 2.73, and 5.71 mm, respectivel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posterior alveolar-level expansion (p = 0.036) and posterior basal-bone-level expansion (p = 0.043) between the groups, with greater posterior skeletal and alveolar expansion in the U6 group. Conclusions: Compared with the U46 group, the U6 group showed greater posterior expansion at the alveolar and basal-bone levels, with an almost parallel split. Both groups showed a pyramidal expansion pattern in the coronal view.

전립선암 영상유도 방사선 치료시 골반내장기의 체적변화에 따른 표적장기의 변화 (Inter-fractional Target Displacement in the Prostate Image-Guided Radiotherapy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 동갑상;백창욱;정윤정;배재범;최영은;성기훈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1-169
    • /
    • 2016
  • 목 적 : 전립선암 방사선치료에서 방광과 직장의 체적변화에 따른 전립선의 위치 및 모양변화를 파악하여 이들 변화가 표적체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원 전립선암 protocol에 따라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 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영상자료분석 및 윤곽설정을 시행하였다. 설계용 computed tomography (pCT)와 분할치료 시 획득된 cone-beam CT (CBCT)를 이용하여 전립선, 방광, 그리고 직장의 윤곽을 설정(contouring)하였다. 두 영상자료의 골격구조 기반 조사영역맞춤을 통해 전립선의 위치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전립선의 위치변화, 모양변형, 그리고 크기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Dice similarity coefficient(DSC)를 이용하였다. 결 과 : 전립선의 체적은 pCT에서 평균 37.2cm3 로 측정되었으며 약 5% 이내의 크기변화를 나타내었고, 전립선의 DSC는 평균 89.9%로 환자마다 다양한 분포양상이 관측되었다. 방광의 체적변화에 따른 전립선의 DSC 변화를 상관분석한 결과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지만(r=-0.084,p=0.268), 방광체적의 증감에 따른 층화분석 시 방광의 체적이 증가한 경우에서 DSC 와 방광변화량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r=-0.230,p=0.049). 직장의 체적변화에 따른 전립선의 DSC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직장의 체적변화가 증가함에 따라 DSC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0.162,p=0.032). 직장체적에 대한 층화분석에서는 체적이 pCT보다 증가한 경우에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0.240,p=0.020). 결 론 : 방광과 직장의 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치료의 정확도를 보장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립선암의 방사선치료 시 CBCT를 이용한 연조직 기반의 조사영역맞춤이 중요하며, 직장풍선(rectal balloon) 등을 이용한 체적관리가 치료정확도를 유지하는데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상악 매복 견치의 견인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Factor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Forced Eruption in Impacted Maxillary Canines)

