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nsation program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3초

스마트 기기 기반 응급 처치 교육 콘텐츠의 기능성 게임 요소 분석 연구 (Analysis of Serious Game Elements of the Contents for Smart Device Based First-Aid Education)

  • 서동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7호
    • /
    • pp.273-294
    • /
    • 2017
  • 우리나라는 최근 세월호 사건 등 안전 불감증으로 인한 많은 사고로 인해 수많은 인명피해를 입었다. 따라서 안전교육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한 시기이며 여기에는 '어떤 콘텐츠로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가 중요한 주제이고 특히 안전교육의 특성상 이론 교육이 아닌 체험 교육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런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접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며 안전교육의 일환인 응급 처치에 대한 교육은 공공기관을 통해 의무적으로 배우지 않으면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아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의 안전 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활성도는 미미한 수준이다. 본 논문은 이런 문제를 인식하고 의료 응급처치 교육을 위해 재미와 몰입을 가미한 효과적인 기능성게임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응급처치 정보 애플리케이션 20가지 사례를 통해 의료 게임 5개를 분석하고 기능성게임의 지속 사용성을 높이는 5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5개의 의료게임분석을 통해 1개의 게임을 선택하여 게임 방식을 차용하고, 5가지 요소를 level-up 구조, 반복학습, 보상결과, 경쟁 구조, 정보전달의 형태로 적용하였다. 제안된 의료 교육 기능성 게임은 1) 환자의 역할을 하는 캐릭터가 있어야 하며, 2) 상황을 보여주는 내러티브 흐름에서 3) 사용자가 상황을 판단하고 응급 처치를 하도록 유도해야한다. 또한 4) 보상과 레벨 그리고 단순하게 반복하는 기능이 디자인되어야 하며 5) 커뮤니티로 타인과 정보가 공유될 수 있어야 한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로 구현된 콘텐츠는 우리나라 의료 응급처치 교육의 대중화에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직업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Work Values on the Student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 이선미;김송전;한수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39-244
    • /
    • 2005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직업관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지역에 위치한 3개 대학 치위생과 학생 4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직업관 유형 중 보수와 명성 지향적 직업관이 4.1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세부적 항목 중에서는 경제적 보상이 4.4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세부적 직업관의 유형 중 성취와 능력, 경제적 보상과 지위, 인정과 지위에 있어 특히 높은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 자아실현 지향적 직업관에 있어서는 치위생과 선택동기(P = .042)가, 기여 지향적 직업관에 있어서는 학교(P = .011), 학년(P = .023), 치과위생사 유무(P = .045), 치위생과 선택동기(P = .023)가 보수와 명성 지향적 직업관에 있어서는 학교(P = .000), 학년(P = .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 PDF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Reemployment of the Disabled Workers owing to Industrial Injury in Korea)

  • 박수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7권
    • /
    • pp.171-193
    • /
    • 1999
  • 본 연구는 1990년대 들어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실태를 살펴보고,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 산재보험 재활서비스 체계의 강화하기 위한 개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1996년과 1997년 산재보험 장해보상금 종결자 중 신규장해판정자 1,060명이며 조사방법을 전화면접조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율은 자영업을 합쳐 약 28.6%로 전체 응답자의 약 1/3에도 못미치는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신체적 손실을 나타내는 장해등급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능력정도 역시 재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재취업에 있어 신체적 손상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재활공학서비스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셋째, 재취업에 있어 신체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는 시기나 자신의 장애를 인식하는 점도 등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재취업에 있어 사회심리적 재활프로그램의 필요성울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직업재활서비스 이용여부는 재취업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현재 장애인 직업재활프로그램의 비효과성 측면과 더불어 직업재활프로그램의 저조한 참여에서 기인한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우선적으로 현재의 산재보험에서 투자하는 재활사업비를 확대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재활공학서비스의 연구개발사업을 활성화시키고, 현재의 산재보험 직업재활훈련체계를 재정립하고 프로그램 개발하는 등의 노력과, 사회심리재활서비스의 산재보험 수가화를 통한 확대, 개별상담원 도입 등의 방안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 PDF

건설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건설재해 발생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of Construction Workers on Construction Accidents and Turnover Intention)

  • 박용수;박수용;이동형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9-6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nd effects of job stress of construction workers on construction accidents and turnover int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field work environment of construction industry which shows higher industrial accidents than other industries. To this en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0 construction companies in Daejeon, Sejong, and Chungcheong provinces. The 301 data collected were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basic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IBM SPSS 2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b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ccident occurrence.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there was positive (+) influence on work culture and relationship conflict between peers, and organizational system had negative influence. Job demands, compensation incompetence, and job instabil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on the factors of work culture, organizational system, and relationship conflict in the construction site. Second, job stress has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inadequacy of compensation, and work culture were posi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Third, job demands have a slightly greater impact than compensatory inadequacies. The factors that make the job turnover more important are the excessive job burdens such as respect, internal motivation, responsibility rather than expectation non-conformity, time pressure, increase of work load.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construction worke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improvement of the job requirement. Fourth, the worker's job stress could overcome by exercise and fatigue elimination, work environment management, and self-opening for oth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work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for counseling and intimacy formation to open up the exercise and fatigue relief program of the workers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to open themselves between the workers and the supervisors.

