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Health Act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6초

Barriers to Counseling on Advance Directives Based on Counselors' Experiences: Focus Group Interviews

  • Kim, Yejin;Yoo, Shin Hye;Choi, Wonho;Kim, Min Sun;Park, Hye Yoon;Keam, Bhumsuk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3권3호
    • /
    • pp.126-138
    • /
    • 2020
  • Purpose: In Korea, since the Act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was implemented in February 2018, advance directives (ADs) have become legally effective and should be documented after sufficient explanation by a registered counselor. However, little is known regarding the adequacy of current AD counseling. This qualitative study aimed to explore the barriers to AD counseling based on counselors' experiences. Methods: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using purposive sampling. Seven counselors working at hospitals, community health institution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about the challenges and problems they encountered during AD counseling. Results: Three themes emerged from this study; 1) issues regarding consistency in AD counseling, 2) issues regarding AD counselors' competency and work environment, and 3) issues regarding the adequacy of the service system. The interviewees stated that the lack of a manual for standardized service made AD counseling inconsistent. The limited competency and poor work environment of counselors were pointed out as major barriers. The interviewees also stated that a proper service system considering individual circumstances is absent. Conclusion: The goals of AD counseling should be clarified and guidance should be implemented for providing standardized services. Further efforts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AD counselors and to improve their working conditions are needed. Establishing an integrated framework for an adequate service system is also essential to overcome systematic barriers to AD counseling.

제주지역 건설현장의 응급처치 대응수준에 대한 조사연구 (Investigation on Level of Emergency Treatment Performance on Building Construction Sites in Jeju)

  • 강순민;장명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11-219
    • /
    • 2012
  • 제주특별자치도는 2005년 1월 27일 정부로부터 세계평화의 섬으로 지정을 받았고, 2007년 7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안전도시로 인증을 받았다. 최근 몇 년 동안 제주에서 발생한 각종 산업재해를 보면, 세계평화의 섬과 국제안전도시와는 어울리지 않는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건설현장에서는 미숙련자가 늘어나면서 후진국형의 안전사고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더불어 제주 지역의 건설현장은 다른 지방과 지역적으로 분리되어 있어서 일정 수준의 근로자를 채용하기가 어렵다. 이로 인하여 건설현장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수준과 사고발생시 응급처치 현황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호주 태즈메이니아 유기농운동의 전개과정과 발전과제 (History of Organic Agricultural Movement and Perspective for Development of Organic Agriculture in Tasmania)

  • 김종숙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5권1호
    • /
    • pp.25-43
    • /
    • 2013
  • Tasmania with its clean air, isolated from mainland Australia, has been producing high-quality agricultural products and has been continually developing organic farming since 1946 when the Living Soil Association of Tasmania(LSAT) was established. The organic farming movement in Tasmania has been actively advocated through three steps: the philosophical embryonic period, the movement diffusion period and the industrialised development period. The campaigns for informing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healthy soil and life unfolded during the embryonic period. This was followed by the birth of publicity of organic farming and the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the dissemination of organic farming techniques and various events related to agriculture in the diffusion period when the Organic Gardening and Farming Society(OGFS) was established in 1972. In the industrialised development period, The Organic Coalition of Tasmania (OCT) which is representative of Tasmania was organised in 2000 and has been leading the organic farming industry. The organic farming movement in Tasmania not only limits the use of artificial agricultural chemical but pursues the quality of food, environment, the health of life including all animals and plants, the issue of development in rural society, social justice, and equity in understanding. It is far more holistic in its philosophy. The output of organic food accounts for 1 % of the total amount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150 certified organic farms have managed with 5,000ha of land in 2010. The supply channels for organic foods vary from farmer's market, specialty stores, supermarket chains, local store to the cooperative community. Also the consumers' behaviour for organic foods has been establishing as an alternative life style. The education of the value and role of organic farming on the environment should be enlarged for the consumption of the organic food. In addition, organising for small farmers who act individually and the link with differentiated local food have still remained issues.

