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ition Strategy

검색결과 838건 처리시간 0.024초

아산배방 복합단지개발 PF사업 조경설계 (A Landscape Design of Mixed Use Development Project by Project Financing in Baebang, Asan)

  • 노환기;최정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5호통권112호
    • /
    • pp.104-113
    • /
    • 2005
  • This landscape design proposal was presented for a competition for mixed-use development project by project financing in Asan Baebang which was held by the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in July of 2005. The site is a center of Asan Baebang New Town Development District and has a commercial area of $57,929m^{2}$. Design guidelines and judging criteria of this competition were to build a symbolic center and cultural core for district, to elevate positive image and identity of Asan New Town by attractive place making, to link with separated block in the site and regional context, and to mak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design by creating an attractive waterfront of Jang Jae stream passing through the site. This is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for the design. Therefore, the authors developed design concept and strategy within the guidelines and this conditions. The schema of the design was introduced by the water in the site. To evolve design concept, we reinterpreted water and context in the site combining with landscape design strategy. So the proposal set the main design concept as 'all that is solid melt into water' as if Marshall Berman said. By doing that, design concept of the proposal evolved as follows: 'extension' of water and greer, 'a joint' of space,'newness' of experience, 'breath' of consensus with each other. The spatial concept of this project was developed by expressing five theme spaces; eco zone, entertainment zone, art zone, culture zone, leisure zone. These theme spaces were consecutively placed along the pedestrian path and to consists of vertical layer in each level and diverse design technique and spatial effects are used.

이동통신 주파수 핵심 우량대역에 관한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re spectru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 이성준;한성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37-47
    • /
    • 2014
  •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자원인 주파수는 그 대역의 특성에 따라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 경쟁력을 크게 좌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파수 자원에서도 상대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가져 서비스 제공 상 우위를 가지며 경쟁정책적인 관리가 필요한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을 핵심 우량대역이라고 정의한다. 이를 위해서 기술적 특성이 아닌 시장상황을 고려한 주파수의 활용성 및 경제적 효율성 측면의 4가지 기준(글로벌소싱 및 호환성, 비용-효율성, 주파수 활용 경험, 현재의 활용가능성)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기준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우량 주파수 대역 후보들을 추출하고 단계적인 평가기준을 통해서 현재시점에서의 최종적인 핵심 우량대역을 식별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기술의 발전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이동통신 주파수에 대한 경쟁관리정책뿐만 아니라 할당정책에도 논리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 의의를 지닌다.

단말기 번들링이 경쟁과 소비자후생에 미치는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Handset Bundling on Competition and Consumer Welfare)

  • 정석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11-20
    • /
    • 2014
  • 단말기와 서비스의 번들링(bundling)이 단말기보조금의 홍역과 자원낭비 및 고가(高價)단말기-고(高)통신요금 구조의 악순환 등 국내 이동통신산업이 안고 있는 많은 문제점의 근본적인 원인임을 분석한다. 번들링은 시장의 투명성을 약화시켜 소비자가 가격혼동을 겪게 하고 단말기시장과 서비스시장의 독과점화를 심화시키며 서비스품질과 통신요금인하경쟁 대신 단말기보조금 지급 위주의 경쟁패턴을 초래한다. 이는 이동통신요금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여 소비자후생을 저하시키고 가격차별로 인해 소비자간 형평성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단말기와 서비스의 번들링 해체가 필요함을 제기한다. 기존의 번들링을 허용하면서 단말기의 개별 판매를 추진하는 혼합번들링(mixed bundling)은 번들링이 우월적 전략(dominant strategy)이 되기 때문에 그 효과에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규제정책의 시사점으로 단말기와 서비스의 완전 분리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항만 브랜드 자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rand Equity of Port using Conjoint Analysis)

  • 김근섭;정태원;곽규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2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45-51
    • /
    • 2002
  • 전 세계의 항만들은 급속한 해운환경의 변화에 따라 컨테이너 화물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컨테이너화물을 유치하기 위한 이러한 경쟁은 항만시설을 현대화하기 위한 대규모 자본 투자와 항만운영·관리의 효율성 개선을 야기했다. 그러나 각 항만들의 지속적인 대규모 투자로 인하여 일반적인 운영으로는 더 이상 차별화 된 전략의 구축이 힘들어졌다. 이애 항만운영자들은 4P 믹스 전략과 같은 마케팅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런 관점에서 현재 마케팅의 전략의 핵심역량으로 대두되고 있는 브랜드 가치를 환적항만을 대상으로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분석결과는 항만의 브랜드는 환적항만 선택에 있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항만의 브랜드만으로 유치할 수 있는 환적화물이 상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브랜드의 확장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포트 세일즈를 통한 고객 충성도를 유발해야 한다

  • PDF

음악학원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Factors of Management Performance in Music Institute)

  • 박지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3호
    • /
    • pp.43-59
    • /
    • 2011
  • 최근 시장환경의 변화와 음악을 전공하는 음악학도가 많아지면서 음악학원이 위기를 맞고 있다. 무엇보다도 결정적인 이유는 음악경영의 경쟁자가 늘고 있고, 출산율 감소로 학원생이 줄어들어 학원 시장의 규모가 잠재적으로 축소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음악학원도 경영의 마인드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음악학원의 운영의 성과인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3가지 영역으로 창업의 성공요인, 창업동기, 경영성과와 관련된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 음악학원을 창업한 원장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영성과에는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악학원도 벤처 경영의 접근방식이 필요하며, 음악학원, 거주환경, 상황적인 각각의 환경에 적합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 PDF

휴머노이드 로봇의 마라톤 경기 및 전략 (Marathon Game and Strategy of Humanoid Robot)