  • 한지혜;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02-413
    • /
    • 2022
  • 이 연구는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과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상악 매복 견치의 견인 치료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견인 기간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2012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아주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들 중 상악 견치의 매복으로 진단받아 외과적, 교정적 개입을 통한 견인 치료를 시행 받고 상악 매복 견치의 맹출까지 치료받은 만 8세 이상 만 18세 이하 환자 73명(93개의 상악 매복 견치)의 의무기록지와 방사선학적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교합평면에서 상악 매복 견치 교두정까지의 거리, 근-원심과 협-구개 위치, 환자의 나이 그리고 급속구개확장장치의 사용 유무는 견인 치료기간을 예측하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이었으며, 매복 견치의 치축이 교합평면과 이루는 각과 편측성/양측성 매복 양상은 견인 기간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견치의 낮은 매복 깊이, 견치 교두정의 근-원심 위치가 측절치 또는 견치 영역, 협-구개 위치가 협측 또는 중앙에 위치하고, 치료시작 시 환자의 어린 나이 그리고 구개 확장 장치의 사용이 상악 매복 견치의 견인 기간을 짧게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ositional change in mandibular condyle in facial asymmetric patients after orthognathic surger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 Choi, Byung-Joon;Kim, Byung-Soo;Lim, Ji-Min;Jung, Junho;Lee, Jung-Woo;Ohe, Joo-Young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0권
    • /
    • pp.13.1-13.8
    • /
    • 2018
  • Background: We evaluated change in the mandibular condyle after orthognathic surger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n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mandibular prognathism or facial asymmetr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mount of menton deviation (MD) from the facial midline on anteroposterior (AP) cephalogram: group A (asymmetry, MD ≥ 4 mm; n = 15) and group B (symmetry, MD < 4 mm; n = 15). Position and angle of condylar heads on the axial, sagittal, and coronal views were measured within 1 month preoperatively (T0) and postoperatively (T1) and 6 months (T2) postoperatively. Results: On axial view, both groups showed inward rotation of condylar heads at T1, but at T2, the change was gradually removed and the condylar hea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t T1, both groups showed no AP condylar head changes on sagittal view, although downward movement of the condylar heads occurred. Then, at T2, the condylar heads tended to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two condylar heads showed that they had moved outward in both groups, causing an increase in the width between the two heads postoperatively. Analysis of all three-dimensional changes of the condylar head position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three different CBCT views in group B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group A.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dylar head position. Because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can be performed without significant change in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cases, it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method to stabilize the condylar head position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mandibular prognathism or facial asymmetry.

CBCT 기반 디지털 안궁이전과 아날로그 안궁이전의 위치 편차: 증례보고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CBCT-based digital facebow transfer and analog facebow transfer: case series)

  • 박명현;손큰바다;안휘균;이두형;김소연;이규복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3호
    • /
    • pp.176-185
    • /
    • 2023
  • 조절성 교합기에 모형을 부착하기 위하여 안궁이전이 필요하다. 아날로그 안궁이전에서는 장비의 정확도와 작업자의 숙련도가 모형 부착 결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더불어 편차가 큰 방법으로 부착된 작업 모형에서는 정확한 치과 보철물의 제작이 어려우므로, 아날로그 안궁이전으로 부착된 작업 모형의 위치 편차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아날로그 안궁이전으로 부착된 상악 모형의 위치와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된 상악 모형의 위치를 거리 편차와 교합 평면의 각도 편차를 평가하였다. 이를 토대로 아날로그 안궁이전으로 부착된 상악 모형의 편차를 보고하였다. 아날로그 안궁이전 방법은 3 - 16 mm의 선형 편차와 5 - 7도의 교합평면 각도 편차를 가지는 상악 모형의 부착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날로그 안궁이전은 환자별로 위치 편차가 다를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치과 보철물 제작에서의 부정확성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에서 아날로그 안궁이전 방법이 상악 모형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큰 편차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내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Half-fan 모드를 이용한 방사선치료환자 위치교정을 위한 디지털영상 합성영상기술에 관한 예비연구 (Digital Tomosynthesis for Patient Alignment System Using Half-fan Mode CBCT Projection Images)

  • 박천주;박성호;김진성;한영이;주상규;신은혁;신정석;박희철;안용찬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4호
    • /
    • pp.360-366
    • /
    • 2010
  • 최근 정밀한 암 치료를 위해 방사선 치료기술이 강도변도 방사선치료, 영상유도 방사선치료 등의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 왔다. 2000년 이후로는 치료실에서 환자의 실제 치료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정밀한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영상 유도방사선 치료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가 방사선 치료 전에 다양한 방법의 의료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치료 위치를 보정하는 것으로 가장 최근의 기술로는 선형가속기에 장착된 2차원 평면검출기를 이용한 콘빔CT (Cone Beam CT: CBCT)가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CBCT의 "half fan" 조건에서 획득된 projection영상을 이용하여 360도 회전한 모든 영상이 아닌 제한된 각도에서 획득한 투사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해부학적 정보를 볼 수 있는 디지털 영상합성영상(Digital Tomosynthesis) 기술을 구현하였고 실제 위치교정을 위해 촬영된 환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사선 치료 환자 위치 교정을 위한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동일 단층상에서의 해부학적 정보 표현에서 CBCT 영상과 비교하였을 때 유사성을 보였고 선량적인 측면에서 우월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DTS의 장점을 극대화 하고 최적화가 이루어진다면 방사선 치료 위치 보정용으로 CBCT를 대체 할 수 있는 기술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치료계획 시스템을 이용한 Varian Standard Couch 모델링의 유용성 평가 (The evaluation for the usability ofthe Varian Standard Couch modelingusing Treatment Planning System)