보건소직원의 조직에 대한 인식과 동기부여요인 및 직무만족요인 (Recognition Level of Organization,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of the Staff of Health Centers)

  • 남철현;위광복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49
    • /
    • 2000
  • 보건소 조직구조에 대한 인식도 점수는 5 점척도 기준으로 재량권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가 3.55 점으로 가장 높았고 보건소 조직구조에 대한 일반적 인식이 3.06점, 업무분장의 적합성 3.05점, 인력ㆍ예산의 적정성이 2.93 점, 의사결정권 소재에 대한 인식이 2.77 점 순이었다. 보건소 조직구조에 대한 직원들의 일반적 인식도 점수는 중소도시에서, 50 대 이상에서, 고졸 이하에서, 6급이상에서, 공무원 근무경력이 20년이상에서, 현부서 근무기간이 2년이하에서, 월평균 보수가 181만원이상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으며 이들 변수들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그리고 의사결정권 소재에 대한 인식도 점수는 대도시에서, 남자에서, 기혼자에서, 6급이상자에서, 보건ㆍ행정직에서, 월평균 보수가 131-180 만원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으며 이들 변수들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재량권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점수는 20 대에서, 미혼자에서, 대졸이상자에서, 간호직에서, 공무원 근무경력이 5년이하자에서, 현부서 근무기간이 2년 이하자에서, 월평균 보수가 80 만원 이하자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다. 인력ㆍ예산 적정성에 대한 인식도 점수는 여자에서,30 대에서, 기혼자에서,8 급에서, 보건ㆍ행정직에서, 현부서 근무기간 2-4년인자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다. 그리고 업무분장의 적합성에 대한 인식도 점수는 중소도시에서, 기혼자에서, 의료기술직에서, 공무원 근무경력이 20 년이상자에서, 현부서 근무기간이 4년이하자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으며 이틀 변수들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보건소 직원들의 보건소 조직관리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서 의사결정시 의견반응에 관한 인식도가 2.92 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목표량 설정방법의 합리성에 관한 인식이 2.88점, 보건소 인사관리에 대한 인식이 2.63점이었다. 보건소 인사관리에 대한 인식도 점수는 중소도시에서, 40대에서, 6급 이상자에서, 의료기술직에서, 공무원 근무경력이 20년 이상자에서, 현부서 근무기간이 2년 이하자에서, 월평균 보수가 181만원 이상자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으며 이들 변수들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의사결정시 의견반응에 관한 인식도 점수는 중소도시에서, 여자에서, 8급에서, 보건ㆍ행정직에서, 현부서 근무기간 2 년 이하자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으며, 목표량 설정방법의 합리성에 관한 인식도 점수는 50대 이상에서, 고졸 이하자에서,6 급 이상 자에서, 의무직에서, 공무원 근무경력 15-20 년인 자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으며 이들 변수들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직무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 교육정도, 업무분장의 적합성, 목표량 설정방법의 합리성에 관한 인식, 동기요인, 위생요인 이었으며, 조직문화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공무원 근무경력, 현부서 근무기간, 보건소 인력ㆍ예산의 적정성에 대한 인식, 업무분장의 적합성, 의사결정시 의견반응에 관한 인식, 목표량 설정방법의 합리성에 관한 인식이었다.

  • PDF

소규모 지역간 결핵관리사업 성과에 대한 시계열분석 - 전국 234개 시.군.구 보건소의 환자등록자료를 중심으로 - (Time Series Analysis on Outcomes of Tuberculosis Control and Prevention Program between Small Areas in Korea - with Patient Registry Data of 234 City.County.District Public Health Centers -)