산업재해근로자 노동시장이행의 성격과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abor Market Transition and Factors Influencing Labor Market Transition of Injured Workers)

  • 배화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3호
    • /
    • pp.193-21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재해를 경험한 근로자의 경제활동형태 변동과 그 특성을 기술하고, 산재근로자의 노동시장이행과 관련하여 산재보상서비스를 비롯한 영향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재보험패널 1~3차(2013년-2015년)자료를 활용하여, 요양을 종료한 1,668명의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번이라도 원직장 복귀를 경험한 사람은 36.9%, 재취업 경험자는 51.5%, 미취업 경험자는 36.9%였다. 경제활동형태 전이확률은 현재 원직장 복귀자가 다음 기에도 원직장을 유지할 확률은 88.1%, 재취업자의 재취업 유지 확률 88.9%, 미취업자가 다음 기에도 미취업자가 될 확률은 60.0%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활동형태 변화에서 재취업 대비 원직장 복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학력, 요양기간, 현재 업무수행능력, 산재전 직장규모, 근무기간, 종사상 지위 중 임시직, 일용직 그리고 직업훈련 총 횟수였다. 재취업 대비 미취업을 선택할 확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성별, 연령, 장해등급, 요양기간, 현재 업무수행능력, 산재 전 근로기간, 직업재활서비스 이용 경험이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와 노동시장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 PDF

조직구성원인 인식하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학습전이 풍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type within organization recognized by members of organization affecting learning transfer climate)

  • 김문준
    • 산업진흥연구
    • /
    • 제2권2호
    • /
    • pp.31-44
    • /
    • 2017
  •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인 인식하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학습전이 풍토 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은 상사와 커뮤니케이션, 매체 질 커뮤니케이션, 동료와 커뮤니케이션, 조직 전망 커뮤니케이션의 4개 변수로 제시하였으며, 종속변인인 학습전이풍토는 상사지원, 동료지원, 전이기회, 조직보상 인식의 4개 하위변수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년 중소기업 핵심직무역량 교육과정에 참여한 후 3개월 이상 경과한 참가자 150명을 대상으로 통계상 무의미한 설문을 제외 한 116부를 최종 활용하였다. 한편,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의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순석,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분석, 단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학습전이 풍토인 상사의 지원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상사와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질 커뮤니케이션, 동료와 커뮤니케이션, 조직전망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모두 상사의 지원에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은 학습전이 풍토의 동요의 지원에는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학습전이 풍토의 전이기화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동료와 커뮤니케이션을 제외한 상사와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질 커뮤니케이션, 조직전망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전이기회에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학습전이 풍토의 조직보상 인식에 대한 영향관계에서는 상사와 커뮤니케이션과 조직전망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온돌바닥 모르터의 건조수축 보상을 위한 팽창재의 품질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the Expansive for Dry-Shrinkage Compensation of the On-Dol Floor Mortar)

  • 이종열;이웅종;정성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314-32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온돌바닥 모르터에서 쉽게 발생하는 균열을 저감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팽창재 중에서 석회-석고계 팽창재의 품질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이다. 본 연구는 팽창재 함량별 배합조건을 설정하여, 석회-석고계의 팽창원리를 실험적으로 검증하여 보았고, 배합조건에 따른 팽창성능을 길이변화율 실험결과로부터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팽창성능을 증가시키면 압축강도는 지수함수적(Y = A $e^{-x}$)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팽창시멘트 제조시 품질관리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화학성분치와 팽창성능과의 회귀 분석 결과, 화학성분치(분말도, +44$\mu\textrm{m}$R, F-CaO, S $O_3$, L.0.1) 중에서 F-CaO 함량이 팽창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F-CaO함량이 증가하면 팽창성능도 증가하며 2차 함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다.

대학생의 직업가치,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ccupational Value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 정경순;이경임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83-93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value and social support on their career decision status. Methods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etween May 6 and May 30 in 2023 with 228 college students from city B in South Korea as the study participants.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hile t-test, ANOVA test,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WIN 22.0 program. Results :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search subjects had an average occupational value of 3.58±.44, social support of 4.18±.56, and a career decision status of 2.82±.59. Notab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reer decision status of the students was observed with regard to their fields of major (F=2.36, p=.019), However, no other variable demon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nfidence level pertaining to career decision-making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ursuit of status and self-direction (r=.25, p<.001), pursuit of creativity (r=.16, p=.017), pursuit of relationship (r=.35, p<.001), pursuit of diversity and change (r=.16, p=17), pursuit of interest (r=.19, p=.003), pursuit of compensation (r=.29, p<.001), pursuit of professionalism (r=.46, p<.001), material support (r=.25, p<.001), appraisal support (r=.35, p<.001), informational support (r=.32, p<.001), and emotional support (r=.29, p<.001). Moreover, the indecision level related to career decision-making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ursuit of excellence (r=.17, p=.010).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confidenc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included appraisal support (β=.29, p<.001) and pursuit of compensation (β=.19, p=.003), whose collective explanatory power was 15 %. It was further observed that appraisal support (β=-.27, p<.001), pursuit of professionalism (β=-.16 p=.017), pursuit of excellence (β=.17, p=.005), and the field of major (β=-.16, p=.012) largely influenced the indecision level related to career decision-making, together bearing an explanatory power of 17 %.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enhanci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Moreover, further research investigating the diverse variables that affect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is necessary, along with effective endeavors to improve education and develop programs that positively affect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전문교과 교원이 인식한 양성단계에서의 산업체 현장실습 경험 및 필요성 분석 (The Analysis of Experience and Requirement of Field Practice in Pre-service Education Perceived by Vocational Teachers)

