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ercial herbs for food and medicin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6초

대전 지역 유통 식용 한약재의 잔류농약 실태 연구 (A Study on the Pesticide Residues Monitoring of Medicinal Herbs which has marketed in the Daejeon)

  • 김경신;김성구;임재윤;김병수
    • 혜화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9-143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sidue amount of pesticide on the 41 medicinal herbs in Daejeon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onitor the current status of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medicinal herbs for sale of food use in 2012. It was performed using GC/ECD, GC/NPD, HPLC to analyze pesticides residues. Residues of 283 pesticides were analyzed by a simultaneous multiresidue method in 41 medicinal herbs being on sale in Daejeon. The medicinal herbs detected pesticides in 10 of 41 cases, showed a detection rate of 24.39%. The medicinal herbs which exceed the maximum residue limit were five cases as Cnidii Rhizoma, Osterici Radix, Artemisiae Capillaris Herba, Zizyphi Fructus and Alismatis Rhizoma. And pesticide residue of Cnidii Rhizoma and Alismatis Rhizoma exceeds the limit standard presented in only medicine use of KFDA. The residual pesticides which had the high detection rate were Chlopyrifos, Tebuconazole and Endosulfan in the detection of medicinal herbs. For further research, standards of Pesticide Residues in medicinal herbs should be added and more research of pesticide residues in medicinal herbs required. And standards of pesticide residues in medicinal herbs should be applied equally as medicines and food.

유통 한약재의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황의 함량 분석 (The analysis of Residual Pesticides and Sulfur Dioxide in Commercial Medicinal Plants)

  • 김태희;장설;이아름;이아영;최고야;김호경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3-48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pesticide residues and sulfur dioxide residues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in Korea. Methods : Chromatographic test was performed on 100 samples consisted with 10 kinds of medicinal plants including improted and domestic products. To establish 19 pesticide residues (DDE, DDD, DDT, Dieldrin, Methoxychlor, BHC isomers, Aldrin, Endosulfan isomers, Endrin, Captan, Procymidone, Chlorpyrifos and Imidacloprid)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chromatographic equipments were used with the gas chromatography-mass detector and gas chromatography-electron capture detector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imidacloprid analysis was perform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gy-ultraviolet detector at 270 nm UV wavelength. The contents of sulfur dioxides were analyzed by modified Monnier-Williams method. All methods were based on notification procedure of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Results : The residual pesticides were not founded in improted and domestic samples. Among 100 samples, the residues of sulfur dioxide in 73 samples were not detected and 25 samples showed contents in the range of 0~21.90 mg/kg. The excess samples of MRLs were 2 samples (30 mg/kg to medicinal herbs), Asiasari Radix et Rhizoma (Imported product) and the average amount of sulfur dioxide in 2 unsuitable samples were 14.83 mg/kg. These samples were found to transgress KFDA regulatory guidance of residual sulfur dioxide. Conclusion : These results are able to use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value of commercial medicinal herbs.

유통 식약공용농산물 중 비의도적 유해물질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Unintentionally Hazardous Substance in Commercial Herbs for Food and Medicine)

  • 서미영;김명길;김재관;장미경;이유나;구은정;박광희;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53-45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17년 대형유통매장 및 온라인에서 유통 중인 식약공용농산물 중 다소비 13품목 117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4종(납, 카드뮴, 비소, 수은)과 아플라톡신($B_1$, $B_2$, $G_1$, $G_2$)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납 함량 분석 결과 117건 모두 기준(5 mg/kg이하) 이내로 검출되었고, 납의 검출량을 살펴보면 백출, 오가피, 갈근, 당귀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드뮴 함량 분석결과 2.6%가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카드뮴 기준 초과한 시료는 갈근 2건, 백출 1건이고, 검출량은 갈근 2건에서 각각 2.150 mg/kg, 1.822 mg/kg(기준 0.3 mg/kg 이하)이었고, 백출이 1.130 mg/kg(기준 0.7 mg/kg 이하)이었다. 조사한 13품목 중 백출, 갈근, 당귀, 길경 등 뿌리 및 뿌리줄기 부위를 사용하는 식약공용농산물의 카드뮴 오염도가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다. 비소 함량 분석 결과 ND~0.610 mg/kg의 검출범위를 나타내어 조사한 시료 모두 비소 기준(3 mg/kg 이하)에 적합하였다. 품목별 비소 함량 비교 결과 당귀가 평균 0.162 mg/kg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수은 함량 분석 결과 ND~0.0139 mg/kg으로 검출되어 식약공용농산물의 수은 오염도가 낮음을 확인하였다. 식약공용농산물의 아플라톡신($B_1$, $B_2$, $G_1$, $G_2$) 오염도 조사 결과 11.1%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갈근에서는 아플라톡신 $G_1$이 검출되었고 감초의 경우 2건 모두 아플라톡신 $G_2$가 검출되었다. 당귀는 검사한 10건 모두 아플라톡신 $G_1$, $B_2$가 동시에 검출되었다. 식약공용농산물 13품목 중 갈근, 백출, 감초, 당귀와 같이 뿌리부위를 사용하는 품목의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수은) 및 아플라톡신($B_1$, $B_2$, $G_1$, $G_2$) 검출률이 높게 조사되었다. 식약공용농산물의 안전한 유통 및 효율적인 품질관리를 위해서는 비의도적 유해물질에 대한 수거 검사 확대 실시를 통해 부정불량 제품의 유통을 차단하고, 곰팡이독소 오염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기준규격 설정 검토 등의 품질관리체계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원산지별 국내 유통 한약재의 이산화황 잔류실태 조사 (Monitoring of Sulfur Dioxide Residues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at Domestic by Geographical Origins)