  • 김춘배;최헌;신계철;박종구;함수근;김은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6호
    • /
    • pp.837-852
    • /
    • 2000
  • 연구배경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각 기초자치단체에서 발행하는 "통계연보" 등을 활용하여 결핵관리사업의 성과를 결핵예방사업, 환자발견 및 지속관리사업, 그리고 결핵 치료사업 측면에서 소규모 지역간 사계열분석 모형에 의해 연도별 인구천명당 결핵등록률 및 결핵 치료순응도 등의 성과지표로 산출하여 비교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 전국 234개 시 군 구 기초자치단체별로 발간된 "통계연보"나 광역자치단체별 "통계연보"를 원주시청 행정자료실, 강원도청 행정자료실, 통계청 민원실 등을 방문, 1980년도부터 2000년도까지 순차적으로 열람하여 결핵관리사업등 관련 정보를 지난 1년여동안 추적 조사하였다. 결핵관리사업의 성과지표인 연도별 결핵유병률 등을 산정, 이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 희귀모형을 구축하여 Micro TSP와 SAS 패키지를 이용하여 확률론적안 시계열분석을 하였다. 결과 : 1998년까지의 지역별 현황을 비교하면, 인구지표 중 인구이동률을 제외한 나머지 변수들의 경우 모두 구지역, 시지역, 군지역의 순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사회 경제학적 지표로는 인구천명당 자동차 등록대수, 지방세, 담배소비세 모두 시 군 구지역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보건의료지표는 시 군 구지역간 인구천명당 의사수 및 병상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역 규모의 크기에 따라 감소하였다. 지역별 관련 결핵지표의 시계열 분포의 변화를 비교하면, BCG접종률의 경우 1980년부터 1984년까지 약간의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그 이후 1993년도까지는 일정한 평형 수준 (plateau state) 을 유지한 이후 다시 감소추세를 보였다. 1985년 이전에는 시지역이, 1985년 이후에는 군지역의 접종률이 타지역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폐결핵양성자수 시점유병률, 폐결핵 음성자수 시점유병률 및 결핵사망률의 분포를 보면, 세가지 결핵지표 모두 1981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영향을 보여주되, 군지역이 가장 높았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시 군 구지역간 차이도 점차 줄어들었다. 이는 지역 특성상 민간의료기관의 분포가 적은 군 지역에서의 결핵등록 및 관리사업이 상대적으로 시 구(광역도시)지역보다 보건소 중심으로 용이하게 운영되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핵 치료순응도의 경우 기간유병률이나 사망률과는 반대로 1982년 이후 점차 증가하는 추세였다. 결론 : 이 연구결과는 현재 보건소 중심으로 관리되어 매년 집계, 보고, 발간되는 시 군 구 기초자치단체별 "통계연보"의 결핵보건사업 결과정보에 대한 이용의 실증연구에 해당된다. 따라서 지난 제7차까지 시행해 오던 전국결핵실태조사 대신에 향후 시행될 결핵정보 감시체계 운영등의 기초자료로서 가능성을 제공해주고 있다. 결국 이를 바탕으로 결핵관리사업과 관련 지역 특성에 맞는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의 기초자료 및 정부의 국가결핵보건사업 기획의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결핵관리 대책 수립시 우선순위 결정과 예산배분, 기대효과 산정에 필수적인 정보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교사환경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 Standards of School Building)

  • 홍석표;박영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4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rough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es, to grasp the present status of environment of school building(ESB), research the sundry records of each element a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andard of ESB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select the normative standard of ESB, to clarify the point at issue presented in Regulation of Construction & facility Management for Elementary and and Secondary School in Korea,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preliminary standard of ESB. To carry out a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se were required: 1. to investigate the existing present status of ESB, 2.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andard of ESB in each country, 3. to suggest the normative standard of preliminary standard of ESB, 4. to analyze the controversial points of the standard of ESB in Korea, 5. to suggest an alternative preliminary standard of ESB.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Putting, through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es, the existing present status of ESB together, it seemed that lighting environment, indoor air environment and noise environment were all in poor conditions. 2. In the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andard of ESB in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in Korea the factors of each lighting and indoor air environment were not presented properly, in Japan, in lighting environment aspect, the standard on natural lighting and the factors on brightness were not presented., and in the USA the essential factors of each environment were throughly presented. In the comparison of the standards on each factor, Korea showed that the standard level presented was less properly prescribed than those of the USA and Japan but it also showed that the standard levels prescribed in the USA and in Japan were mostly similar to the standard levels in records investigated. 3. With the result of the normative standard selection on School Builiding environment factor of prescribed in this study, the controversial points of the standard of ESB in Korea were analyzed and the result was utilized to suggest new preliminary standard of ESB. 4.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ntroversial points of the standard of ESB in Korea, it was found that the standard of ESB in Korea should be established on a basis of School Health Act and be concretely presented in School Health Regulation and School Health Rule. The factors of each environment was improperly presented in the existing standard of ESB in Korea. Moreover the standard of them was inferior to that of the records investigated and those of in the USA and in Japan and it also showed that the standard of it in Korea was improper to maintain Comfortable Learning Environment. 5. A suggested preliminary standard of ESB acquired through above study as follows: 1) In this study a new kind of preliminary standard of ESB is divided into lighting environment, indoor air environment, noise environment, odor environment and for above classification, reasonable factor and standard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controling way on each standard and countermeasures against it should be considered. 2) In lighting environment, the factors of natural lighting are divided into daylight rate, brightness, glare. In the standard on each factor, daylight rate should secure 5% of a mean daylight rate and 2% of a minimum daylight rate, brightness ratio of maximum illumination to minimum illumination should be under 10:1, and in glare there should not be an occurrence factor from a reflector outside of the classroom. And the factors of unnatural lighting are illumination, brightness, and glare. In the standard on each factor, illumination should be 750 lux or more, brightness ratio should be under 3 to 1, and glare should not occur. And Optimal reflection rate(%) of Colors and Facilities of Classroom which influences lighting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3) In indoor air environment factors, thermal factors are divided into (1) room temperature, (2) relative humidity, (3) room air movement, (4) radiation heat, and harmful gases (5) CO, (6) $CO_2$ that are proceeded from using the heating fuel such as oval briquettes, firewood, charcoal being used in most of the classroom, and finally (7) dust. In the standard on each factor, the next are necessary; room temperature: $16^{\circ}C{\sim}26^{\circ}C$(summer : $E.T18.9{\sim}23.8^{\circ}C$, winter: $E.T16.7{\sim}21.7^{\circ}C$), relative humidity: $30{\sim}80%$, room air movement: under 0.5m/sec, radiation heat: under $5^{\circ}C$ gap between dry-bulb temperature and wet-bulb temperature, below 1000 ppm of ca and below 10ppm of $CO_2$, dust: below 0.10 $mg/m^3$ of Volume of dust in indoor air, and ventilation standard($CO_2$) for purification of indoor air : once/6 min.(about 7 times/40 min.) in an airtight classroom. 4) In the standard on noise environment, noise level should be under 40 dB(A) and the noise measuring way and the countermeasures against it should be considered. 5) In the standard on odor environment, odor level under Physical Method should be under 2 degrees, and the inspecting way and the countermeasures against it should be considered.