  • 이찬;전영욱;최유현;조경희;류지은;정보영;이수기
    • 직업교육연구
    • /
    • 제35권6호
    • /
    • pp.21-38
    • /
    • 2016
  • 이 연구는 전문교과 교원 양성단계에서 산업체 현장실습 참여여부 및 필요성을 파악하고, 산업체 현장실습 참여경험이 있는 전문교과 교원의 참여경험 및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육연수원 및 충남대학교 교육연수원에서 직무 및 자격연수를 받고 있었던 전문교과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89부를 회수하였으며 부정확하게 표기한 4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685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원양성 단계에서 '4주 이상 산업체 현장실습을 참여하였다'고 응답한 전문교과 교원은 112명(16.5%)에 불과하였다. 그런데 양성단계에서 현장실습이 필요한지에 대해 전문교과 교원은 대체로 필요하다고 인식(평균 4.07)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체 현장실습의 참여 여부에 대해 '4주 이상 산업체 현장실습을 충실하게 참여하였다'와 '산업체 현장실습 관련 서류는 제출했으나, (4주 미만) 며칠만 참여하였다'고 응답한 143명을 대상으로 참여 경험을 조사한 결과, 참여기관으로는 중소기업, 거주지는 자택 또는 친척집, 이동수단은 버스 또는 지하철이라고 응답한 교원이 많았다. 산업체 현장실습에 참여한 교원의 34.8%가 금전적 보상을 받았으며, 80.3%가 학점을 인정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교과 교원의 산업체 현장실습 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보통수준(평균 3.51)으로 나타났다.

정모 및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을 이용한 3차원 계측 프로그램의 개발 -1. 단일 방사선원으로 촬영된 두부 방사선사진의 두부 위치 보정을 이용한 3차원 좌표의 산출- (DEVELOPMENT OF THREE DIMENSIONAL MEASURING PROGRAM WITH FRONTAL AND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PART 1. COMPUT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BY COMPENSATION OF THE ERROR OF THE HEAD POSITION IN ORDINARY NON-BIPLANAR CEPHALOSTAT-)

  • 이근호;이상한;장현중;권대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3호
    • /
    • pp.214-220
    • /
    • 2001
  • 안면비대칭이나 반안면왜소증과 같은 구강악안면영역의 기형에 대한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하여 두개 악안면 구조물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3차원 두부 계측 방사선 시스템의 임상적 적용이 계속 시도되었으나 주로 두 방향의 방사선원으로부터 동시에 얻어진 standard Broadbent-Bolton cephalometer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일방사선원에 의하여 촬영된 한 쌍의 정모 및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으로 정확한 3차원 좌표치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렇게 얻어진 3차원 좌표치의 정확도와 재현성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모,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동시에 촬영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오차를 보정해주는 수학적인 공식을 산출하고 이 공식에 의거하여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에 기준한 측모 두부 방사선 계측 사진의 위치 결정시의 오차를 건조 두개골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1차와 2차 측정시 각각 평균 $0.46{\pm}1.21^{\circ}, $0.33{\pm}0.90^{\circ}로 나타났다. 2. 단일 방사선원으로부터 3차원 계측점의 좌표값을 얻을때의 재현성을 파악하기 위한 임상적 계측 결과 1, 2차측정간의 오차가 절대값 평균 0.54mm ($-2.99{\sim}2.26mm$)로 나타났으며 이때 계측점 인식의 오차는 평균 $1.2{\pm}1.6mm$ 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에 의거한 측모 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의 위치를 결정한 후 두부위치 보정공식을 도입하면 임상적으로 충분히 재현성 있는 3차원 계측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을 증가시킨다. - PKC pathway는 MAPK pathway를 경유하여 Runx2의 전사 활성을 조절한다.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대구치의 원심경사는 필연적으로 일어나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착제의 종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영구치와 유치 모두에서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높았으며 AQ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낮았다.본에서 III군에 비해 크기가 큰 기포가 더욱 많이 관찰되었다.e의 약동학은 cimetidine에 의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생체내 대사능을 관찰하는 실험이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