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und risk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3초

Experiences of Emergency Surgical Treatment for a COVID-19 Patient with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at a Regional Trauma Center: A Case Report

  • Yun, Jung-Ho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4권3호
    • /
    • pp.212-217
    • /
    • 2021
  • Various medical scenarios have arisen with the prolonged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In particular, the increasing number of asymptomatic COVID-19 patients has prompted reports of emergency surgical experiences with these patients at regional trauma centers. In this report, we describe an example. A 25-year-old male was admitted to the emergency room after a traffic accident. The patient presented with stuporous mentality, and his vital signs were in the normal range. Lacerations were observed in the left eyebrow area and preauricular area, with hemotympanum in the right ear. Brain computed tomography showed a contusional hemorrhage in the right frontal area and an epidural hematoma in the right temporal area with a compound, comminuted fracture and depressed skull bone. Surgical treatment was planned, and the patient was intubated to prepare for surgery. A blood transfusion was prepared, and a central venous catheter was secured. The initial COVID-19 test administered upon presentation to the emergency room had a positive result, and a confirmator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est was administered. The PCR test confirmed a positive result. Emergency surgical treatment was performed because the patient's consciousness gradually deteriorated. The risk of infection was high due to the open and unclean wounds in the skull and brain. We prepared and divided the COVID-19 surgical team, including the patient's transportation team, anesthesia team, and surgical preparation team, for successful surgery without any transmission or morbidity. The patient recovered consciousness after the operation, received close monitoring, and did not show any deterioration due to COVID-19.

Waterlogging induced oxidative stress and the mortality of the Antarctic plant, Deschampsia antarctica

  • Park, Jeong Soo;Lee, Eun J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3호
    • /
    • pp.289-296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mortality and the oxidative damages of Deschampsia antarctica in response to waterlogging stress. In field, we compared the changes in the density of D. antarctica tuft at the two different sites over 3 years. The soil water content at site 2 was 6-fold higher than that of site 1, and the density of D. antarctica tuft decreased significantly by 55.4% at site 2 for 3 yea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at site 1. Experimental results in growth chamber showed that the $H_2O_2$ and malondialdehyde content increased under root-flooding treatment (hypoxic conditions-deficiency of $O_2$), but any significant change was not perceptible under the shoot-flooding treatment (anoxic condition-absence of $O_2$). However, total chlorophyll, soluble sugar, protein content, and phenolic compound decreased under the shoot-flooding treatment. In addition, the catalase 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on the 1st day of flood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ypoxic conditions may lead to the over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oxic conditions can deplete primary metabolites such as sugars and protein in the leaf tissues of D. antarctica. Under present warming trend in Antarctic Peninsula, D. antarctica tuft growing near the shoreline might more frequently experience flooding due to glacier melting and inundation of seawater, which can enhance the risk of this plant mortality.

기후변화를 고려한 연안지역 재해예방기법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Considering Climate Change)

  • 이성현;김보람;임준혁;오국열;심우배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69-376
    • /
    • 2018
  • Korea is surrounded by the West Sea, the South Sea, and the East Sea. There are various points at which large and small rivers flow into the sea, and areas where these rivers meet the coast are vulnerable to disasters. Thus, it is necessary to study disaster prevention techniques based on coastal characteristics and the pattern of disaster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isk factors of disaster districts analyzed in comprehensive plans for the reduction of damage to coastal cities from storms and floods. As a result of standardization, four factors (tide level, intensive rainfall & typhoon, wave, and tsunami) were identified. Intensive rainfall & typhoon occurred along the West Sea, the South Sea, and the East Sea coast.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influence disasters are tide level for the West Sea, tsunami and tide level for the South Sea, and wave in the East Sea. In addition, disaster prevention techniques to address these factors are presented, focusing o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Clinical Efficacy of herbal medicine for Chemo-Radi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 SongWon Park;MinJee Kim;Seong-Woo Lim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89-101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Chemo-Radi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Methods: Electronic databases were used to search for studies published through 10 years until October 2022, and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icacy of herbal medicine on chemo-radi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Study quality was assessed using the Cochran's risk bias tool. Results: Two-hundred and three articles were initially searched, and 11 studies (head and neck cancer, breast cancer, colorectal cancer, esophageal cancer etc. undergoing radio-chemotherapy were included in analysis.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on chemo-radi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9 studies reported that herbal medicine was more effective than the placebo group or conventional treatment. One study reported that the effect of the herbal compound treatment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herbal medicine, and one study repor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ffect between the two herbal medicines and the group without treatmen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herbal medicine effectively relieves the symptoms of chemo-radi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However, there is limited evidence that herbal medicine may relief chemo-radi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so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가연성 액체 혼합물의 인화 위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ammability Risk of Flammable Liquid Mixture)

