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fort with the Librar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도서관 불안과 성격 유형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Library Anxiety and Personality Traits)

  • 오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99-217
    • /
    • 2012
  • 본 연구는 도서관 불안과 성격 유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49명의 대학 1학년생을 대상으로 도서관 불안(LAS)과 성격 유형(한국형 BFI)을 조사, 측정하였다. 도서관 불안은 2.57점이었고, 하위 영역별로는 기계적인 장벽, 정서적 장벽, 직원으로 인한 장벽, 도서관 지식에 대한 장벽, 도서관 안락함의 순으로 도서관 불안이 높았다. 성격 유형은 친화성이 3.65점으로 가장 높은 경향을 가지고 있었고, 다음으로 신경증, 외향성, 성실성, 개방성의 순서였다. 도서관 불안과 성격 유형의 상관관계 조사 결과, 신경증 성향이 높을수록 도서관 불안 수준도 높고, 특히, 도서관의 안락함 영역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성향이 도서관 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연구에서는 다른 개인성향 변인을 사용한 연구, 개인 맞춤형 도서관 불안 해소 프로그램 개발 연구, 도서관 불안의 측면 보다는 정보 불안의 측면에서 측정도구 개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공공 어린이도서관 자료열람실의 실내환경디자인 평가 연구 -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in the Reading Room of Public Children's Library - Focused on National Examples of Public Children's Library -)

  • 장예;이진우;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183-191
    • /
    • 2014
  • Children stage is an important period the foundation of growth is accomplished. During the period, children are the most sensitive to environmental effects and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with surroundings can make lots of effects on their phys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Under the background of the above contents, a representative institution of the society, which is helpful to cultivate children's reading habit, will be children library.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intensively reading room among the children library's spatial organization and compare/analyze cases of children library's reading room with the elements of interior environment. The methods of research are theory study and case study. Through the on-the-site visiting and shooting, interior environment design was investigated and then, it was arranged, analyzed and evaluated. Cases were analyzed by elements of interior environment design evaluation. As the result, comfort was the highest and variety was the lowest. Especially, Songpa children library showed various factors generally through the various designs. 7 evaluative elements of children library's reading room were mutually different, but there was a certain different in relation of them. Especially, variety and flexibility must be more strengthened. So, children can interests and joy in reading room various designs are requested by getting out of library's uniformed furniture and arrangement plan.

정보활용능력 인지 수준과 도서관 불안 간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elf-Cognition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and Library Anxiety)

  • 오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23-137
    • /
    • 2011
  • 본 연구는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기 인지 수준과 도서관 불안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99명의 대학 1학년생을 대상으로 정보활용능력 인지 수준과 도서관 불안을 측정하였고, 측정 결과, 정보활용능력 인지 수준은 3.72점, 도서관 불안은 2.47점으로 조사되어, 이전 연구들과 유사하였다. 정보활용능력 인지 수준과 도서관 불안은 의미 있는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r=-0.493, p<0.05), 정보활용능력 인지 수준이 높을수록 도서관 불안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요한 도서관 불안요인으로는 '정보접근 방법에 대한 인지 부족', '정보의 적합성 평가에 대한 자신감 결여' 등이 제시되었다. 문헌정보학을 전공하려는 학생들의 경우, 그렇지 않은 학생들 보다 정보활용능력 수준과 도서관 불안 점수 둘 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문헌정보학적인 배경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도서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정보 이용자 개인의 심리적인 측면을 더욱 다양하고 정교하게 반영할 수 있는, 사회 심리 테스트들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 공간 영역 및 실내 환경 요소의 구성 현황과 사서 교사 인식 분석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about Space Composition and Interior Environment of School Libraries)

  • 송기호;강봉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7-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공간 영역 구성과 실내 환경 구성에 대한 현황과 사서 교사 인식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이 미래 교육 기본 시설로 자리매김하는 데 필요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설문에 참여한 126명의 사서 교사가 가장 많이 확보한 공간은 자유 독서 영역이고, 가장 낮은 확보 정도를 보인 공간은 매체 제작·집단 프로젝트 영역이다. 공간 영역 중 사서 교사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영역은 교수 영역과 자유 독서 영역이고, 매체 제작·집단 프로젝트 영역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실내 환경 평가 요소 중 안전성과 쾌적성은 가장 중요하게, 다양성과 융통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 학습공유공간과 창작 공간을 강조하고 있는 교육계와 도서관계의 흐름에 비해 사서교사는 여전히 전통적 도서관 공간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사서 교사 양성 및 재교육 과정에 창작공간 및 학습공유공간 구축과 운영 방안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용자의 실내 환경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공간 구성과 실내 환경 구상에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부모 등 도서관 이용자의 참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4면형 아트리움의 높이비와 천창 투과율에 따른 인접 실내공간의 자연채광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daylight performance of adjacent interior spaces in four-sided atrium according to the height ratio of atrium, and the transmittance of atrium canopy)

  • 유하늬;이주윤;송규동
    • KIEAE Journal
    • /
    • 제10권5호
    • /
    • pp.57-62
    • /
    • 2010
  • Studies on daylighting of building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due to the recent escalating oil price and low-carbon strategies in developed countries. Daylighting of buildings not only saves electric energy, but provide the occupants with a comfort visual environment. Atrium spaces are adopted by many modern buildings to improve daylight performance of deep interior spaces. Among the various types of atria, the four-sided type atrium is frequently adopted by library buildings, governmental buildings and office buildings. This study aims to suggest daylighting design data for adjacent occupied spaces by conducting dynamic simulations using Daysim program. Daylight Factor(DF), Daylight Autonomy(DA) and Useful Daylight Illuminance(UDI) levels for 12 measurement points in adjacent occupied spaces were calculated for square-shape four-sided atria with different SAR(Section Aspect Ratio) and different canopy transmittance.

Prevalent Signs and Symptoms in Patients with Skin Cancer and Nursing Diagnoses

  • Lisboa, Isabel Neves Duarte;de Azevedo Macena, Monica Suela;da Conceicao Dias Fernandes, Maria Isabel;de Almeida Medeiros, Ana Beatriz;de Lima, Cyndi Fernandes;de Carvalho Lira, Ana Luisa Branda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7호
    • /
    • pp.3207-3211
    • /
    • 2016
  • Background: Skin cancer has a remarkable importance given the high incidence in the population. In Brazil, it is estimated that there were 98,420 new cases of non-melanoma skin cancer among men and 83,710 new cases among women in 2014. Objectives: To verify signs and symptoms present in patients with skin neoplasm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and relate them to the nursing diagnoses of NANDA International. Materials and Methods: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carried out from March to May 2015 in the databases: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SCOP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and Nattional Institutes of Health,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Sciences of Health and Web of Science. The descriptors used were: 'Signs and Symptoms' and 'Skin Neoplasms'. Sixteen articles were identified as the final sample. After review, the signs and symptoms of skin cancer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were related to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present in NANDA International, with the aim to trace possible nursing diagnoses. Results: The most prevalent signs and symptoms were: asymmetric and well circumscribed nodules with irregular borders; speckles with modified color aspect; ulcerations; blisters; pain; itching; and bleeding. The principal nursing diagnoses outlined were: risk for impaired skin integrity; impaired skin integrity; acute pain; risk of shock; and impaired comfort. Conclusions: The identification of signs and symptoms present in patients with skin cancer and the relationships of these with the nursing diagnoses of NANDA International provide a basis for qualified and systematized nursing care to this cliente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