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nent Composition

검색결과 1,298건 처리시간 0.039초

담수어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6. 메기의 정미성분 (Taste Compounds of Fresh-Water Fishes 6. Taste Compounds of Korean Catfish Meat)

  • 양승택;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2-210
    • /
    • 1983
  • 우리 나라 중요 담수어의 정미성분을 밝힐 목적으로 전보에 이어 메기배육중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유기염기, 당류, 유기산 및 무기질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분석치를 기초로 하여 표준 시약을 가지고 합성엑스분을 조제하여 천연엑스분과 맛을 비교하였으며, omission test를 실시하여 각 성분들이 맛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glycine이 가장 맞아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25\%$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alanine, lysine, taurine등이 많았다. 핵산관련물질은 IMP 함량이 98.9mg/100g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성분은 비교적 함량이 적었다. 유기염기는 creatinine이 351.7mg/100g으로서 가장 많았고 betaine은 18.0mg/100g이었으며 TMA 및 TMAO는 1.4mg/100g 이하로서 극미량이었다. 유기산의 경우는 숙신산, 브티르산, 프로피온산 등이 함량이 많았고 옥살산, 푸마르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및 시트르산은 흔적량에 불과하였다. 당류의 함량은 포도당이 5.1mg/100g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ribose, arabinose, fructose및 inositol은 약 1mg/100g으로서 미량이었다. 무기염류의 함량은 $K^+$$PO_{4}^{3-}$이 각각 210.0mg/100g, 305.8mg/100g으로서 월등히 많았고 다른 무기염류는 38.0mg/100g이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로 본 매기의 주된 정미성분은 serine, alanine, IMP, 숙신산 및 $PO_{4}^{3-}$였다.

  • PDF

Dynamic changes of yak (Bos grunniens) gut microbiota during growth reveal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d metagenomics

  • Nie, Yuanyang;Zhou, Zhiwei;Guan, Jiuqiang;Xia, Baixue;Luo, Xiaolin;Yang, Yang;Fu, Yu;Sun, Q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57-966
    • /
    • 2017
  • Objective: To understand the dynamic structure, function, and influence on nutrient metabolism in hosts, it was crucial to assess the genetic potential of gut microbial community in yaks of different ages. Methods: Th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profiles and Illumina-based metagenomic sequencing on colon contents of 15 semi-domestic yaks were investigated. Unweighted pairwise grouping method with mathematical averages (UPGMA) clustering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ere used to analyze the DGGE fingerprint. The Illumina sequences were assembled, predicted to genes and functionally annotated, and then classified by querying protein sequences of the genes against the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KEGG) database. Results: Metagenomic sequencing showed that more than 85% of ribosomal RNA (rRNA) gene sequences belonged to the phylum Firmicutes and Bacteroidetes, indicating that the family Ruminococcaceae (46.5%), Rikenellaceae (11.3%), Lachnospiraceae (10.0%), and Bacteroidaceae (6.3%) were dominant gut microbes. Over 50% of non-rRNA gene sequences represented the metabolic pathways of amino acids (14.4%), proteins (12.3%), sugars (11.9%), nucleotides (6.8%), lipids (1.7%), xenobiotics (1.4%), coenzymes, and vitamins (3.6%). Gene functional classification showed that most of enzyme-coding genes were related to cellulose digestion and amino acids metabolic pathways. Conclusion: Yaks' age had a substantial effect on gut microbial composition. Comparative metagenomics of gut microbiota in 0.5-, 1.5-, and 2.5-year-old yaks revealed that the abundance of the class Clostridia, Bacteroidia, and Lentisphaeria, as well as the phylum Firmicutes, Bacteroidetes, Lentisphaerae, Tenericutes, and Cyanobacteria, varied more greatly during yaks' growth, especially in young animals (0.5 and 1.5 years old). Gut microbes, including Bacteroides, Clostridium, and Lentisphaeria, make a contribution to the energy metabolism and synthesis of amino acid, which are essential to the normal growth of yaks.