  • PDF

Seasonal Dynamics of Fish Fauna and Compositions in the Gap Stream Along With Conventional Water Quality

  • Lee, Jae-Hoon;An, Kwang-Guk
    • 생태와환경
    • /
    • 제40권4호
    • /
    • pp.503-510
    • /
    • 2007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the seasonal effects on the fish fauna and compositions including trophic guilds and tolerance guilds. For the study, we collected fish samples twice in June as premonsoon period and early September 2007 as monsoon periods in five sampling sites of the Gap Stream, and then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nutrients (TN, TP) and suspended solids (SS) were compared with the guild data along the gradient of upstream-to-downstream. Chemical water quality, based on BOD, TP, and TN degraded gradually from the upstream to downstream reach and there were about 3 fold difference between S1 and S5. Water quality was worse in the premonsoon than the monsoon, and the heavy monsoon resulted in a dilution of the polluted river by rain water, especially, in the downstream reach. Total number of fish species, based on the catch per unit effort (CPUE), showed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easons; 30 species were sampled in premonsoon, but 23 species were sampled in the monsoon, indicating a seasonal difference in the fish fauna. Tolerant species dominated the fish community (48.3%) in the stream, and the proportions prior to physical disturbance by the monsoon rain were evidently greater in the downstream reach than the upstream. This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am polluted by nutrient enrichment as shown in the BOD and TP values. Sensitive species in the premonsoon decreased from the gradient of upstream-to-downstream reach. Such seasonal modifications in the trophic and tolerance guilds were evident. In the analysis of trophic guild and habitat guild, during the premonsoon the proportion of insectivore and riffle-benthic species were largely greater in the upstream reach than the downstream, whereas the proportions were opposite along the gradient of the stream in monsoon. Thus, the patterns of chemical water quality along the longitudinal gradients reflected the premonsoon conditions of insectivores and tolerant species, indicating that summer monsoon data of fish may not match with water quality due to large physical disturbance by flow regime. Seasonal monsoon in this region as well as the chemical pollution may act as a key role influencing the fish compositions of trophic and tolerance guilds and fauna.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premonsoon rather than the monsoon, thus, may be better predictor for a diagnosis of stream health conditions.