  • 이아름;장설;이아영;최고야;김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2-157
    • /
    • 2014
  •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국산과 수입산 한약재 11종 116건을 대상으로 잔류이산화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108건(93.1%)은 불검출이었고 6건(5.2%)는 이산화황 허용기준치 30 mg/kg을 초과하였고 2건은 30 mg/kg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116건의 이산화황 평균함량은 $17.6{\pm}144.2mg/kg$이고 최대 검출량은 구기자(1,546.3 mg/kg)이었고 중국산 현호색(66.6%)의 이산화황 검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산 한약재는 71건 중 1건(1.4%), 수입산 한약재는 45건 중 7건(15.6%)에서 이산화황이 검출되었고 국내산 1건(36.7 mg/kg)과 수입산 5건(118.1 mg/kg)이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여 국내산보다 수입산 한약재에 이산화황 잔류량이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이산화황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부적합율은 다소 낮아지고 있지만 이산화황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한약재들 중 일부 한약재에서는 잔류이산화황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국내산 약재에 비해 수입산 약재는 부적합율이 높게 나왔다. 한약재는 일반적으로 수세 및 가열과정을 거치므로 실제 섭취하는 형태의 탕액에서는 원재료보다 이산화황의 잔류량이 크게 감소하지만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으므로 유통되는 한약재의 안전성 확립이 절실히 요구되어진다. 강화된 기준이 정착하여 안전한 한약재가 유통될 수 있도록 수입통관시 특별관리가 요구되며, 보다 적극적인 검사 요주의 품목에 대한 지속적인 잔류이산화황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이약소재 스포츠음료수의 기호성 검사 ; 감각분석 및 선호도 조사 (Taste Tests of Sport Beverage with Medicinal Herbs Added ; Sense-Analysis and Preference-Inquiry)

  • 나현종;김성수;김영찬;권대용;강호율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7-194
    • /
    • 2005
  • Objective: Two Korea-mode sport beverages with medicinal herbs added, Saeng Mac San (SMS) and Je Ho Tang (JHT), were developed by the Ginseng Research Group of the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For their practical usage, we examined their taste tests at rest including sense-analysis (S-A) and preference-inquiry (P-I). Methods: Five beverage-treatments, SMS, JHT and three commercial sport beverages (CSBs) and a control (CON) were offered randomly. Eighty-two subjects under stable control of their taste sense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for their S-A and p-I, which were developed by the Exercise Physiology Laboratory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means{\pm}SD)$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one-way ANOVA; Tukey' s test was administrated for identification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Results: Overall beverage likeability values of SMS and JH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SBs, JHT lower than CON. Overall flavor values of SMS and JH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SBs and CON. SMS was similar to CON in the amount of flavor. SMS and JHT were less tart than CSBs and the form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SBs and CON in four drinkability-related items. Conclusion : SMS rated less than CSBs in tartness and the amount of flavor. JHT was avoided most. Thus, the results indicate that JHT is not fit as a sport beverdge and the overall likeability of SMS must be elevated by way of strengthening its tartness and amount of flavor for practical usage.