우렁이의 생체부위별 일반성분, 아미노산, 무기질 및 지방산 분석 (Proximate Composition, Amino acid, Fatty acid and Inorganic Matter of Apple Snail)

  • 오병태;최성길;조숙현;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49-753
    • /
    • 2006
  • 우렁이 생체에 대하여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은 74.8%, 조단백질 12.7% 및 조지방 0.6%의 함량을 보여 고단백 저지방의 식품재료로써 그 이용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우렁이를 껍질, 내장 및 근육 3부분으로 분류하여 무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우렁이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P, Ca, Mg 및 Na이었으며, 그 중 껍질 및 내장, 근육모두에서는 Ca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어 중요한 Ca 급원으로 이용 가능하다. 우렁이 생체의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arginine이 31.7%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alanine 21.2%, 와 glutamic acid 7.1% 순이었다. 아미노산의 경우 식용할 수 있는 근육에서 조개의 감칠맛과 풍미성분인 alanine 과 glutamic acid 조성이 많으므로 가공식품제조에 바람직하였으며, 또한 arginine 역시 매우 풍부 해 건강식품으로도 이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지방산의 경우 포화지방산이 생체, 내장에서 각각 5.4,2.8%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렁이의 이용성 제고 및 가공 제품화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lanching에 따른 갯기름 나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after blanching)

  • 손희경;강수태;정해옥;이재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28-635
    • /
    • 2013
  • 본 연구는 주로 blanching하여 나물로 섭취되고 있는 갯기름나물을 데침 과정에 의한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 함량변화를 측정하였다. Blanching에 의해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조단백질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갯기름나물의 검출된 모든 유리당의 함량 모두 blanching에 의해 감소되어, 총 유리당 함량은 14.8% 감소되었다. 생 갯기름나물에 비하여 데친 갯기름나물의 총 구성 아미노산 및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의 함량은 각각 10.75%와 15.22% 감소되었고, 검출된 모든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 모두 blanching에 의해 감소되었다. 총 지방산 함량은 blanching 전후 유의차가 없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blanching에 의해 37.03% 감소되었고, 유기산 중 acetic acid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Blanching에 의해 비타민 A, E 및 C의 함량은 각각 20.20%, 8.23% 및 35.59% 감소되었다. 총 무기질 함량은 21.84% 감소되었고, 무기질 중 K 함량의 손실이 가장 컸다. 본 연구 결과 갯기름 나물은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C, 무기질 등 유용한 영양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갯기름나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blanching에 의해 대부분의 영양성분들이 감소되어 향후 이러한 성분들을 유지할 수 있는 blanching 조건 설정이 필요하다.

PSA법을 이용하여 $CH_4/CO_2/N_2$ 혼합가스 중에서 메탄의 분리 (Separation of $CH_4/CO_2/N_2$ Mixture by Pressure Swing Adsorption)

  • 조우람;정구현;신영환;유희찬;나병기
    • 청정기술
    • /
    • 제17권4호
    • /
    • pp.389-394
    • /
    • 2011
  • 바이오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와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공정은 많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흡착공정 중에서 압력변동흡착(Pressure swing adsorption)공정은 에너지소모가 적고 가격이 경제적이기 때문에 기체의 분리와 정제를 위한 공정으로 적절하다. 물리적 흡착을 사용하는 PSA공정은 흡착과 탈착이 가능하다. 각 cycle단계의 구성은 가압, 주입 및 흡착, 압력 균등화, 감압 및 세정으로 이루어져있다. 본 실험에서 PSA공정은 이산화탄소와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제로 zeolite 13X와 carbon molecular sieve (CMS)로 구성되어 있으며, 혼합 가스의 농도는 $CH_4/CO_2/N_2$ (75:21:4 vol%)의 비율을 갖고 있다. 각각 zeolite 13X와 CMS는 선택적으로 혼합가스로부터 질소와 이산화탄소를 흡착하여 분리하고 제거한다. 또한 CMS의 경우는 빠르게 분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처리량이 높다. 상부탱크, 하부탱크, 주입탱크의 가스 조성은 TCD 검출기를 이용하는 gas chromatography (GC)에 의해서 측정되었다.

