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imetric method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3초

자동배양기를 이용한 미생물 검출 (Detection of Microbial Growth in an Automated Culture System)

  • 성혜란;김일회;김지연;이종길;정연복;한상배;송석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0-134
    • /
    • 2008
  • 미생물 자동배양기를 이용한 감염성 물질의 검출은 시험적 오차의 경감은 물론 분리율 향상과 시간 단축을 가능하게 하였다. BacT/ALERT 3D 자동배양기는 미생물성장 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비색법으로 검출하는 장비로서 임상시료를 이용한 미생물 배양과 검출에 이용되어왔다. 자동배양기의 효율성을 검증하고 의약품의 무균 시험에 적용가능한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6종의 세균을 이용하여 중식 및 검출특성을 분석하였다. 3종의 호기성세균 Pseudomonas aeruginosa, Micrococcus Iuteus, Bacillus subtilis와 Staphylococcus aureus는 1 CFU가 31.44 시간 내에 검출되었고, 혐기성균인 Clostridium sporogenes는 15.96시간에 균의 중식이 감지되었다. 저성장 혐기성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는 $10^4$ CFU의 균수에서 검출에 129.36시간이 소요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전통적 직접 배양법보다 검출감도에 있어서 $10\sim10^5$배 높고 검출시간을 $2\sim10$10시간 단축한 것으로서 자동배양법이 미생물 증식과 검출에 효율적임을 말해준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이용한 자동배양법은 임상시료에서의 감염원 진단뿐 아니라 생물의약품의 무균시험에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Genome-wide hepatic DNA methylation change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Yoon, AhRam;Tammen, Stephanie A.;Park, Soyoung;Han, Sung Nim;Choi, Sang-Wo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2호
    • /
    • pp.105-113
    • /
    • 2017
  • BACKGROUND/OBJECTIVES: A high-fat diet (HFD) induces obesity, which is a major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while a calorie-restricted diet can extend life span by reducing the risk of these diseases. It is known that health effects of diet are partially conveyed through epigenetic mechanism including DNA methyl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genome-wide hepatic DNA methylation to identify the epigenetic effects of HFD-induced obesity. MATERIALS AND METHODS: Seven-week-old male C57BL/6 mice were fed control diet (CD), calorie-restricted control diet (CRCD), or HFD for 16 weeks (after one week of acclimation to the control diet). Food intake, body weight, and liver weight were measured. Hepatic triacylglycerol and cholesterol levels were determined using enzymatic colorimetric methods. Changes in genome-wide DNA methylation were determined by a DNA methylation microarray method combined with methylated DNA immunoprecipitation. The level of transcription of individual genes was measured by real-time PCR. RESULTS: The DNA methylation statuses of genes in biological networks related to lipid metabolism and hepatic steatosis were influenced by HFD-induced obesity. In HFD group, a proinflammatory Casp1 (Caspase 1) gene had hypomethylated CpG sites at the 1.5-kb upstream region of its transcription start site (TSS), and its mRNA level was higher compared with that in CD group. Additionally, an energy metabolism-associated gene Ndufb9 (NADH dehydrogenase 1 beta subcomplex 9) in HFD group had hypermethylated CpG sites at the 2.6-kb downstream region of its TSS, and its mRNA level was lower compared with that in CRCD group. CONCLUSIONS: HFD alters DNA methylation profiles in genes associated with liver lipid metabolism and hepatic steatosis. The methylation statuses of Casp1 and Ndufb9 were particularly influenced by the HFD. The expression of these genes in HFD differ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D and CRCD,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the expressions of Casp1 and Ndufb9 in liver were regulated by their methylation statuses.