  • 김주석;고재선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701-711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두 물질의 혼합물(가연물+가연물)에서의 인화 위험성의 증가 또는 감소를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혼합물의 위험성을 제시하는 목적이 있기에 액체 혼합물의 인화 위험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방법:인화점 실험방법 및 결과처리는 원유 및 석유 제품 인화점 시험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테그밀폐식 시험방법인 KS M 2010-2008을 기준으로 실험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장비의 제조사는 일본의 TANAKA사에서 생산한 장비로 KS M 2010의 시험규격을 만족하는 시험장비로 인화점을 측정하였고, 점화원으로는 LP가스를, 냉각수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인화점 측정시 냉각수의 온도는 약 2℃의 냉각수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실험결과로는 먼저 가연성+가연성 혼합물의 경우 두 물질의 인화점 차이가 크지 않으면 인화점의 변화가 거의 없었고, 두 물질의 인화점 차이가 낮으면 인화점이 높은 물질의 증가에 따라 인화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톨루엔과 메탄올의 경우, 혼합물에서 인화점이 낮은 물질보다 더 낮은 인화점을 보였다. 또한 도료용 희석제의 경우, 혼합물로 이루어져서 그 물질의 인화점을 예상하기가 쉽지 않았지만 실험적으로 측정해 본 결과 -24℃~7℃사이로 측정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기존의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의 위험물 판정 기준에 대한 세부 내용의 실효성 확보 및 위험물 판정의 신뢰성 및 재현성 확보를 목적으로 인화성 혼합물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통해서 혼합물에 대한 위험성 판단 기준을 제시하였고, 향후 소방현장에서 단속되는 인화성 액체 대한 실험적 판정 기준에 대한 참고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로 시험방법별 차이 실험에 대한 노하우를 축적한다면 위험물의 위험성 평가 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이자 위험물 판정 관한 연구의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석유화학플랜트에서 발생하는 PP(Poly Propylene) 및 LLDPE(Linear Low Density Poly Ethylene) 분진의 연소 위험성에 관한 연구 (Fire Hazard of PP and LLDPE dust in Chemical Plant Process)

  • 김정환;이창우;현성호;권경옥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6-22
    • /
    • 2001
  • 석유화학플랜트에서 다량 부산되는 가연성 고체인 PP(Polypropylene) 및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의 열적특성과 압력용기를 이용하여 산화제와의 혼촉위험성을 조사하였다. 시차주사열량계 및 열중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발열개시온도 및 중량감소를 조사하였고, PP 및 LLDPE의 혼촉위험성을 살펴보고자 소방법상 제1류 위험물로 분류되고 있는 몇 가지 대표적인 산화성 고체와 혼합하여 무게비에 따른 압력용기 내에서의 혼촉위험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가스농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PP 및 LLDPE에 대한 연소생성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DSC분석 결과 열분해에 따른 발열 피크가 PP의 경우 220~$250^{\circ}c$ 부근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TGA분석결과 PP 및 LLDPE의 분해온도는 각각 200~$350^{\circ}c$, 300~$500^{\circ}c$ 범위이다. 압력용기 시험에 의한 산화제와 PP 및 LLDPE 분진의 혼촉위험성은 오리피스 직경이 감소할수록, 산화제와의 혼촉 무게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시료의 분해온도와 산화제의 분해온도가 비슷한 경우 흔촉위험성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시료의 연소가스 분석결과 PP의 경우 LLDPE보다 상당히 많은 양의 일 산화탄소가 발생하는 반면 LLDPE가 PP보다 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하였다.

  • PDF

HPLC-ICP-MS를 이용한 톳의 비소 화학종 분석 및 위해성 평가 (Arsenic Speciation and Risk Assesment of Hijiki (Hizikia fusiforme) by HPLC-ICP-MS)

  • 류근영;심성례;황인민;정민석;전삼녀;서혜영;박종석;김희연;엄애선;박경수;김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
    • /
    • 2009
  • 본 연구는 비소 함량이 높은 해조류(10-60 mg/kg) 중 무기비소 함량이 높은 톳을 대상으로 총 비소 함량 측정 및 비소종 분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PTWI와 비교하여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국 10곳의 지역에서 총 30종의 시료를 구입하여 ICP-MS로 총 비소 함량을 측정한 결과 건조시료를 기준으로 평균 45.65${\pm}$21.17 mg/kg(생물기준; 3.63${\pm}$2.19 mg/kg)의 함량을 보여 다른 나라의 여러 연구결과와 비교해 볼 때 상대적으로 낮게 확인되었다. HPLC-ICP-MS를 이용하여 분리, 분석된 톳의 주요 비소화학종은 상대적으로 독성이 강한 무기비소로 평균함량이 As(V) 40.36 mg/kg, As(III) 0.37 mg/kg으로 전체 비소함량의 88.6%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무기비소함량이 가장 높게 확인된 시료(생물기준; 9.19 mg/kg)를 대상으로 톳의 위해성을 JECFA의 PTWI와 비교해 볼 때 6.1%로 낮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연 평균 0.1 g의 톳을 섭취하는 한국인에게서는 14.0 g/day(98.3g/week) 이상의 톳을 지속적으로 먹지 않는 이상 톳의 섭취에 따른 위해 가능성은 미비하여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가열조리방법을 통한 행인 내 시안화합물의 저감화 (Removal of Cyanogenic Compounds in Apricot Kernel during Heating Process)

