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liance monitoring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2초

Increasing trends in dietary total fat and fatty acid intake among Korean children: using the 2007-2017 national data

  • Song, SuJin;Shim, Jae E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2호
    • /
    • pp.260-271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The prevalence of obesity has been increasing in Korean children. As an unhealthy diet is known as one of the major determinants of childhood obesity, assessing and monitoring dietary fat intake of children is needed. SUBJECTS/METHODS: This analysis included 9,998 children aged 3-11 yrs from the 2007-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Dietary data were obtained from a single 24-h dietary recall. Intakes of total fat and fatty acids, including saturated fatty acid (SFA),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n-3 fatty acid (n-3 FA), and n-6 fatty acid (n-6 FA) were evaluated as the absolute amount (g) and proportion of energy from each fatty acid (% of energy). The total fat and SFA intake were also assessed according to compliance with dietary guidelines. Linear trends in the dietary fats intake across the survey period were tested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s. RESULTS: Total fat intak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38.5g (20.3% of energy) to 43.4g (23.3% of energy) from 2007 to 2017. This increase was mainly accounted for the increases in intakes of SFA (7.2% to 8.4% of energy) and MUFA (6.2% to 7.5% of energy). PUFA intake increased from 4.4 to 4.7% of energy during the 11-yrs period: from 0.57 to 0.63% of energy for n-3 FA and from 3.8 to 4.1% of energy for n-6 FA. The proportions of children who consumed amounts exceeding the dietary guidelines for total fat and SFA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007 to 2017, with increases from 9.8% to 17.4% for total fat and from 36.9% to 50.9% for SFA. CONCLUSIONS: Prominent increasing trends in the consumption of total fat and SFA but tiny change in n-3 FA intake were observed in Korean children. The healthy intake of dietary fats should be emphasized in this population.

Personal Dosimeters Worn by Radiation Workers in Korea: Actual Condition and Consideration of Their Proper Applic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 Eunbi Noh;Dalnim Lee;Sunhoo Park;Songwon Se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8권3호
    • /
    • pp.162-166
    • /
    • 2023
  • Background: Assessment of the radiation doses to which workers are exposed can differ depending on the placement of dosimeters on the body. In addition, it is affected by whether the placement is under or over a shielding apron.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ctual positioning of personal dosimeters on the body, with or without shielding aprons, among radiation worker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survey data, which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occupation, work history, and placement of the personal dosimeter being worn, from a cohort study of Korean radiation workers. We assessed the use of personal dosimeters among workers, stratified by sex, age, working period, starting year of work, and occupation. Results and Discussion: Overall, high compliance (89.1% to 99.0%) with the wearing of dosimeters on the chest was observed regardless of workers' characteristics, such as age, sex, occupation, and work history. However, the placement of dosimeters, either under or over the shielding aprons, was inconsistent. Overall, 40.1% of workers wore dosimeters under their aprons, while the others wore dosimeters over their aprons. This inconsistency indicates that radiation doses are possibly measured differently under the same exposure conditions solely owing to variations in the placement of worn dosimeters. Conclusion: Although a lack of uniformity in dosimeter placement when wearing a shielding apron may not cause serious harm in radiation dose management for workers, the development of detailed guidelines for dosimeter placement may improve the accuracy of dose assessment.

Wide Fault에 대한 GBAS 궤도 오차 모니터 성능 분석 (Performance Assessment of GBAS Ephemeris Monitor for Wide Faults)