채소류의 항산화 효과 비교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in the Various Vegetables)

  • 서정혁;백옥진;강영운;안지은;윤지숙;오금순;안영순;박선희;이상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37-341
    • /
    • 2013
  • 항산화 기능은 암이나 심혈관질환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서 다양한 식물들에 대해서 항산화 효과가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채소류에 대해서는 항산화 효과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아 단지 몇몇 천연 항산화제만이 식품 산업에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 산업에서 다양한 천연 항산화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채소류에 대해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여 채소류 중 항산화 효과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4 품목의 채소류를 대상으로 총 275개의 시료를 구입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TPCs)은 gallic acid를 대조 표준용액으로 Folin-Ciocalteu 시약을 사용하여 비색법으로 측정하였으며 DPPH 라디컬 소거능은 $IC_{50}$(DPPH 라디칼을 50% 저해하는데 필요한 추출물의 농도) 농도로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 여러가지 채소류에 대한 총 페놀 함량은 $0.32{\sim}49.26{\mu}g/kg$였으며 DPPH 라디컬 소거 활성은 0.0~2.43 mg/mL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채소류 중 항산화 효과가 가장 좋은 채소는 2가지 항산화 측정 방법에서 모두 마늘이였다.

천연 식물자원으로부터 Acetylcholinesterase 저해 및 항산화 활성 탐색 (Screening of Natural Plant Resources with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 김대익;이성현;허은영;조수묵;박홍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27-43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퇴행성 질환의 하나인 치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물질 탐색의 기초자료로서 식물 추출물에서 AChE 저해와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AChE 효소의 저해 활성을 살펴본 결과, 식물 전초(whole plant) 추출물에서는 당근, 땃딸기와 고추나물에서 20%-30% AChE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또한 식물 부위별(stem, leaf, fruit, root) 추출물의 AChE저 해 활성을 살펴본 결과, 줄기 부위 추출물에서는 은행나무(Gingko biloba)가 32.1%, 잎 부위 추출물에서는 산철쭉(Rhododendron yedoensa var. poukhanense)이 33.9%, 열매 부위 추출물에서는 선인장(Opuntia ficus-indica var. saboen)이 18.2%의 AChE 저해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을 살펴본 결과, 식물 전초에서는 땃딸기(Fragaria yezoensis)에서 90.4%의 라디칼 제거 효과로 L-ascorbic acid와 거의 유사한 항산화력이 나타나났다. 식물 부위별 추출물의 라디칼 제거 효과를 살펴본 결과, 줄기와 뿌리 부위 추출물의 은행나무, 잎 추출물에서 털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가 약 90%의 라디칼 제거 효과를 보였으며, 열매 부위 추출물의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약 95% DPPH 라디칼 제거 효과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식물 전초 추출물의 땃딸기와 고추나물, 식물 부위별 추출물에서는 줄기 부위의 은행나무와 잎 부위의 산철쭉이 AChE 효소 저해와 항산화력 활성이 높으므로 퇴행성 질환의 하나인 치매를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Chemical and bioactive comparison of flowers of Panax ginseng Meyer, Panax quinquefolius L., and Panax notoginseng Burk.

  • Li, Fang;Lv, Chongning;Li, Qiao;Wang, Jing;Song, Dan;Liu, Pengpeng;Zhang, Dandan;Lu, Jincai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4호
    • /
    • pp.487-495
    • /
    • 2017
  • Background: Although flowers of Panax ginseng Meyer (FPG), Panax quinquefolius L. (FPQ), and Panax notoginseng Burk. (FPN) have been historically used as both medicine and food, each is used differently in practice. Methods: To investigate th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and enhancing immunity activity of FPG, FPQ, and FPN, a method based on a rapid LC coupled with quadrupole time-of-flight MS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study evaluated by a carbon clearance test were combined. Results: According to quantitative results, the ratio of the total content of protopanaxatiol-type ginsenosides to protopanaxadiol-type ginsenosides in FPN was 0, but ranged from 1.10 to 1.32 and from 0.23 to 0.35 in FPG and FPQ, respectively. The ratio of the total content of neutral ginsenosides to the corresponding malonyl-ginsenosides in FPN ($5.52{\pm}1.33%$) was higher than FPG ($3.2{\pm}0.64%$) and FPQ ($2.39{\pm}0.57%$). The colorimetric analysis showed the content of total ginsenosides in FPQ, FPG, and FPN to be $13.75{\pm}0.60%$, $17.45{\pm}0.42%$, and $12.45{\pm}1.77%$, respectively. The carbon clearance assay indicated that the phagocytic activity of FPG and FPQ was higher than that of FPN. A clear discrimination among FPG, FPQ, and FPN was observed i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core plots. Seven compounds were confirmed to contribute strongly by loading plots, which may be the cause of differences in efficacy.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about the chemical and bioactive comparison of FPG, FPQ, and FPN, indicating that protopanaxtriol-type ginsenosides and malonyl-ginsenosides may play a key role in their enhancing immunity properties.

