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ercial Advertising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5초

웹사이트에 대한 태도, 광고에 대한 태도, 광고에 대한 집중도, 상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Attitude toward the Websit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Attention to the Commercial, Attitude toward the Brand, & Purchase Intention.)

  • 조윤식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7권
    • /
    • pp.127-146
    • /
    • 2001
  • 인터넷은 이제 모두의 것이 되고 있다. 따라서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인터넷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변수들을 확인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이론적 체계를 형성하고, 이러한 이론적 체계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연구모형 에 의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변수들은 현재까지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웹사이트 복잡성, 웰사이트 검색경험, 웹사이트에 대 한 태도, 광고에 대한 태도, 광고에 대한 집중도, 상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 등으로 나 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변수들 중에서 웹사이트에 대한 태도, 광고에 대한 태도, 광고에 대한 집중도, 상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 등의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연구하는 것 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울 달성하기 위해 관련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연구 모형과 가설로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 설정한 10개의 가설 모두가 채택이 되었다. 이는 비록 편의표본추출 에 의한 탐험적 성격의 연구이지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인터넷마케팅의 관 점에서 기존의 매체 즉, TV, 신문, 잡지 등의 매체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성격의 매체인 인 터넷 웹사이트를 통한 상품의 광고는 접근방법도 또한 달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의 매체와는 달리 컴퓨터를 매개로 한 웹사이트 광고는 컴퓨터 자체의 성능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아무리 좋은 광고라도 컴퓨터 성능이 그러한 광고를 화면에 재현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복잡하면 웹사이트 방문자들이 광고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지거나 아니면 기다리지 않고 바로 다른 사이트로 이동해 버리기 때문에 컴퓨터 성능적 제약조건 하에서 최선의 광고를 제작해야 하고, 웹사이트도 제작해야 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 PDF

넛지효과를 통해서 본 서울우유의 상업광고 스토리텔링 연구 (A study on Seoul Milk's commercial advertising storytelling though the Nudge effects)

  • 박윤성;함주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99-304
    • /
    • 2020
  • 과거 상업광고는 제품이 가지고 있는 기능, 설명, 또는 브랜드를 소개하는 식의 위주로 광고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지금의 광고시장은 스토리텔링 역할이 확대된 소비자의 감성에 맞추어 제품에 감성을 투영시켜 상품을 어필하고 있다. 넛지효과는 경제 행동학적 의미로 올바른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넛지효과가 포함되어있는 스토리텔링에는 사람과 사람들을 소통하게 하고, 그로 인해 소비자와 기업을 소통하게 해주며, 기업이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게 한다. 본 연구는 서울우유의 상업광고를 통하여 넛지효과의 개념을 이해하고 광고 속의 넛지효과와 스토리텔링 사이 상호작용의 분석에 대한 기업의 상업광고가 소비자로 하여 기업의 인식변화에 준 영향을 연구한다. 본 연구는 넛지효과가 가진 영향력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소비자는 넛지효과의 파급력에 영향을 받아 기업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관한 결과를 보여준다.

패스트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성 관련 광고 영상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Semiotic Analysis of Advertising Video Related to the Sustainability of Fast Fashion Brands)

  • 길나연;전재훈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057-1079
    • /
    • 2023
  • This paper examines the use of semiotics for analyzing fashion advertisements in the fast fashion industry. While previous studies have explored the use of semiotics in various industries, the application of this theory in the fashion sector-especially regarding fast fashion's commercial videos related to sustainability-remains underexplored. The paper adopts Roland Barthes' Semiotics Theory to analyze the advertising videos related to the sustainability of major fast fashion brands such as H&M, MANGO, and ZARA. The research approach involved reviewing all commercial videos related to sustainability on these brands' official YouTube accounts and conducting comprehensive analyses of advertisements using the binary opposition analysis framework. The paper's findings indicate that these commercial videos serve as a platform to mold a brand's sustainability image and promote the notion that fast fashion brands are leading the charge toward sustainability, preparing for an unpredictable future, guiding people toward hope, and offering ultimate freedom.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a critical examination of advertising videos related to sustainability in the fast fashion industry to guarantee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성역할 태도와 성역할 표현 의류광고 선호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Attitude and the Preference of Fashion Advertising Formatted by Sex Role Expression)

  • 신영미;권수애;김은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39-353
    • /
    • 1999
  •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ex role attitude and the preference of fashion advertising formatted by sex role express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ex role attitude and sociographic variables. This research has been done for 618 university students and working group who are living in Cheongju and Seoul.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ANOVA, and t-test were used.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1. In the view of the preference of fashion advertising, the stereotypical fashion advertising has more point than the androgynous fashion advertising. 2. The advertising formation preference showed a little difference significantly by sex role attitude. The group with conservative sex role preferred the stereotypical fashion advertising. The group with open-minded sex role preferred the androgynous fashion advertising. 3. Women preferred the androgynous advertising. As the aged, they preferred the stereotypical fashion advertising and have the conservative sex role. University students have more intention to buy with an androgynous fashion commercial than working group have and they have the open-minded about sex. The group subscribed the fashion magazine has more preference for androgynous fashion advertising, as they have more open-minded sex role than other group not subscribed the fashion magazine. This results imply that the androgynous formatted advertizing is still hard to get the influence of a general market promotion because most consumers have a low androgynous fashion advertizing preference. The preference of the fashion advertizing which expressed a sex ro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social demographics, and a sex-role attitude. Therefore, the market segment and advertising strategies which are based on sex role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would be very effective.