  • 송준솔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13권2호
    • /
    • pp.189-197
    • /
    • 2024
  • Galileo is a European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that has offered the Galileo Open Service since 2016. Consequently, the standardization of GNSS augmentation systems, such as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 (GBAS), and Aircraft Based Augmentation System (ABAS) for Galileo signals, is ongoing. In 2023, the European Union Space Programme Agency (EUSPA) released prior probabilities of a satellite fault and a constellation fault for Galileo, which are 3×10-5 and 2×10-4 per hour,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prior probability of a Galileo constellation fault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the GPS constellation fault, which is defined as 1×10-8 per hour. This raised concerns about its potential impact on GBAS integrity monitoring. According to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tandard Positioning Service Performance Standard (SPS PS), a constellation fault is classified as a wide fault. A wide fault refers to a fault that affects more than two satellites due to a common cause. Such a fault can be caused by a failure in the Earth Orientation Parameter (EOP). The EOP is used when transforming the inertial axis, on which the orbit determination is based, to Earth Centered Earth Fixed (ECEF) axis, accounting for the irregularities in the rotation of the Earth. Therefore, a faulty EOP can introduce errors when computing a satellit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ECEF axis. In GNSS, the ephemeris parameters are estimated based on the positions of satellites and are transmitted to navigation satellites. Subsequently, these ephemeris parameters are broadcasted via the navigation message to users. Therefore, a faulty EOP results in erroneous broadcast ephemeris data. In this paper, we assess the conventional ephemeris fault detection monitor currently employed in GBAS for wide faults, as current GBAS considers only single failure case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requirements defined in the standards on the Probability of Missed Detection (PMD), we derive a new PMD requirement tailored for a wide fault. The compliance of the current ephemeris monitor to the derived requirement is evaluated through a simulation. Our findings confirm that the conventional monitor meets the requirement even for wide fault scenarios.

한국에서의 단풍당뇨병 진단 치료 지침: 과거와 현재 (Maple Syrup Urine Disease (MSUD) Diagnosis & Treatment Guidelines: Past and Present in Korea)

  • 김숙자;송웅주;이선호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1-38
    • /
    • 2023
  • Maple syrup urine disease (MSUD) is an autosomal recessive metabolic disorder caused by a deficiency in branched chain α-keto acid dehydrogenase (BCKAD). Between 1997, when Korea's MSUD case was first reported, and 2023, 14 cases were reported in the literature. 29% of the cases experienced developmental delay, and 29% expired. The prevalence of MSUD in Korea was estimated to be 1 in 230,000. Of 21 MSUD patients currently being treated at the Korea Genetics Research Center, 19 were detected through newborn screening program, and 2 were diagnosed by the symptoms. 14 MSUD patients had confirmed genetic mutations; 6 (43%) were BCKDHA and 8 (57%) were BCKDHB. In one case, a large deletion was observed. 4 patients had leucine levels above 2,000 (umo/L), and post-dialysis diet therapy was initiated in the newborn period. No patient required further dialysis as diet therapy and regular monitoring proved highly effective. Most MSUD patients were growing normally; weight and height growth were above the 50th percentile in 76% of the cases while BMI values were higher than normal in 71% of cases. Developmental delays were observed only in 2 cases (10%) and anticonvulsant use in 3 cases (14%). With newborn screening available to all Korean infants, early diagnosis and intervention should allow most patients to remain asymptomatic. However, ongoing surveillance, dietary management and continued patient compliance as well as rapid correction of acute metabolic decompensations remain critical to a favorable long-term prognosis.

  • PDF

Interventions for Adherence Improvement in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 Expert Consensus Statement

  • Sang Hyun Ihm;Kwang-Il Kim;Kyung Jin Lee;Jong Won Won;Jin Oh Na;Seung-Woon Rha;Hack-Lyoung Kim;Sang-Hyun Kim;Jinho Shin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2권1호
    • /
    • pp.1-33
    • /
    • 2022
  • In primary prevention for cardiovascular diseases, there are significant barriers to adherence including freedom from symptoms, long latency for therapeutic benefits, life-long duration of treatment, and need for combined lifestyle changes. However, to implement more systematic approaches, the focus on adherence improvement needs to be shifted away from patient factors to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team and healthcare system. In addition to conventional educational approaches, more patient-oriented approaches such as patient-centered clinical communication skills, counseling using motivational strategies, decision-making by patient empowerment, and a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Patients should be involved in a program of self-monitoring, self-management, and active counseling. Because most effective interventions on adherence improvement demand greater resources, the health care system and educational or training system of physicians and healthcare staff need to be supported for systematic improvement.