향부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Allium schoenoprasum)

  • 임상란;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32-239
    • /
    • 2020
  • 본 연구는 향부추의 알뿌리, 잎, 꽃 등의 세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와 항염 효능을 평가하였다.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능 결과, 알뿌리와 잎보다 꽃 추출물의 소거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FRAP 분석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꽃 (11.29±0.37 mgGAE/g) > 잎 (6.61±0.14 mgGAE/g) > 알뿌리 (5.7±0.67 mgGAE/g) 추출물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쥐 대식세포 RAW264.7 세포와 사람 피부각질 세포주 HaCaT 세포에 대한 세 가지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NO비색정량법, ELISA를 통하여 각 추출물의 항염 효능을 조사한 결과 LPS에 의한 NO 생성, TNF-α 분비가 꽃 에탄올 추출물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천연식물 자원인 향부추의 에탄올 추출물이 화장품 원료로서 높은 가능성을 의미한다.

수종 중금속에 의한 Acid Phosphatase의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fluence of Certain Heavy Metals on Acid Phosphatase Activities)

  • Choe, Rim-Soon;Kang, Young-Hee;Kim, Woon-So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9-76
    • /
    • 1980
  • $HgCl_2$ 5mg/kg body wt., 10 mg/kg body wt. 그리고 20 mg/kg body wt.와 $CdCl_2$ 10mg/kg. body wt., 15 mg/kg body wt.와 20 mg/kg body wt.를 mouse의 복가에 주사한 후 각각 24시간, 48시간 그리고 72시간 후에 간을 적출하여 disodium p-nitrophenyl phosphate를 기질로 하고 Mundry 비색법으로 acid phosphatase 활성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즉 $HgCl_2$는 5 mg/kg body wt.를 처리한 후 24시간 경과 후 3.47 mg Pi/ml 0.5 hr이었고, 72시간 경과 후에는 5.00 mg Pi/ml/0.5 hr이었고, 20 mg/kg body wt.에서는 24시간 경과 후 6.79 mg Pi/ml/0.5 hr로, 72시간 경과 후에는 3.47 mg Pi/ml/0.5 hr로 나와 대조군의 8.3 mg Pi/ml/0.5 hr의 약 0.5배로 나타났다. EH한 $CdCl_2$는 15 mg/kg. body wt.와 20 mg/kg body wt.는 모두 죽었으니, 10 mg/kg body wt.에서는 거의 50% 정도가 살았고, 24시간, 48시간 그리고 72시간 경과 후에 거의 모두가 11.2 mg Pi/ml/0.5 hr로 나와 대조군의 8.63 mg Pi/ml/0.5 hr 보다 1.5배 정도 높게 나타나 activate시킴을 보여주었다.

  • PDF

당뇨 마우스에서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의 식후 고혈당 완화 효과 (Gelidium amansii Extract, a Potent α-glucosidase and α-amylase Inhibitor, Alleviates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Diabetic Mice)