  • 양용모;송용민;김진만;최지민;최병기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7-86
    • /
    • 2016
  • 목 적 : 방사선 치료 시 Carbon Fiber Couch에 의한 감약이 일어난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계획 시스템(Treatment Planning System: TPS)을 이용해 Varian사의 Varian Standard Couch(VSC)를 모델링 하여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선형가속기(Clinac IX, VARIAN, USA)의 CBCT(Cone Beam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하여 VSC의3가지 조건Side Rail Out Grid(SROG), Side Rail InGrid(SRIG), Side Rail In OutSpine Down Bar(SRIOS)로 스캔 한 후 TPS(Pinnacle9.8, Philips, USA)로 전송하여 Side Rail, Side Bar Upper, Side Bar Lower, Spine Down Bar를 Automatic Contouring하여 모델링 하였다. 전산화 단층촬영(Light Speed RT 16, GE, USA)으로 스캔 한 Cheese Phantom(Middelton, USA) 을 TPS로 전송하여 모델링 한 VSC를 적용하였다. 측정 점은 Cheese Phantom내의 Ion Chamber(A1SL, Standard imaging, USA)이며 Isocenter에 위치시켜 Energy(4, 10MV), Gantry Angle($5^{\circ}$간격으로 측정), Field Size($3{\times}3cm^2$, $10{\times}10cm^2$)에 변화를 주어 각 100MU의 동일한 조건에서 얻은 계산 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였으며 Side Bar Upper에 의한 감약을 비교하기 위해 SRIG조건에서 $127^{\circ}$를 포함하였다. 결 과 : CBCT를 이용해 얻은 VSC의 Density를 TPS에서 확인한 결과 $0.9g/cm^3$였으며 Spine Down Bar의 경우 $0.7g/cm^3$로 나타났다.Side Rail, Side Bar Upper, Side Bar Lower, Spine Down Bar에서 각 17.49%, 16.49%, 8.54%, 7.59%의 감약이 일어났으며모델링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계산 값과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평균 1.13%의 오차가 보였으며 Spine Down Bar를 지나는 $170^{\circ}beam$에서 1.98%로 가장 많은오차를 보였다. 결 론 : TPS이용해 모델링 한 VSC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계산 값과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최대1.98%의 오차를 보였다. 방사선 치료계획 시 VSC를 모델링 하여 적용한다면선량에 대한 예측이 가능해 더욱 정확한 치료를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치과용 콘빔전산화단층영상에서 치조골과 치아의 협설경사 비교 (Comparison of the buccolingual inclination in alveolar bone and tooth using dental CBCT)