국내 119구급자원의 지역별 배치 현황 -시·군·구별 기준 충족 여부와 지역특성을 중심으로- (Status of region-wise deployment of 119 emergency resources in Korea -Focusing on whether regional criteria are me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 권혜지;신영전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7-172
    • /
    • 2024
  • Purpose: Ensuring prompt and consistent 119 emergency services for all citizens is crucial and requires every region to adhere to prescribed deployment standards Methods: This study assessed the compliance with 119 emergency resource deployment standards in 229 districts (si-gun-gu) by analyzing data from 18 fire headquarters as of December 31, 2022. Results: At the Sigun-gu level, 16 areas (7%) did not meet the fire station standards. Among the 229 si-gun-gu, 25 (10.9%) failed operational ambulance standards, and 114 (49.8%) did not meet the 119 first responder standards. Areas lacking fire station standards had lower financial self-sufficiency and higher elderly and single-person elderly household proportions (p<.05). Areas not meeting ambulance standards had lower proportions of these populations, but higher financial self-sufficiency. In addition, areas that did not meet the 119 first-responder standards had greater financial autonomy (p<.05). Areas meeting only basic fire station standards had higher proportions of elderly and single-person households and lower financial self-sufficiency. Areas meeting only ambulance standards had lower financial autonomy, whereas those meeting onl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standards had lower financial self-sufficiency and a higher elderly proportions (p<.05). Conclusion: Si-gun-gu, with a large elderly population and poor finances, often fails to meet fire station standards and meets only the basic criteria. Continuous monitoring and targeted management are crucial for reducing disparities in 119 resource allocation and improving the overall deployment.

재치료 폐결핵환자의 임상적 세균학적 특성 (Clinical and Bacteriologic Characteristics of Retreated Tuberculosis Patients)

  • 오승준;윤기헌;유지홍;강홍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1호
    • /
    • pp.19-24
    • /
    • 1995
  • 연구배경: 폐결핵은 처음 발병하였을 때 표준처방에 의하여 적절히 치료하면 대부분 완치할 수 있는 질환이나 실제로 상당수의 환자들이 부적절한 치료를 함으로써 악화되고 장기적인 치료를 받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약제 내성이 발생할 경우 초치료 약제보다 항균력이 약한 약제들로 치료하게 됨으로써 치료기간이 길어짐은 물론 정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할 정도로 심한 장애를 초래하거나 사망하는 경우까지도 있다. 방법: 저자등은 초치료에 실패하거나 재발한 폐결핵 환자들의 특성과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1986년 3월부터 90년 2월까지 입원하여 치료한 폐결핵환자 484명 가운데 94명의 재치료 환자들의 기록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총 재치료환자 94명중 남자 62명, 여자 32명이며 평균연령은 남자 $51.43{\pm}15.56$, 여자 $45.00{\pm}18.40$세 이었다. 2) 흉부엑스선상 경증이 10명(11.1%), 중등도가 31명(33.3%), 중증이 52명(55.6%)이었다. 3) 객담내 균양성환자가 73명 이었다. 4) 약제감수성검사를 시행한 42명중 1제 내성자가 9명(20.5%), 2제 내성자가 18명(40.8%), 3제이상 내성자가 14명(31.8%)이었다. 5) 표준처방에 의한 초치료를 완료하지 못하였던 경우가 41명(43.6%)이었으며 재치료시 완치한 환자는 24명(25.5%)에 불과한 반면 도중에 환자가 치료를 포기한 경우가 39명(41.6%)나 되었다. 결론: 재치료시 중요한 치료실패 원인은 환자의 중도탈락 이었으며, 따라서 초치료 및 재치료시 철저한 환자관리가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 PDF

Determination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Herbal Medicines by GF-AAS and Automated Mercury Analyzer