  • 박재은;김정민;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1052-1058
    • /
    • 2017
  •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는 홍조류로서 우뭇가사리과(Gelidiaceae)에 속한다. 현재까지 우뭇가사리의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 등의 기능들이 연구되었으나 식후 혈당 수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elidium amansii extract (GAE)가 탄수화물 가수분해 효소(${\alpha}-glucosidase$, ${\alpha}-amylase$)에 미치는 억제 효과 및 streptozotocin (STZ)으로 유도된 당뇨병 마우스의 식후고혈당에 미치는 완화효과를 조사하였다. 정상군과 STZ으로 유도된 당뇨병 마우스에 수용성 전분(2 g/kg body weight)을 경구투여한 후 GAE (300 mg/kg body weight) 또는 acarbose (100 mg/kg body weight)를 단독 또는 함께 투여하였다. 혈당은 꼬리채혈을 통해 0, 30, 60, 120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alpha}-glucosidase$${\alpha}-amylase$에 대한 GAE의 $IC_{50}$ 값은 각각 $0.099{\pm}0.009mg/ml$$0.178{\pm}0.038mg/ml$의 결과값을 나타내어, 양성대조군인 acarbose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STZ으로 유발된 당뇨병 마우스의 식후 혈당 수치는 대조군에 비해 GAE 투여 시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p<0.05). 또한 GAE 투여는 당뇨병 마우스에서 포도당 반응에 대한 곡선하면적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GAE가 ${\alpha}-glucosidase$, ${\alpha}-amylas$와 같은 탄수화물 가수분해 효소를 억제함으로써 식후 고혈당을 완화시키는 유용한 천연기능성 식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치근 천공 치료 재료의 생체친화성의 비교 (COMPARISON OF BIOCOMPATIBILITY OF FOUR ROOT PERFORATION REPAIR MATERIALS)

  • 강민경;배인호;고정태;황윤찬;황인남;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3호
    • /
    • pp.192-198
    • /
    • 2009
  • 이번 연구는 치근 천공의 치료 재료인 white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를 흔히 사용되는 calcium hydroxide liner ($Dycal^{(R)}$), glass ionomer cement (GIC), 그리고 MTA와 유사한 성분을 가진 Portland cement와 세포독성 실험으로 생체 친화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세포독성의 정도는 MG-63 세포를 이용해 주사전자 현미경적 관찰과 수용성 tetrazolium salt를 이용한 흡광도를 측정 (XTT assay)하여 평가하였다. SEM 관찰에서, 1일과 3일째 모두에서 GIC와 MTA, Portland cement 표면에서는 잘 부착된 세포를 보여주었다. 반면에, Dycal 표면의 세포들은 둥글고 부착되지 않은 양상을 보여 주었다. XTT assay에서는 Dycal을 제외한 모든 재료에서 유사하게 높은 세포 활성도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SEM 관찰 소견과 일치하였다. 이번 연구는 MTA가 생체친화적인 재료라는 견해를 뒷받침한다. 또한 Portland cement와 GIC에서도 MTA와 유사한 세포반응을 보여주었다.

천연식물자원으로부터 Acetylcholine esterase 저해 활성 탐색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Screeening of Natural Plant Resources with Acetylcholine esterase inhibitory activity and Effect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 최장원;원무호;주한승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213-226
    • /
    • 2011
  •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 esterase, AChE) 억제제는 아세틸콜린 함량을 높여 콜린성 neuron을 활성화함으로써 기억 능력의 개선 및 치매 개선을 가져와 현재 다양한 AChE 억제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ChE에 대한 억제 활성을 갖는 천연물을 다양한 식물추출물 및 에센스오일로부터 탐색하였으며, 탐색한 추출물의 scopolamine으로 기억손상을 유발한 쥐의 기억력 개선 활성을 치매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는 donepizil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몽(Citrus paradisi) 유래의 에센스 오일이 AChE 억제 활성이 가장 높아 20 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90% 이상의 효소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수동회피 실험 결과, 자몽 유래의 에센스오일(100 mg/kg, p.o.)을 투여한 쥐는 치매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는 donepizile (0.5 mg/kg)을 투여한 쥐와 유사한 latency time을 나타내어 인지기능이 개선되었다. 또한, 수중미로 시험 결과, 자몽 유래 에센스오일(100 mg/Kg, p.o.)을 투여한 쥐는 donepizile(0.5 mg/kg)을 투여한 쥐와 유사한 latency time을 나타내어 인지기능이 개선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자몽 유래 에센스오일은 매우 효과적으로 기억력을 개선하여 인지기능을 개선해 줄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후보물질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