  • PDF

황금·황련 추출물의 항균활성이 막걸리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al Activity of Sutellaria baicalensis·Coptidis rhizoma Extract on the Preservation of Makgeolli)

  • 박순희;이슬;진효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74-979
    • /
    • 2012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find herbal preservatives for Makgeolli, as Makgeolli loses its commercial value due to overproduced acidic materials. When Makgeolli was kept at $25^{\circ}C$ to find the changes in acidity, total microbial cell number, yeast cell number, and bacterial species variety, a sudden increase of acidity as well as the disappearance of yeast cells occurred at day 6, and Makgeolli was changed to complete off-flavor. Acetobacter pasteurianus is the main acidifier in Makgeolli and shows a synergy effect in acid formation when cultured in combination with Lactobacillus casei. Among 12 herbs, the ethanol extract of Sutellaria baicalensi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 pasteurianus, whereas the ethanol extract of Coptidis rhizoma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L. casei. Makgeolli added with S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demonstrated a lower acidity than that with Coptidis rhizoma extracts, which indicates that the inhibition of an acetic acid former i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a lactic acid former in Makgeolli preservation. S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prolonged the shelf life of Makgeolli by 1~2 weeks at a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0.63mg/m{\ell}$) during storage at $10^{\circ}C$.

식·약공용 농산물의 아플라톡신 오염 실태 조사 (A Monitoring of Aflatoxins in Commercial Herbs for Food and Medicine)

  • 김성단;김애경;이현경;이새람;이희진;류회진;이정미;유인실;정권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7-274
    • /
    • 2017
  • 2016년 6~12월 서울약령시에서 원형 또는 분말 형태로 유통 판매되는 식 약 공용 농산물 총 62건을 구입하여, 후칼럼 유도체화 장치인 광화학 반응장치를 연결한 HPLC-FLD를 이용하여 아플라톡신($B_1$, $B_2$, $G_1$, $G_2$)을 정성 및 정량 분석함으로써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아플라톡신의 검출한계는 $B_1$ $0.086{\mu}g/kg$, $B_2$ $0.020{\mu}g/kg$, $G_1$ 0.363 g/kg, $G_2$ $0.126{\mu}g/kg$이었고, 정량한계는 $B_1$ $0.262{\mu}g/kg$, $B_2$ $0.059{\mu}g/kg$, $G_1$ 1.101 g/kg, $G_2$ $0.382{\mu}g/kg$였다. 회수율은 $B_1$ 95.1~101.8%, $B_2$ 86.9~105.6%, $G_1$ 95.2~100.6%, $G_2$ 98.6~114.0%이었으며,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는 $B_1$ 1.9~9.8%, $B_2$ 1.2~8.2%, $G_1$ 2.1~9.5%, $G_2$ 0.9~9.3%였다. 사용부위에 따른 아플라톡신 오염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종자(Semen)만 아플라톡신이 검출되었으며, 21건 중 6건(원형 3건, 분말 3건)에서 아플라톡신이 검출되었다. 품목별 아플라톡신 검출 건수를 살펴본 결과, 연자육 중 원형은 7건을 검사한 결과 2건에서 아플라톡신 $B_1$, $B_2$가 검출되었고, 분말은 6건 중 2건에서 아플라톡신 $B_1$이 검출되었다. 산조인 원형은 5건 중 1건에서 아플라톡신 $B_1$, $B_2$가 검출되었으며, 분말은 3건 중 1건에서 아플라톡신 $B_1$, $B_2$가 검출되었다. 아플라톡신 검출량을 살펴보면, 연자육 원형은 총아플라톡신($B_1$, $B_2$, $G_1$$G_2$의 합)이 $ND{\sim}14.655{\mu}g/kg$($B_1$ $ND{\sim}11.869{\mu}g/kg$) 검출되었고, 분말은 총아플라톡신이 $ND{\sim}2.223{\mu}g/kg$($B_1$$ND{\sim}2.223{\mu}g/kg$) 검출되었다. 산조인 원형의 아플라톡신 검출량은 총아플라톡신이 $ND{\sim}9.182{\mu}g/kg$($B_1$$ND{\sim}6.612{\mu}g/kg$) 검출되었고, 분말은 총아플라톡신이 $ND{\sim}21.797{\mu}g/kg$($B_1$$ND{\sim}19.345{\mu}g/kg$) 검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곰팡이독소 검출현황을 토대로 식 약 공용 농산물에 대한 곰팡이독소 기준을 설정하여 식 약 공용 농산물의 안전한 유통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급성염증성 발열 모델에서의 항염증성 약재 혼합 추출물(YG-1)의 효과 (Effects of Extract Mixture (Yg-1) of Anti-Inflammatory Herbs on LPS-Induced Acute Inflammation in Macrophages and Rats)