  • Kim, Sang-A;Kim, Young-J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81-288
    • /
    • 2021
  • GF-AAS와 수은분석기를 이용하여 납, 비소, 카드뮴 및 수은의 회수율로 정확도를 측정한 결과 92.67-102.56% 범위에서 측정되었고, 정밀도를 측정한 결과 0.21-6.00 RSD%의 재현성을 보였으며, CODEX guideline에서 규정하는 범위에 적합하였다. 또한, FAPAS QC material을 검증결과, 회수율은 96.7-102.0%, 재현성은 0.33-4.93 RSD%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한약재 430건의 평균 Pb 함량은 254.9 ㎍/kg(N.D.-2,515.2)이었고, 평균 As 함량은 171.0 ㎍/kg (N.D.-2,465.2)이었으며, 평균 Cd 함량은 99.2 ㎍/kg (N.D.-797.1), 평균 Hg 함량은 6.0 ㎍/kg (N.D.-83.6)이었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에 유통되는 한약재 20종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규정하는 한약재의 중금속 함량에 대한 허용기준 이내의 결과로 모두 안전한 수준의 한약재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한약 규격품 제조업소를 품질관리의 기준으로 하여 유통되기 직전의 가공 포장 과정에서의 한약재 중 납, 비소, 카드뮴 및 수은의 함량을 조사하여 한약재 내 중금속 함량 실태를 파악하고, 국민에게 안전하고 우수한 한약재를 공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중독 발생 위험요인 관리를 위한 외식업체 자가위생관리점검표 개발 및 현장모니터링 (Development of Self-Managed Food Sanitation Check-List and On-Site Monitoring of Food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in Restaurants for Control of Foodborne Illness Risk Factors)