  • PDF

광고콘텐츠의 기호분석 (Advertising Contents based on Semiotic Methodology)

  • 김경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87-93
    • /
    • 2015
  • 광고에 대한 접근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설명된다. 즉, 마케팅 관점과 커뮤니케이션 관점이다. 광고학자 오조(Ozoh, 1998)는 광고가 마케팅의 도구라는 관점과 광고가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라는 관점으로 구분해 논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두 가지 관점은 광고의 메시지가 어떤 내용과 형태로 구성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다양한 논쟁을 제시하기도 한다. 광고는 기본적으로 광고주로부터 소비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고, 다시 피드백을 받는 설득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속한다고 본다. 그러나 이 두 범주가 보여주는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브랜드가치를 측정하는 문화코드의 개념에서는 상호 보완의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두 관점을 양적 소구와 질적 소구로 분류한 뒤, 광고 텍스트의 소구방법으로 시도되는 스토리텔링 장치를 문화기호학적 관점에서 설명한다. 즉 상품의 의미가치가 상품에 대한 사용가치로 표출되어 소비자들의 욕구충족을 어떻게 만족시키고 있는가를 기호화 과정으로 분석한다. 분석 방법으로는, 그레마스의 의미생성모델을 실제 사례로서 커피광고에 적용시켜본 뒤, 프랑스 커피 광고와 한국의 커피 광고의 차별화 전략의 상이점을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상업적 기능과 특성에 관한 연구 - 국내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ommercial Function and Characteristic of Fashion Illustration - a domestic research -)

  • 성광숙
    • 복식
    • /
    • 제50권7호
    • /
    • pp.165-179
    • /
    • 2000
  • This research centers on studying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 of fashion illustration for advertisement and publication which is, among plenty of fashion illustration's functions, the commercial one. Here are some purposes of the research. First, it presents the function of fashion illustration. Second, under the contemporary circumstance of specialization and subdivision. It givers people the better understanding of fashion illustration by providing a variety of its classification bases other than the typical, simple grouping of style drawing and fashion illustration. Third, this research helps fashion illustration establish itself as commercial art by showing how fashion illustration is utilized in the field as a part of the fashion industry. The methods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described that the concept of fashion illustration,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bases and commercial function are presented and than the data of fashion illustration which hale been used as goods since 1990 in the nation are selected in order to analyze the media for the application of fashion illustration. its expression methods, factors and images. By doing so, advertising fashion illustration are much less than those of published fashion illustration and even most cases of advertising fashion illustration are related just to poster advertisement such as magazines, fashion events or public subscription. The published fashion illustration isn't also attracting the public since it focuses on fashion information books, fashion magazines or fashion -clothing books. Another finding is that the expression style of fashion illustration is not various or distinctive. The expression remains in the trends of painting, figurative drawing, sometimes adopts post-modernism which is reflected in popular cartoon and figures exaggerates or simplifies the human body. The image of fashion illustration is simple. casual or feminine in the rough. For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fashion illustration, it is required to produce fashion illustrators, not works but goody, with various concepts appealing to the public.

  • PDF

뷰티 상업광고가 20대 남,녀의 뷰티 상품 구매 결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auty Commercial Advertising on Men and Women in Their 20's Purchase of Beauty Products)

  • 노승은;천승희;심보람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98-20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남녀의 뷰티 트렌드 정보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뷰티 상업광고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일종의 마케팅 수단으로 쓰이는 뷰티 상업광고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외모에 대한 관심과 SNS 사용이 가장 높은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여성은 접근성, 신뢰성 정보성이 가장 높은 광고로 모두 유튜브 광고를 택했고 남성은 각각 인스타그램 광고, TV 광고, 유튜브 광고를 택했으며 그 결과 20대 여성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광고는 유튜브 광고, 남성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광고는 접근성이 높은 인스타그램 광고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의 뷰티 시장에서 서비스 및 마케팅 분야에 새로운 전략을 구축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방송 광고의 음악 규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Music Regulations of Broadcasting Advertising)

  • 조재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94-40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방송 광고의 음악과 관련된 규정의 변화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사후 심의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에 대해 논의한 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일반 주요 규제로서 동요와 민요 관련 규정의 경우, 동요의 개사는 금지(비 상업적 공익광고 예외)되며 민요의 개사는 가능하지만 가사에 상품과 관련된 표현은 금지된다. 편곡은 동요와 민요가 모두가능하다. 품목별 규정으로서 의약품의 경우 제품명을 노래 가사로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며, 주류는 제품명 또는 제조사 등 제품과 관련된 명칭 및 음주를 권장하는 내용이 포함된 가사는 금지된다. 이와 같은 광고 음악의 제한 및 금지 규정의 근거는 불분명하거나 그 타당성이 미약한 부분이 있어 개선의 여지가 필요하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의 확산으로 방송과 인터넷 등 매체 간의 경계가 불문명한 시대에 청소년 등 특정한 계층을 보호할 목적으로 방송 광고만 규제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라는 지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미래에는 보다 타당성 있는 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Designing Health Games for Anti-Smoking Advertising Targeting College Students: The Impact of Message Types and Voice-Over

  • Yoo, Seung-Chul;Eastin, Matthew S.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3호
    • /
    • pp.17-24
    • /
    • 2017
  • Video games are an alternative channel for public health authorities constantly striving to reach target audiences and make positive chang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ddress effectiveness of health games as a health promotion technology for anti-smoking communication. This study tested the impact of advertising message types and voice-over relative to anti-smoking persuasion. By using commercial-level custom-made first person shooter (FPS) games, two experimental studies demonstrated usefulness of applying health games to change a player's attitude towards smoking. In particular, an interactive in-game message with a persuasive voice over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change targets' attitude towards smoking. Findings of our research offer meaningful insight on health promotion research and provide possible directions for future anti-smoking communication using health ga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