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Sugar Contents

검색결과 501건 처리시간 0.032초

찹쌀의 종류와 전처리를 달리한 약주의 특성 및 휘발성 향기 성분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Compounds in Yakju Made with Various brewing Conditions; Glutinous Rice and Pre-treatment)

  • 권영희;조성진;김재호;안병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6-52
    • /
    • 2010
  • 한국의 전통 알코올 음료인 약주를 찹쌀가루, 찹쌀 전분 그리고 누룩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찹쌀의 종류와 전처리의 차이에 따른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효모는 Y90-9를 사용하였고 발효제로는 시판되는 개량누룩(SP1800)을 사용하였으며 덧술에 엿기름을 첨가하여 저온에서 발효하였다. 발효기간 중 pH와 당도는 찹쌀가루를 이용한 약주가 찹쌀전분을 이용한 경우보다 높았으며 전처리로 호화를 거친 약주가 높게 나타났고 발효초기 0.3 이상이었던 산도는 발효 종료 후 전처리에 관계없이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였으며, 알코올 함량은 전처리로 호화를 거친 찹쌀가루 약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함량은 찹쌀가루를 사용한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고 자외부 흡수와 착색도 또한 찹쌀 가루를 사용한 약주도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3.5-3.9 mg/mL의 수준이였다. 술에서 맛과 산성도 조정 역할을 하는 유리당의 조성은 glucose > maltose > fructose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기산은 검출된 6개 중 succin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검출된 21개의 휘발성 향기 성분 중 alcohol은 3 종, ester는 17종, 그리고 aldehyde는 1종이 동정되었으며 그 중 부드러운 향을 나타내는 ethyl palmitate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호화한 찹쌀가루와 개량누룩을 사용하여 제조한 약주가 알코올의 수율이 높고 풍부한 향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지역별 청양고추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yang pepper (Capsicum annuum L.) according to Cultivation Region)

  • 황인국;김하윤;이준수;김행란;조명철;고인배;유선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340-134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청양고추를 13개 지역에서 노지재배된 것을 채취하여 재배지역별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단백질함량은 12.74~19.98%, 지방함량은 4.54~7.17%, 회분함량은 6.07~9.81% 범위로 넓은 분포를 보였다. 무기성분 함량은 지역별 차이를 보였지만 주요 무기성분은 K이었다. pH 및 총산도는 각각 4.86~5.26 및 2.10~4.25% 범위였다. 청양고추의 유리당은 fructose 및 glucose가 주요 유리당으로 검출되었고 각각 8.55~17.06% 및 3.25~10.47% 범위로 지역별 큰 차이를 나타냈다. 색도 중 a값은 28.89~37.12의 범위였고, ASTA값은 76.54~139.57의 범위로 a값에 비해 넓은 분포를 나타냈다. Capsaicin 함량은 100.27~261.54 mg%, dihydrocapsaicin 함량은 51.01~84.58 mg% 범위였고 capsaicinoid 함량은 11개 지역에서 200 mg% 이상의 함량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청양고추는 재배지역에 따른 심한 함량 변이를 나타냈으며, 추후 다양한 품종을 대상으로 재배지역에 따른 품종 특성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블랙커런트 요구르트 첨가 드레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dressing containing black currant extract)

  • 권용우;박금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78
    • /
    • 2018
  • 본 연구는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영양분 섭취와 질병 예방 차원에서 각종 과실과 이를 활용한 제품 개발의 일환으로 베리류 중 블랙커런트 농축액을 요구르트 대체 0, 5, 10, 15, 및 20% 비율로 첨가하여 요구르트 드레싱의 품질특성과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에서 블랙커런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요구르트 드레싱의 조회분과 탄수화물은 증가하고 수분함량, 조단백, 조지방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H와 점도는 블랙커런트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p<0.001) 당도는 블랙커런트의 당도로 인하여 첨가량과 비례하여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색도는 블랙커런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 값은 감소하였으며, a 값과 b 값은 증가하였다. 블랙커런트 첨가 요구르트 드레싱의 유기산 결과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는 블랙커런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tartaric acid와 lactic acid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르트의 항산화능에서 총 페놀 함량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며, 블랙커런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안토시아닌의 경우 대조군이 0.62 mg/100 mg로 가장 낮았으며 블랙커런트 20%첨가 요구르트 드레싱이 190.09 mg/100 mg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도 블랙커런트 첨가 요구르트 드레싱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또한 블랙커런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나 블랙커런트를 첨가함으로써 요구르트 드레싱의 항산화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어성초 추출물의 발효적성 및 발효액의 특성 비교 (A Study on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Fermentability and Fermented Broth for Houttuynia Cordata Thunb Extracts)