  • 도병경;권훈정;이동하;나안희;최윤주;이숙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95-400
    • /
    • 2007
  • 한약재로 주로 이용되는 행인은 약리작용이 강하고 독성작용을 나타내는 아미그달린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아미그달린의 다량 섭취 시 호흡곤란 등의 급성독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섭취시에는 Konzo나 열대성 운동신경장애와 같은 만성독성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이에 여러 가지 조리 방법을 통해 식물체 내 시안화합물의 잔류량을 줄이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통, 절편, 가루 형태의 행인을 건식가열법 또는 습식가열법을 이용하여 조리하였고, 일반적으로 조리 및 가공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총 시안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pH 1의 염산 용액에 한 시간 동안 습식가열한 행인의 경우 약 90%정도 시안화합물이 감소효과를 보였으나 시안화합물의 저감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40^{\circ}C$에서 장시간 보관하는 것은 별다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시안화합물을 함유한 식물체의 식품으로의 안전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어획지별 바다방석고둥의 식품성분 특성 (Comparison of Regional Variation in Food Component of Top Shell, Omphalius pfeifferi capenteri)

  • 하진환;김풍호;심효도;김진수;김인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84-388
    • /
    • 2001
  • 바다방석고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바다방석고둥의 어획지별 (제주시, 서귀포시, 한림읍 및 성산읍 연안)위생적, 영양적, 맛 및 관능적 특성과 같은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바다방석고둥은 수은, 납 및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았거나 흔적량에 불과하여 식품소재로 사용하여도 중금속적인 면에서는 안전하다고 판단되었다. 바다방석고둥의 엑스분 질소함량은 $343.0\~385.4mg/100g$이었다. 구성아미노산함량은 $12.5\~13.2g/100g$이었고, 함량이 많은 것으로는 glutamic acid, proline 및 aspartic acid 등이었으며, 곡류 제한아미노산인 lysine의 함량도 많았다. 그리고, 무기질은 나트륨, 칼슘, 칼륨 및 마그네슘 등의 함량이 많았다. 바다방석고둥의 지방산조성은 필수지방산이거나 건강기능성이 인정되는 20:4n-6, 20:5n-3 및 22:5n-3 등과 같은 고도불포화산이 주요 지방산이었으나, 지질함량이 깎아 지방산에 의한 건강 기능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바다방석고둥은 어획지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어, 이들을 가공원료로 사용하는 경우 어획지역에 따른 가공품의 품질 차이는 없으리라고 판단되었다.

  • PDF

LC50 Determination of tert-Butyl Acetate using a Nose Only Inhalation Exposure in Rats

  • Yang, Young-Su;Lee, Jin-Soo;Kwon, Soon-Jin;Seo, Heung-Sik;Choi, Seong-Jin;Yu, Hee-Jin;Song, Jeong-Ah;Lee, Kyu-Hong;Lee, Byoung-Seok;Heo, Jeong-Doo;Cho, Kyu-Hyuk;Song, Chang-W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293-300
    • /
    • 2010
  • tert-Butyl acetate (TBAc) is an organic solvent, which is commonly used in architectural coatings and industrial solvents. It has recently been exempted from the definition of a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by the Air Resources Board (ARB). Since the use of TBAc as a substitute for other VOCs has increased, thus its potential risk in humans has also increased. However, its inhalation toxicity data in the literature are very limited. Hence, inhalation exposure to TBAc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ts toxic effects in this study. Adult male rats were exposed to TBAc for 4 h for 1 day by using a nose-only inhalation exposure chamber (low dose, $2370\;mg/m^3$ (500 ppm); high dose, $9482\;mg/m^3$ (2000 ppm)). Shamtreated control rats were exposed to clean air in the inhalation chamber for the same period. The animals were killed at 2, 7, and 15 days after exposure. At each time point, body weight measurement,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analysis,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biochemical assay were performed. No treatment-related abnormal effects were observed in any group according to time course. Based on those findings, the median lethal concentration ($LC_{50}$) of TBAc was over $9482\;mg/m^3$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MSDS, the 4 h $LC_{50}$ for TBAc for rats is over $2230\;mg/m^3$. We suggested that this value is changed and these findings may be applied in the risk assessment of TBAc which could be beneficial in a sub-acut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