  • 송인봉;나지영;송기쁨;김석호;이지현;권영배;김대기;김대성;조형권;권중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97-505
    • /
    • 2015
  • YG-1의 항염증 및 해열 치료 약물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식세포와 동물모델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활성 및 해열 관련 인자들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YG-1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인자인 IL-$1{\beta}$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iNOS 및 COX-2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염증인자인 NO 및 $PGE_2$ 생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YG-1은 LPS 유도성 발열 모델에서 염증을 완화시키고 해열의 효과를 보여 주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본 실험에 사용된 YG-1은 염증에 의해 유발되는 인후염과 같은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통생약의 아플라톡신 모니터링 (Monitoring of Aflatoxins o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 박승영;문현주;조수열;이준구;이화미;송지영;조옥선;조대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5-321
    • /
    • 2011
  • 아플라톡신은 Aspergillus flavus와 A. parasiticus.에 의해 생성되는 독소대사산물로 강력한 발암성물질로서 땅콩, 옥수수, 쌀, 보리 등 탄수화물이 주성분인 곡류가 그 기질로 알려져 있으며 생약에서도 검출된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아플라톡신($B_1$, $B_2$, $G_1$, $G_2$) 모니터링을 통해 생약의 곰팡이 독소 허용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모니터링을 위해 국내(5개 지역)와 중국(2개 지역)에서 유통 중인 생약 50품목의 558시료를 수거하였다. 수거한 시료는 관능검사를 거쳐 적합한 시료를 선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아플라톡신 분석은 시료를 70% 메탄올로 추출하여 면역친화성 칼럼으로 정제한 후, 칼럼 후 유도체화 장치(PHRED)가 장착된 HPLC-FLD로 분석하였다. 아플라톡신 분석을 위해 시험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0l5{\sim}0.138\;{\mu}g/kg$, $0.046{\sim}0.418\;{\mu}g/kg$였으며 회수율은 67.4~96.2%로 나타났다. 검증된 시험법으로 국내와 중국에서 유통 중인 생약을 대상으로 모니터링한 결과, 생약 2건(보두, 호미카)에서 아플라톡신($B_1$, $G_1$)이 검출되었다. 보두에서는 아플라톡신 $B_1$이 1.7 ${\mu}g/kg$, $G_1$이 0.9 ${\mu}g/kg$이 검출되었고, 호미카에서는 $G_1$이 0.8 ${\mu}g/kg$ 검출되었다. 또한 생약의 주복용 형태인 탕액으로 조제 하였을 때, 아플라톡신의 이행정도를 알아보고자 생약에 아플라톡신을 오염시키고 무 압력과 압력 조건에서 열수 추출 하였다. 탕액 조제시 아플라톡신의 이행률은 무압력 조건에서 13.6~51.3%였다.

한의약소재 스포츠음료수 섭취가 운동-유발성 피로의 단시간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Sport Beverages with Medicinal Herbs Added on Short-term Recovery from Exercise-induced Fatigue)

  • 나현종;이규락;강호율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6-46
    • /
    • 2006
  • Objectives : Ginseng Research Group in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developed Saeng Mac San (KFRI-2)and Je Ho Tang (KFRI-3) with their sensory factors more acceptable. And we examined their effects on the short-term recovery capacity for cycling exercise (EX) maintained to all-out. Methods : Seven healthy young subjects (aged $24.0{\pm}2.1yr$) were volunteered at this double blind test. Each of KFRI-2, 3, a commercial sport beverage and control (CON) was offered randomly on a series of EX protocol including 65% VO2max-90min EX (D-ride). 1h-recovery and 85% VO2max EX to all-out (P-ride) under the control of their heart rate (HR) and rating perception of exertion (RPE).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D-ride, 30, 60 and 90min in D-ride, 30 and 60min in the recovery period and each 10min in P-ride. Plasma analysis items were glucose, insulin, cortisol (CORT), testosterone (TEST), free fatty acid (FFA), $Na^+$, Cl-and $K^+$. The collected data (Means${\pm}$SE) were analysed by two-way ANOVA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p<0.05) by LSD.; the significant level in FFA, $Na^+$, Cl-and $Na^+$ was p<0.01 Results : At 30min during recovery. plasma glucose level in KFRI-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 and also insulin in KFRI-3 was than CON and KFRI-2. FFA in KFRI-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 during recovery. $Na^+$ in KFRI-3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 at 90min in D-ride, and also KFRI-2 was at 60min during recovery. However CORT, TEST, Cl-and $Na^+$ in treated beverages were not significant. KFRI-2, 3 elevated the time for P-ride more than CON did. Conclusions : KFRI-2, 3 elevated the time for P-ride about 12% more than CON did. It is based on rapid recovery of plasma glucose level and inhibition of lipolysis during recove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