  • 정민재;최정화;류경;곽동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03-616
    • /
    • 2010
  • 최근 외식업소에서 식중독 발생이 급증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필요함이 제기되었으나,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일어나는 외식업체의 특성상 위생 감시만으로는 통제가 어려워 업소 내의 자주적인 위생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식업체의 위생관리 수준의 향상을 목표로 외식업체의 자율적인 위생관리를 위한 식중독 발생 위험요인과 식품위생법 조항을 포괄하는 모니터링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외식업소의 식중독 발생 위험요인과 법적기준의 준수율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외식업소의 전체 준수율의 평균은 68.6%였고, 영역별 준수율은 서류비치 영역이 75.6%로 가장 높았고, 시설 설비관리 영역이 74.5%, 생산단계별 위생관리 영역이 63.9%로 뒤를 이었으며 개인위생관리 영역이 63.0%로 가장 낮은 준수율을 보였다. 둘째, 운영 형태에 따라 다점포 체인업소는 85.5%, 단독 경영업소는 51.6%의 전체 준수율을 보여 p<0.001 범위의 매우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각각의 운영 형태내에서 업종(한식, 중식, 일식, 양식)간에 따른 차이는 전체 준수율과 영역 수준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CDC에서 규명한 식중독 발생 주요 5대 요인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자의 항목 25개 중 준수율이 50% 이하로 집중적인 주의와 관리가 필요한 식중독 발생 잠재 위험요인에는 시설?설비 영역에 '조리장, 창고, 냉장 냉동고의 문서화된 청소계획을 가지고 있는가?'(48.3%), '사용하기 편리한 곳에 전용 수세시설을 구비하고 있는가?'(35.0%)가 해당되었고, 개인위생 관리 영역에서는 '종업원 위생교육을 실시하고, 평가기록을 유지하는가?'(50.0%), '손 세척을 올바르게 실행하는가?'(42.3%)의 항목이 포함 되었다. 생산단계별 위생 관리 영역에서는 '검수 시 식품의 품질과 온도 및 포장상태를 확인하고 기록하는가?'(35.0%), '재가열 온도를 준수하는가?'(44.4%), '냉동식품을 올바르게 해동하고, 해동 후 즉시 사용하는가?'(32.8%), '열장 또는 냉장 보관하거나 조리완료 1시간 반 이내에제공하는가?'(50.0%), '적정 배식 도구를 사용하는가?'(44.8%)의 항목이 나타났다. 서류 비치 영역에서 50% 미만의 준수율을 보인 항목은 존재하지 않았다. 넷째, 국내 식품위생법에서 정하고 있는 기준을 나타낸항목은 시설 설비관리 영역에 11항목, 개인위생관리영역에 3항목, 생산단계별 위생관리 영역에 6항목, 문서 영역에 3항목이 포함되었고, 그 준수율은 35.0-100%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운영 형태에 따른 준수율 비교 결과, 다점포 체인업소와 단독 경영업소 간에 있어 모든 영역에서 매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어 단독 경영업소의 위생관리 향상을 위한 노력이 많이 요구되었고, 모든 대상 업소에서 식중독 발생과 큰 연관성이 있다고 규명된 요인의 항목 중 개인위생관리와 생산단계별 위생관리 영역에서의 준수율이 많이 미흡하여 위생교육 및 훈련을 통해 손 씻기의 습관화와 검수, 해동, (재)가열, 조리 후 보관의 매 단계에서 시간과 온도관리가 보다 철저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국내 식품위생법의 준수율의 범위가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그 중 식중독 발생과 관련성이 큰 항목이 낮은 준수율을 보여 이에 대한 법적 감시와 규제를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무엇보다 다양한 교육매체를 개발, 제공하여 식품취급자들의 인식변화와 행동수정을 유도하는 것이 외식업소의 위생관리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데 필수적이라 하겠다.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회의의 핵심논제인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과 이익의 공유'에 관한 고찰 (Analysis of a Cross-cutting Issue,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shar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 박용하
    • 환경정책연구
    • /
    • 제6권1호
    • /
    • pp.41-60
    • /
    • 2007
  • 생물다양성협약의 핵심의제인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의 공유(ABS)'에 관한 주요 논의 요소를 도출하고,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대응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ABS에 관한 주요 논의 내용은 유전자원의 접근과 유전자원의 이용으로부터 도출되는 이익의 공정하고 균등한 배분에 대한 Bonn 지침'의 법적인 구속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국제레짐(International Regime)의 마련, 유전자원의 기원 및 출처 등에 대한 국제인증제도, ABS의 사전통보승인(PIC)과 상호합의조건(MAT)의 의무준수 등이다. 풍부한 유전자원의 보유국이대 개도국들은 유전자원에 대한 이익공유의 최대화, 유전자원에 대한 전통지식의 권리인정, 자국의 유전자원 보전과 이용을 위한 선진외국으로부터의 기술이전 및 재정지원 요구 등의 주장을 통하여 생물다양성협약을 자국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주요한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반면 선진국들은 자국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외국의 유전자원에 용이하게 접근하고 ABS에 유전자원의 이용기술의 권리인 지적재산권을 반영하도록 노력하는 등 개도국의 주장과는 대립되어 있다. Bonn지침과 ABS의 의무준수 등에 관한 동 협약의 결정내용 등은 우리나라에 긍정적이고 또한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유전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의 의식주에 필요로 하는 유전자원의 수입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고, 유전자원을 훼손하는 국내 각종 개발 사업은 더욱 큰 제한을 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해외의 유전자원을 확보하고, 유전자원의 보전 및 이용에 관한 고유기술 개발 등에 관한 경제적 부담이 증가 할 것이다.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ABS에 관한 우리의 입장을 구체적으로 정립하고, 국제사회의 흐름을 우리에게 유리하게 이끌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i) 국제적인 ABS 논의동향과 향후 논의의 결정사항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의 추진, ii) ABS에 관련된 영향을 대응할 수 있는 국가의 이행계획을 수립하고 이행, iii) 상기 이행계획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그 효율성을 검정하고 이를 통해 이행계획을 개선, 그리고 iv) ABS에 관한 여타의 국제적인 논의에도 적극적으로 임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