LPG 잔류물질의 성분 및 조성 분석 (The Component and Compositional Analysis of Trace Materials in LPG)

  • 김영구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17-323
    • /
    • 2002
  •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LPG중의 잔류물질을 분석하였다. 시료 채취 장소는 LPG용기 재검사장의 용기 2곳, LPG집단공급시설 기화기 6곳 및 LPG충전소의 압축기 오일 1곳이었다. LPG용기재검사장의 용기내 잔류물질의 성분은 alkene, diene계통의 물질(탄산소$\leq$9), 방향족 탄화수소와 타르성 화학물질 (탄소수$\geq$10)으로서 각가 1.5∼39.9%, 0.7%, 57.8∼96.0%이었다. 반면에 LPG집단공급시설의 잔류물질 및 LPG 충전소 오일 중의 타르성 화학물질은 96.6%이상이었다. 채취한 9가지 시료는 3가지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SE사 용기 재검사장 시료 (SE사 시료와 S사 LPG 용기 재검사장 시료와의 유클리디안 RMS 거리=2.11), S사 LPG용기재검사장 시료 (집단공급시설시료 군과의 유클리디안 RMS거리=0.110), 집단공급시설 시료군(유클리디안 RMS거리〈0.075)이다. LPG 집단공급시설 시료의 성분이 LPG충전소 압축기오일의 조성과 매우 유사하고, 충전소 오일의 밀도와 집단공급시설의 시료 밀도가 각각 0.873, 0.873 $\pm$0.00798 (99% 신뢰구간)인 것으로 보아 타르성 화학물질은 LPG유통과정의 압축기 오일로부터 유입한 것으로 추정한다

밤나무 잎의 화학성분, 항산화 및 항균활성 (Chemical Component,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estnut(Castanea crenata) Leaves)

  • 정창호;허재연;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4-239
    • /
    • 2002
  • 밤잎의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밤잎의 화학성분,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총당 11.95%, 조지방 11.50%, 조섬유 10.11%, 조단백질 7.50% 및 회분이 1.79%순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Ca과 K으로 그 함량은 각각 215.7 mg%와 196.6 mg%로 나타났다. 비타민 C의 함량은 12.5 mg%였으며, 유리당은 glucose 3.33%, fructose 0.25%, sucrose 0.022% 함유되어 있었다. 밤잎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로 그 함량은 36.86%로 나타났다. 밤나무 잎의 주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295.4 mg%), proline(285.7 mgg%), aspartic acid(245.5 mg%), arginine(240.8 mg%), phenylalanine(237.4 mg%) and leucine(230.6 mg%)로 나타났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48.3%이었다. 항산화 효과는 용매별 추출물에서는 methanol 추출물이 72.52%, 용매분획 추출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84.12%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각종 용매별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메탄을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으며, 용매분획별 추출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층에서 다른 분획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구물질의 소수성 및 친수성 특성에 따른 트리할로메탄의 생성과 제거에 관한 연구 (Formation and Removal of Trihalomethanes based on Characterization of Hydrophobic and Hydrophilic Precursors)

