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rehensive Evalua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5초

행정각부 비공개 대상정보 세부기준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Detailed Nondisclosure Criteria for the Administrative Departments)

  • 김유승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5-136
    • /
    • 2023
  • 본 연구는 「정부조직법」 제26조에 따른 19개 행정각부의 비공개 대상정보 세부기준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정리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개 행정각부의 정보공개 관련 규정, 지침, 훈령의 제·개정 현황을 분석하고, 비공개 대상정보 6,094건에 대한 전수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정보공개심의회와 정보공개 행정소송 경험을 가진 정보공개 전문가 5인과 정보공개 업무를 담당한 바 있는 기록연구사 2인을 포함한 전문가 7인과의 면담을 통해, 본 연구의 조사 및 분석 내용을 공유, 검토하고, 비공개 대상정보 세부기준의 실효성, 문제점, 제도개선 영역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첫째, '비공개 대상정보 세부기준 수립 주체와 절차의 법제화', 둘째, '비공개 대상정보 세부기준의 정기적 실질적 점검 수행을 위한 제도 수립', 셋째, '비공개 대상정보 세부기준 서비스 개선' 등 3가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중소·중견 물류기업 ESG 경영 이행 진단항목 중요도 분석 (Importance Analysis of ESG Management Diagnosis Items for Small and Medium-sized Logistics Companies)

  • 박원배;진무위;이자연;윤경준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53-64
    • /
    • 2024
  • ESG 경영은 전세계 모든 산업분야에서 중요한 이슈로 인식되고 있으며, 물류산업에서도 ESG 경영에 대한 인식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ESG 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기업들은 주로 대기업들이며 중소·중견 물류기업들은 ESG에 대한 이해와 참여 수준이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선행연구들은 물류기업을 위한 ESG 경영 이행 가이드라인의 수립 필요성을 거듭 제기하였으며, 물류기업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ESG 경영 이행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도출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중소·중견 물류기업을 위한 ESG 경영 가이드라인 진단항목을 기반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조사를 통해 물류기업 유형별 ESG 경영 이행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해운물류기업은 환경이 가장 중요한 영역이며, 이어서 사회, 정보공시, 지배구조의 순; 육상운송기업은 사회를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평가하였으며, 이어서 지배구조, 환경, 정보공시의 순; 창고업 부분에서는 환경이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평가되었으며, 사회, 정보공시, 지배구조의 순; 종합물류기업은 환경을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평가하였으며, 이어서 정보공시, 사회, 지배구조의 순; 물류기업 유형별 진단항목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향후 관련 기관에서 중소·중견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ESG 경영 이행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중소·중견 물류기업들이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Semantics-aware Obfuscation for Location Privacy

  • Damiani, Maria Luisa;Silvestri, Claudio;Bertino, Elisa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2권2호
    • /
    • pp.137-160
    • /
    • 2008
  • The increasing availability of personal location data pushed by the widespread use of location-sensing technologies raises concerns with respect to the safeguard of location privacy. To address such concerns location privacy-preserving techniques are being investigated. An important area of application for such techniques is represented by Location Based Services (LBS). Many privacy-preserving techniques designed for LBS are based on the idea of forwarding to the LBS provider obfuscated locations, namely position information at low spatial resolution, in place of actual users' positions. Obfuscation techniques are generally based on the use of geometric methods. In this paper, we argue that such methods can lead to the disclosure of sensitive location information and thus to privacy leaks. We thus propose a novel method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semantic context in which users are located. The original contribution of the paper is the introduction of a comprehensive framework consisting of a semantic-aware obfuscation model, a novel algorithm for the generation of obfuscated spaces for which we report results from an experimental evaluation and reference architecture.

기계학습을 이용한 수출신용보증 사고예측 (The Prediction of Export Credit Guarantee Accident using Machine Learning)

  • 조재영;주지환;한인구
    • 지능정보연구
    • /
    • 제27권1호
    • /
    • pp.83-102
    • /
    • 2021
  • 2020년 8월 정부는 한국판 뉴딜을 뒷받침하기 위한 공공기관의 역할 강화방안으로서 각 공공기관별 역량을 바탕으로 5대 분야에 걸쳐 총 20가지 과제를 선정하였다.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 등을 활용하여 대국민 서비스를 제고하고 공공기관이 보유한 양질의 데이터를 개방하는 등의 다양한 정책을 통해 한국판 뉴딜(New Deal)의 성과를 조기에 창출하고 이를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중에서 한국무역보험공사(KSURE)는 정책금융 공공기관으로 국내 수출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여러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본 기관이 가지고 있는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무역보험공사의 수출신용보증 사고 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고자 공사가 보유한 내부 데이터에 기계학습 모형을 적용하였고 해당 모형 간에 예측성과를 비교하였다. 예측 모형으로는 로지스틱(Logit) 회귀모형,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XGBoost, LightGBM, 심층신경망을 사용하였고, 평가 기준으로는 전체 표본의 예측 정확도 이외에도 표본별 사고 확률을 구간으로 나누어 높은 확률로 예측된 표본과 낮은 확률로 예측된 경우의 정확도를 서로 비교하였다. 각 모형별 전체 표본의 예측 정확도는 70% 내외로 나타났고 개별 표본을 사고 확률 구간별로 세부 분석한 결과 양 극단의 확률구간(0~20%, 80~100%)에서 90~100%의 예측 정확도를 보여 모형의 현실적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제2종 오류의 중요성 및 전체적 예측 정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경우, XGBoost와 심층신경망이 가장 우수한 모형으로 평가되었다. 랜덤포레스트와 LightGBM은 그 다음으로 우수하며,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가장 낮은 성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무역보험공사의 빅데이터를 기계학습모형으로 분석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사례로서 향후 기계학습 등을 활용하여 실무 현장에서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이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