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bustion Toxicity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19초

주요 건축 내장재의 연소가스 유해성 평가 (Hazard Assessment of Combustion Gases from Interior Materials)

  • 서현정;손동원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49-5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건물 실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합판, 실내 마감용 목재(루바; 소나무), 압축 스티로폼 단열재, 강화마루 및 PVC 장판 5 종류의 연소가스 유해성을 분석하였다. 연소가스의 유해성 분석은 Naval Engineering Standard(NES) 713 규격 및 미국국방성 규격(MIL-DTL)을 적용하였다. $CO_2$의 방출량은 5종의 내장재 모두 NES 713 규격 한계치인 100,000 ppm을 초과하지 않았다. CO 방출량의 경우 압축 스티로폼 단열재가 6,098 ppm으로 규격 한계치인 4,000 ppm을 초과하는 값을 나타내었다. 포름알데히드는 PVC 장판과 압축 스티로폼 단열재에서 각각 25 ppm, 49 ppm 방출되었다. $NO_X$는 합판에서 955 ppm으로 가장 높은 양이 방출되었으며, 규정 한계치 250 ppm에 비하여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독성 지수는 합판 5.19, PVC 장판 4.13, 압축 스티로폼 단열재가 2.35, 강화마루 2.34, 그리고 실내 마감용 목재 1.22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 발생되는 연소가스 측정 및 유해가스 농도를 확인하여, 향후 건축 내장재의 화재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한다.

MDF합판의 방염 및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me Resistance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MDF Plywood)

  • 김인범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2호
    • /
    • pp.256-260
    • /
    • 2014
  • 건축물 내부의 장식을 위해 사용되는 MDF합판은 화염의 착화를 지연시키기 위해 방염처리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방염도료나 방염액 또는 방염필름 등을 적용하여 착화를 지연시키는데 이 때 적용하는 시료에 따라 방염성능과 연소 시 발생되는 가스의 유독성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MDF에 적용된 방염시료들의 방염성능 및 연소특성에 대해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방염성능에 부합하는 제품이 확인되었으나 방염처리방법에 따라 방염성능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소과정에서 발생되어지는 여러 종류의 유독가스의 영향도 함께 고려해야 할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거용 컨테이너 화재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독성 평가에 관한 연구 - 화재용 방독면 filter의 성능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oxicity Evaluation of Combustion Gases Released from the Residental Container Fire - Efficiency Test for the Fire Gas Mask Filters)

  • 이정윤;김정훈;김연희;정기창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8-54
    • /
    • 2004
  • The recent Ire incident in an elementary school of Chonan city causes the media focus on the fire safety of residential container buildings. In this study, real fire tests were conducted in this kind of buildings. Combustion products including $O_2,\; CO_2,\;CO,\;NOx,\;SOx,\;HCI,\;HCN$ were measured, and blood samples of lab rats were analyzed in terms of Co-Hb, Glucose, AST(GOT), ALT(GP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azard-reduction effects of employing gas mask protected with filter during the fire emergency of residential container building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whether or not employing the filter showed a sheer difference in the toxicity of the fire-induced gases, and then the importance of wearing a gas mask was evidently demonstrated.

화재로 인한 HCN 가스에 노출된 마우스의 병리학적 관찰 및 단세포 전기영동법을 사용한 DNA 변성 추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NA Degeneration by Comet Assay & Pathological Observation for Mouse Which were Exposed HCN Gases from Fire)

  • 조남욱;오은하;황성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7-16
    • /
    • 2012
  • 화재시 당면할 수 있는 위험성의 여러 인자 가운데 연소 독성 영향은 피난 및 최종 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화재 독성에 지금까지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치사 측면에 국한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질식성 가스인 HCN을 대상으로 가스유해성시험방법(KS F 2271)을 통하여 실험동물(흰쥐)에 직접 독성가스를 흡입시킨 후 평균행동정지시간을 측정하고, 이들 실험동물군의 내부 장기 변화, 혈액학 분석 및 단세포전기영동분석을 통해 연소 독성가스가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기존 가스유해성시험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접근(병리검사, 혈액검사, 혈액생화학검사, 단세포전기영동분석)을 통해 연소 독성학 분야의 생물학적 위험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조립식 건축물의 화재특성연구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Knockdown Building)

  • 이정윤;김홍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0-35
    • /
    • 2008
  • The recent fire incident in an elementary school of Chonan city causes the media focus on the fire safety of residential container buildings. In this study, real fire tests were conducted in this kind of buildings. Combustion products including $O_2$, $CO_2$, CO, $NO_x,$, $SO_x$, HCI, HCN were measur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azard-reduction effects of employing gas mask protected with filter during the fire emergency of residential container building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whether or not employing the filter showed a sheer difference in the toxicity of the fire-induced gases, and then the importance of wearing a gas mask was evidently demonstrated.