  • 김성은;김진수;김재덕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8권1호
    • /
    • pp.17-22
    • /
    • 2008
  • Purpose: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bucco-lingual inclination of implants on radiographs before the implant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uccolingual inclination in alveolar bone and the tooth with dental cone beam CT and to prepare the standard for the buccolingual inclination of implant. Materials and Methods: Axial, panoramic, and buccolingually sectioned images of 80 implant cases with stent including straight marker using CB $Mercuray^{TM}$ (Hitachi, Japan) were evaluated. The comparison of the buccolingual inclination of remained alveolar bone with the tooth and the marker on butcolingually sectioned views was performed statistically. Results: The average buccolingual inclination of remained alveolar bone and tooth was $82.8{\pm}4.6^{\circ}\;and\;85.8{\pm}4.7^{\circ}$ (p<0.05, r=0.96) at the 1st molar area and $76.4{\pm}1.7^{\circ}\;and\;82.7{\pm}1.7^{\circ}$ respectively (p>0.05, r=0.12) at the 2nd premolar area in upper jaw. The average buccolingua1 inclination of remained alveolar bone and tooth was $81.3{\pm}8.3^{\circ}\;and\;87.5{\pm}6.3^{\circ}$ (p>0.05, r=0.85) at the lower 2nd premolar area and $94.3{\pm}6.6^{\circ}\;and\;93.3{\pm}7.2^{\circ}$ respectively (p>0.05, r=0.91) at the 1st molar area in lower jaw. The inclinations of markers we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remained bone at the most of areas except the upper 2nd premolar area (r=0.79). Conclusion: We recommend dental CBCT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buccolingual inclination of dental implant, because of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between the bucco1ingual inclination of remained alveolar bone and tooth.

  • PDF

세기조절방사선치료 시 콘빔CT (CBCT)를 이용한 환자자세 검증 및 보정평가 (Patient Position Verification and Corrective Evaluation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n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 도경민;정덕양;김영범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3-88
    • /
    • 2009
  • 목 적: 온 보드영상(OBI)장치를 이용한 콘빔CT는 환자 치료 중 실시간으로 전산화모의치료 영상과 비교하여 환자의 자세 및 표적용적의 움직임과 셋업오차를 확인 할 수 있다. IMRT 시 콘빔CT를 이용해 환자의 자세 및 표적용적의 변화와 움직임을 확인하여 치료계획과의 오차정도를 산출하고, Automatic Match System을 이용하여 위치 보정을 한 후 전자포털영상 장치를 통하여 위치보정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IMRT에서 콘빔CT의 유용성과 Automatic Match System의 정확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치료받은 IMRT 환자 중 두 경부 치료환자 3명, 골반부 치료환자 1명을 대상으로 치료 자세의 변동과 그에 따른 조사용적의 위치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선형가속기에 장착된 온 보드 영상 장치를 이용해 콘빔 CT를 촬영하였다. IMRT 전 매 치료 시 마다 콘빔CT를 촬영하여 전산화단층모의치료 영상과 비교하여 좌표별로 치료계획과의 오차값을 확인하고 3D/3D Match의 Automatic Match System을 통하여 치료계획과 일치하도록 이동 보정한 후 전자포털영상 장치를 이용하여 검증, 평가하였다. 결 과: 치료 전 콘빔 CT와 전산화단층모의치료 영상 비교 시 두 경부에서 좌표별 평균오차는 Vertical 0.99 mm, Longitudinal 1.14 mm, Lateral 0.84 mm, Rotation $0.49^o$이고, 골반부의 평균오차는 Vertical 2.78 mm, Longitudinal 2.04 mm, Lateral 4.91 mm, Rotation $1.07^o$로 부위별로 다소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보정 후 검증에서는 전자포털영상 장치에 의한 영상과 DRR 영상 비교 결과 0.5 mm 이내의 오차로 정확한 보정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치료 전 콘빔CT 영상은 환자의 셋업오차와 장기 및 표적의 위치변화를 2차원적 영상의 비교와 달리 하나의 체적으로 재구성된 3차원적 영상으로 비교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위치변화와 표적용적의 변동 등을 측정, 보정하여 정확한 치료를 할 수 있으며, 그 오차 값을 산출하여 비교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로 보아 콘빔CT는 치료계획과 일치하는 정확한 치료전달과 반복적인 치료재현성에 유용하였으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콘빔CT에 의해 향상된 정확도는 복잡한 모양의 표적용적과 급격한 선량분포의 변화가 나타나는 IMRT에서 더욱 필요하며 각 치료 부위별, 치료 목적별로 Match focus에 대한 기준을 연구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