  • 이기남;유영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64-6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마라톤 경기를 소개하고,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간을 모방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에게 협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운용시간, 안전성 및 주변 환경인식 기술들이 요구된다. 이에 대한 적합한 연구 모델로 인간의 마라톤 경기를 꼽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마라톤 경기를 이해하고 그와 유사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마라톤 경기에 대해 연구한다.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대회 중 HuroCup의 마라톤 경기는 인간의 마라톤과 가장 유사한 경기이다. 충분한 운용시간을 갖도록 설계 및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마라톤 경기를 수행하고자 한다. 컴퓨터 비전을 통해 마라톤 트랙을 인식하여 보행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휴머노이드 로봇에 적용한다.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휴머노이드 로봇의 마라톤 경기가 가능하도록 적용한 실제 경기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계층적분석방법을 이용한 차세대 방통융합서비스의 핵심 경쟁 요인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Key Success Factors for Future Broadcasting and Telecom Convergence Service Using AHP Method)

  • 유재흥;최문기;김선중;조기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6B호
    • /
    • pp.650-66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방통융합서비스 시장의 핵심 경쟁 요소의 우선 순위를 도출함으로써 관련 기업의 전략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방통융합서비스 시장의 CPNT (Content - Platform Network - Terminal)가치 사슬을 기반으로 14개의 세부 핵심 자원 요소를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을 바탕으로 계층적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핵심 자원 요소로서 상대적인 중요성은 방송컨텐츠의 확보, TV앱스토어의 구축, 멀티 플랫폼 확보 무선망에 대한 투자, 휴대 단말의 보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차세대 방통융합서비스 시장에서의 헤게모니 확보에 가장 유리한 전략 대안으로는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전후방 자원 통합 전략이 유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의 결론부분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고 있다.

대규모 할인점과 경쟁에서 성공한 미국 농촌 소매업자들 경영전략 (Business Strategies of Successful Rural Retailers in Competition with Large Discount Retailers in the U.S.)

  • 이세희;;;이승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68-979
    • /
    • 2008
  • 농촌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성장과 활성화는 지역경제에 의해 좌우되고, 마찬가지로 지역주민들의 생필품 공급은 지역소매업자들에게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현실에서, 농촌지역의 영세소매업자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이들을 연구하는 것은 지역공동체의 지속적인 성장에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규모의 할인점들과의 경쟁에 직면하고 있는 미국 농촌 지역의 영세소매업자들(의류, 보석, 꽃, 철물 등)중에서 대규모의 할인점들과의 치열한 경쟁에 성공을 거둔 영세소매업자들이 어떠한 마케팅, 머천다이징, 고객서비스, 경영전략을 실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영세소매업자들의 성공을 가능케 한 사업전략으로 사회적 자본인 지역사회참여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중서부 지역의 세 도시를 대표하는 27명의 농촌소매업자들과의 인터뷰 및 내용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이들은 몇 가지 효과적인 경영전략들을 실시하고 있지만, 아직도 미흡한 부분들이 있었다. 결과부분에서는 이들이 사용하고 있는 주요 경영관행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스마트시티 개념을 이용한 중소도시재생계획에 대한 연구 - 2015 미국 스마트시티챌린지 공모전을 중심으로 - (Urban Regeneration Plan for Mid-sized Cities Deploying the Concept of Smart City - Focused on the US Smart City Challenge in 2015 -)

  • 유승호;김용승;김소연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9호
    • /
    • pp.29-40
    • /
    • 2019
  • The concept of smart city is understood as an indispensable compon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mall cities in terms of providing a better urban environment and efficient living systems with a limited budget.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revised the law that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smart city and started to implement the smart city concept not only to new-large urban development but also to small-existed regeneration project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at are suffering from the insufficient professional workforce; knowledge supports for high-tech and lack of professional networks to proceed smart city planning and project that contain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 way of urban regenera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rough smart city planning and strategy. As an important case, this paper looks at the 'Smart City Challenge' competition that was hosted by the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in 2015. It examines the background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smart city challenge competition, and then analyses each city's strategy and characteristics of seven finalists. This paper highlights the several key lessons to Korean cities: 1) the importance of national government's support in financial and professional resources; 2) the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IT corporations which provides realistic and detailed technical solutions; 3) the holistic and integrated approach to urban regeneration starting from transportation issues; 4) the necessity of the government's clear visions and guidelines toward the smart city.

중국해군의 공세적 서해(西海) 진출 전략 분석과 한국해군의 대응전략 발전방향 (Analysis of the Chinese Navy's Offensive Strategy for the West Sea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n Navy's Response Strategy)

  • 김남수
    • 해양안보
    • /
    • 제6권1호
    • /
    • pp.1-35
    • /
    • 2023
  • 본 연구는 중국해군이 진행 중인 공세적 서해 진출 전략을 목표, 방법, 수단 차원에서 분석하여 우리해군의 대응전략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중국해군의 공세적 서해 진출전략은 목표 차원에서 미-중 경쟁 간 해양권익 수호 및 해양강국을 달성하기 위한 대전략과 연계하여 진행 중 있으며, 방법 차원에서 평상시 '진입 일상화'와 '관할권 행사'를 통해 국제사회가 서해를 중국의 내해(內海)로 인식하는 기반을 조성하며, 유사시는 항모전단의 압도적 선제공격 능력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해양교통로를 차단하여 단시간 내 서해 해양통제권 확보를 시도할 것이라 예측된다. 수단 차원에서 항모전단 건설 가속화 및 원거리 미사일 교전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한국해군 대응전략 발전방향으로 첫째 한국형 인도-태평양 전략과 연계한 국가 해양안보전략 수립 및 발전, 둘째 서해 중간선 이동(以東) 해역에 대한 효과적이 경비작전 개념 발전, 셋째 생존성과 치명성 강화를 위한 전투 수행개념 발전 및 능력 구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