Efficiency Estimation of Toxicity Free Eire Resistance Cable

  • Yoon, Hun-Ju;Hon, Jin-Woong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3권3호
    • /
    • pp.34-38
    • /
    • 2002
  • In this paper, efficiency estimation of toxicity fee fire resistance cable experiments was measured smoke density of toxicity free fire resistance polyolefin insulation material and electric field dependence of tree shape in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One of the most serious causes of failure in high-voltage cables, can be an electrical discharge across an internal gab or void in the insulating material. Treeing due to partial discharge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breakdown in the insulating materials and reduction of the insulation life. Therefore the necessity for establishing a method to diagnose the aging of insulation materials and to predict the breakdown of insulation and research of the fire resistance character has become important. First, we have studied on electric field dependence of tree shape in LDPE about treeing phenomena occurring on the high electrical field. Second, the measurement method is the attenuation quantity of irradiation by smoke accumulating with in a closed chamber due to non-flaming heat decomposition and flaming combustion. A main cause of fire-growth and generating toxic gas when, it bums, should be dealt with great care in life. safety design. The fire gases were occurred carbon monoxide and decomposition than in polyolefin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of PVC, which has high content of carbon in chemical compound.

친환경 접촉점화 추진제 점화 성능 평가 (Evaluation of Ignition Performance of Green Hypergolic Propellant)

  • 김선진;신민규;차정열;고영성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58
    • /
    • 2023
  • 별도의 점화원 없이 스스로 점화가 가능한 접촉점화 추진제는 부식성과 독성으로 인하여 취급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독성이 적거나 없는 친환경 접촉점화 추진제의 개발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는 친환경 접촉점화 추진제의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화제로 95%의 과산화수소, 연료로 CNU_HGFv1를 사용하였으며 액적 낙하 시험, 점화 시험 및 연소 시험을 통하여 추진제의 점화 및 연소 특성을 확인하였다. 액적 낙하 시험 결과 점화지연 시간은 9.7ms 이며, 점화시험에서는 약 27ms로 추진제로 사용하기에 충분히 빠른 것을 확인하였다. 연소시험 결과 약 11.7bar에서 연소 효율 95.4~98.1%를 달성하였으며, 하드스타트 및 연소 불안정 없이 빠르고 안정적인 연소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FTIR 가스분석에 의한 고분자재료의 연소가스독성 평가 (A study on combustion gas toxicity of polymeric materials using FTIR gas analysis)

  • 이두형;공영건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79-84
    • /
    • 2005
  • 건축물, 운송수단에 많이 사용되는 고분자재료는 화재에 노출되면 다량의 열 및 연소가스를 발생시켜 피해를 야기시키는데 특히 유독성 연소가스는 인명피해의 주된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시 발생되는 다양한 종류의 연소가스를 동시에 연속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방법인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ASTM E 1678 실험장치에서 발생시킨 PVC, FRP, SMC 및 Ureathane foam 4종의 고분자재료 연소가스를 분석하였고, 분석된 연소가스 데이터를 NIST에서 개발한 FED 독성 모델에 적용하여 연소가스 유해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마우스를 사용한 KS F 2271 가스유해성 실험결과와 비교분석을 하였으며, FTIR 연소가스 분석방법을 이용하면 동물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연소가스 유해성을 정량적이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건축물 내부 마감재인 합성목재별 연소가스 독성평가 (Toxicity Evaluation of the Combustion Products from Synthetic Wood as Internal Finish)

  • 김종북;이시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7-18
    • /
    • 2016
  • 본 연구는 주택이나 창고 등의 내부 마감재로 사용하는 합성 목재의 연소 독성평가에 관한 것으로 SEM, 콘 칼로리미터, FTIR를 활용해 집성판, MDF, 미송합판, 코어합판, 나왕 방부목 5종의 재료별 연소가스 독성을 실험 및 분석하였다. 각 재료별 독성특성 중 나왕 방부목에서 이산화탄소($CO_2$)의 치사농도인 100,000 ppm을 2.5배 초과하는 256,965 ppm, 이산화황($SO_2$)의 치사농도인 400 ppm의 3.6배를 초과하는 1,475 ppm이 검출되었다. 집성판은 이산화질소($NO_2$)가 1,569 ppm으로 치사농도인 250 ppm의 6배가 측정되었고, 암모니아($NH_3$)는 MDF에서 치사농도 값인 750 ppm 대비 795 ppm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건축 재료에서 인체에 치명적인 가스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향후 건축 재료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소 독성 기반 우레탄 화재의 위험성 평가 연구 (A Research of Risk Assessment for Urethane Fire Based on Fire Toxicity)

  • 김성수;조남욱;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73-78
    • /
    • 2015
  • 리스크 관리 대상 중 화재는 대형재해임과 동시에 물적 인적 손실을 동반하는 고위험군 항목에 속한다. 따라서 재난안전관리에서는 실천적 측면에서의 화재예방활동과 발생 가능한 화재위험성 예측, 화재 피해 최소화를 위한 안전관리비용 투자가 요구되며 인적피해 최소화를 위해 가스 유해성 시험(KS F 2271)기반 연소 독성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화재위험성평가 기법의 기초 데이터 확보를 위한 연구로, 두께 5~25 mm의 우레탄 시료를 대상으로 가스 유해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동물에 노출되는 연소생성물은 적외선 분광분석기(FT-IR)로 분석하여 ISO 13344의 연소독성지수 Lethal Fractional Effective Dose ($L_{FED}$)를 산출하였다. 또한, $L_{FED}$에 기초하여 시료의 Lethal Concentration 50% ($LC_{50}$)을 산정한 결과, 일정치 이상의 화재하중을 가지는 우레탄 시료의 $LC_{50}$$118{\sim}129g/m^3$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해당 기법이 우레탄 화재 위험성 분석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본 기법의 적용으로부터 유해가스에 의한 인적피해 예측을 기반으로한 건축물 안전 확보 차원의 전략적 투자확대의 자료로 활용 가능케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