  • 전희경;김준성;최윤찬;최해연;정용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3-128
    • /
    • 2008
  • The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existing in a water includes both hydrophobic and hydrophilic substances however, most of the discussion focuses on hydrophobic substances. The hydrophobic fraction was easily removed by absorption or coagulation more than hydrophilic fraction. Therefore, control of the hydrophilic fraction is very important in water treatment process.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variation of DOC, the removal efficiency of DOC, and 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 (THMFP) after each stage of water treatment process by fractionating Natural Organic Matters (NOM) into hydrophobic and hydrophilic substance. DOC from raw water was fractionated at acidic pH (pH<2) using XAD 8 resin column, into two fraction : hydrophobic substance (i.e. humic substance) adsorbed on XAD 8 and hydrophilic substance which represent the organics contained in the final effluent. THMFP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following set condition: Cl2/DOC=4 mg/mg, incubation at $25^{\circ}C$ in darkness, pH 7 adjust with HCl or NaOH as necessary, and 72hour-contact time. THM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chloroform, bromodichloromethane, dibromochloromethan, and bromoform. Sewage was almost evenly split between the hydrophobic (56%) and hydrophilic fraction (44%). But, Aldrich humic substance (AHS) was found to contain less hydrophilics (14%) than hydrophobics (86%). The formation of THMs may depend on the sourc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organic matters such as AHS and sewage. The THMFP yield of sewage and AHS were assessed as follows. The value of the THMFP reaction yield, AHS $172.65{\mu}g/mg$, is much higher than that of sewage $41.68{\mu}g/mg$. This illustrates possibl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MFP according to the component type and the proportion of organic matter existing in water source. Apparently AHS react with chlorine to produce more THMFP than do the smaller molecules found in sewage. Water treatment process may reduce THMFP, nevertheless residual DOC (the more hydrophilic substance) has significant THMFP. Further reduction in organic halide precursors requires application of alternative treatment techniques.

음식물쓰레기의 구성성분에 따른 산발효조의 거동특성 (Effect of waste components on performance of acidogenic fermenter)

  • 한선기;신항식;김상현;김현우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2호
    • /
    • pp.65-70
    • /
    • 2002
  • 이전의 연구에서 루멘미생물은 뛰어난 활성을 보여주었고, 희석율의 적절한 조절은 산발효 효율을 크게 증가시켜 주었다. 그러나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일반적으로 그 구성성분비가 상대적으로 큰 편차를 갖지 않는 일정한 범위의 값을 보여주지만, 계절에 따라 특정한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 날에는 육류가 대부분인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된다든지, 혹은 곡류나 야채류가 대부분인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도 루멘미생물을 이용한 희석율의 조절이 적절한 산발효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지 평가해 보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쓰레기의 각 성분(곡류, 야채류, 육류)을 전체 기질의 80%로 주입한 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곡류가 주인 경우에는 초기 2일 동안 그 분해가 주로 일어났으며, 야채류가 주인 경우에는 일반적인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경우와 가장 유사한 거동특성과 효율을 보였고, 육류가 주인 경우에는 초기에는 분해가 지체되다가 희석율의 조절 이후 그 분해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처리효율은 구성성분 중 곡류, 야채류, 육류가 주인 반응조에서 88.7, 73.5, 62.1%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구성성분비의 조절에도 불구하고 최소 62% 이상의 효율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루멘미생물을 이용한 산발효가 음식물쓰레기의 구성성분비에 관계없이 매우 안정된 처리효율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대구지역의 빗물 중 화학적 성분의 계절별 및 지역별 농도분포 (Seasonal and Regional Concentrations of Chemical Composition in Rainwater in Daegu Area)

  • 송희봉;이은경;정동숙;김인옥;이명숙;권병윤;이경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22-526
    • /
    • 2006
  • 대구지역에 내린 빗물의 수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채취한 빗물시료 34개에 대하여 pH, 전기전도도 TOC, TIC TC와 같은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화학성분의 농도는 겨울철이 여름철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업지역과 상업지역은 주거지역과 대조지역보다 화학성분의 농도와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났다. 산성우의 발생빈도(27.2%)가 비산성우(72.8%)에 비해 훨씬 낮았고, 또한 TC의 구성비율은 유기성인 TOC(72.5%)가 무기성인 TIC(27.5%)보다 높게 나타났다. 강수가 잦을수록 화학성분의 농도는 어느 정도 낮아지고, 반대로 무강수일이 길수록 화학성분의 농도가 높아졌다. 2003년에 비해 2005년의 대기질이 다소 개선된 원인은 환경행정당국의 대기오염 저감노력과 함께 지역 경기침체로 인한 다양한 영향을 받는데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