노인복지관 당뇨병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과정과 평가: 실행연구방법 (Senior Center Based Diabetes Self-management Program: An Action Research Approach)

  • 고하나;송미순
    • 한국노년학
    • /
    • 제38권1호
    • /
    • pp.169-185
    • /
    • 2018
  • 당뇨병 노인환자의 자기관리 교육은 대상자의 건강행위를 변화시켜야 하는 목표를 성취해야하므로 노인의 자기관리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노인 대상자의 특성과 개별적인 상황 및 조건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노인 특화 프로그램은 매우 제한적이고, 대상자 중심의 효과가 평가된 경우도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거주 당뇨병 노인 맞춤형 당뇨자기관리 프로그램을 실행연구 방법으로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실행연구방법의 계획, 실행, 평가, 성찰단계를 각 회기마다 시행하여 이전 회기의 결과가 다음회기의 중재계획의 변화에 근거가 되는 체계적인 순환과정을 3회기에 걸쳐 순차적으로 적용하였다. 일개의 지역사회 복지관에서 15개월에 걸쳐 12주의 소규모 노인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양적, 질적 자료를 모두 사용하여 참여대상자 측면의 평가가 충분히 포함되도록 하였다. 총 46명중 43명(93.48%)이 프로그램을 이수하였다. 양적인 프로그램의 효과결과에서는 당화혈색소(p<.001), 공복혈당(p<.001), 신체질량지수(p=.016), 허리둘레(p=.001), 수축기혈압(p=.036), 당뇨병 자기관리 행위(p<.001), 노인 건강행위지식(p=.008)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질적 평가 자료에서는 본 프로그램은 개별적인 맞춤 관리로 느껴지며 이를 통해 역량 강화하게 되었고, 상호작용을 통한 능동적인 참여를 통해 자신의 자기관리 이행에 자신감과 실천의 즐거움을 느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실행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로 대상자의 신체적 지표와 행위지표, 유용성 등의 양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대상자 측면에서의 주관적인 효과성을 확인 한 것은 효율성과 실현 가능성을 살펴보는 의미 있는 시도였다. 따라서 이러한 실행연구 방법을 통한 프로그램의 적용과정과 평가는 현장 실무자에게 대상자의 요구 중심의 맞춤형 중재 프로그램 시행의 가이드가 될 것이다.

노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혈관상태와 스트레스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Vascular Conditions and Stress on Leisure Activity in the Elderly)

  • 김동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3-61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혈관상태와 스트레스를 알아보고 스트레스의 문제가 노인의 혈관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노인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여가활동 항목의 구성을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여가활동에 대한 혈관상태와 스트레스를 분석하였으며 노인의 혈관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노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혈관상태의 평균값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p=.012) 체육활동이 혈관 상태에서 가장 안정성이 높았다. 둘째, 노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스트레스의 평균값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p=.035) 휴식 및 기타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스트레스 문제가 혈관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적어려움과 건강문제에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노인에게서 여가활동은 삶의 질 변화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노인은 여가활동을 통한 혈관상태의 개선과 스트레스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고 특히 체육활동은 혈관상태와 긍정적 관계가 있고 휴식 및 기타활동은 스트레스와 부정적 관계가 있다. 이로 인해,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 선정과 지속적인 참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veloping educational videos to inform rightly about school foodservice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a case study

  • Gyoungok Gang;Chaewon Park;Haejin Kang;Wan Soo Hong;Yoo Kyoung Park;Sook Hee Choi;Seung Hye Kim;Jieun Choi;Jihyun Park;Hyeja Chang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7-113
    • /
    • 2024
  • Objectives: Since the enactment of the School Nutrition Act in 1981, school lunch programs in South Korea have grow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ith a current student participation rate of 99.8%. Nonetheless, educational materials are needed to reduce misunderstanding and ignorance about school lunch program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3 educational videos that help students of various ages (kindergarteners/lower-grade elementary, upper-grad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respectively), understand the school lunch program. Methods: A scenario was created, was made, and the opinions on the scenario from experts in foodservice sectors were collected. A survey was conducted to students and parents to determine topics they wanted to know about school foodservice. The final videos were produced using this information and the expert opin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for Mac (IBM Corp., Armonk, NY, USA); a P-value of <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Three videos on school foodservice were developed for various age levels of students: kindergarten/lower-grade elementary, upper-grad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dditionally, English subtitles were included for the multicultural student population. These videos, each lasting about 7 minutes, cover topics such as nutrition, hygiene, and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school lunch program.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parents and students wanted to know the following topics about the school lunch program: "nutritionally balanced diet" (11.9%), "purchasing safe food ingredients" (10.9%), and "healthy eating habits" (9.9%). Conclusions: The developed videos will serve as valuable educational resources on school foodservice, foste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chool lunch program in parents and students, and potentially address their inquiries regarding production processes, nutrition, hygiene, cultural heritage, and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