  • 김미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2-127
    • /
    • 2009
  • 어성초가 자연발효에 의존할 경우 잡균 및 산막효모의 오염 및 발효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발효된 어성초 엑기스에서 야생효모를 분리하고, 어성초 추출물에서의 발효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15^{\circ}Brix$ 당용액에서 알코올 함량은 배양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여 배양 90시간째에 HCE 12%, HCD 11.2%, HCA 10.5% 순으로 높았다. HCF, HCG, HCB, HCC는 알코올 함량이 $7.5{\sim}8.5%$ 사이였다. 당용액에서 알코올 생성능이 가장 높은 HCE와 HCD 균주를 어성초 분리효모로 선정하고, 어성초배지(어성초 착즙액:증류수(1:1)에서 기존 Saccharomyces 균주와 발효력 비교 검토 결과, pH는 발효 전 $4.09{\sim}4.12$에서 발효 후 $3.57{\sim}3.78$로, 당도는 발효전 $15.00{\sim}15.19$에서 $7.75{\sim}9.57$로 감소하였다. 산도는 발효전 $0.138{\sim}0.210$에서 발효 후 $0.282{\sim}0.450$으로 증가하였으며, 알코올 함량은 발효 후 $3.6{\sim}4.6$으로 어성초 분리균인 HCD와 HCE가 감, 사과 및 포도에서 분리한 DJ97, YJK, R12, RCY 보다 소폭 높았다. 발효된 어성초배양액은 어성초 특유의 강한 비린내가 감소하고 생성된 알코올로 인해향은 보통 수준 이상의 관능평가를 얻었으나, 맛은 보통 이하로 낮은 관능평가를 얻었다. 색은 최저 $4.75{\pm}1.44$, 최고 $6.85{\pm}1.63$으로 HCE가 관능항목 중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최저 $3.95{\pm}1.17$, 최고 $5.00{\pm}1.41$로 보통의 수준으로 이는 맛의 기호도가 충족되지 못하여 낮은 관능평가를 얻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색, 향,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균주간의 유의성(p<0.05)은 인정되지 않았다. 어성초 특유의 비린내를 보완할 수 있는 부재료를 첨가하여 맛을 완화시킬 수 있다면 어성초를 이용한 약용주의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모과내 기능성 유용성분 용매추출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Solvent Extraction Process on the Active Functional Components from Chinese Quince)

  • 전주영;조인희;경현규;김현아;이창민;최용희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92-9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모과내의 여러 가지 기능성 유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 모과나무의 익은 열매로 만든 약재인 모과를 사용 하였다. 모과의 기능성 유용성분 용매 추출 공정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모과를 에탄올에 추출하여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 용매 조건을 설정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시료에 대한 용매비($X_{1}$)와 추출온도($X_{2}$), 추출시간($X_{3}$)을 요인변수로 하고 추출수율($Y_{1}$), 총 페놀 함량($Y_{2}$), 전자공여능($Y_{3}$), 갈색도($Y_{4}$), 환원당($Y_{5}$)을 종속변수로 하여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수율은 추출 온도와 추출 시간에 유의하게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안장점에서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는 26.38 mL/g, 추출온도는 72.82$^{\circ}C$, 추출시간은 74.86 min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은 용매비와 시간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고 추출시간에는 영향을 받았으며, 최대값은 20.70 mg/mL 로 나타났다. 이때의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는 22.61 mL/g, 추출온도는 84.49$^{\circ}C$, 추출시간은 77.25 min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추출온도에 따라 유의하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장점에서의 추출조건인 시료에 대한 용매비 10.65 mL/g, 추출온도 67.78$^{\circ}C$, 추출시간 96.75 min에서 추출수율은 94.12%로 예측되었다. 갈색도에 대한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3.77 mL/g, 추출온도 87.27$^{\circ}C$, 추출시간 96.68 min 일 때 안장점이 나타났다. 환원당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6.83 mL/g, 추출온도 82.167$^{\circ}C$, 추출시간 81.94 min에서 10.55 mg/mL로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추출시간에 영향을 받았다.

자소자첨가 동치미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 Jasoja(Perillae semen))

  • 황재희;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55-564
    • /
    • 2001
  • The optional ingredient jasoja(Perillae semen) was adopted to improve Dongchimi in qualify during fermentation The final weight percentage of jasoja in Dongchimi was adjusted to 0, 0.25, 0.5, 0.75, or 1.0% Per radish.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during fermentation for 45 days at 10$^{\circ}C$. As the fermentation of Dongchimi proceeded, the pH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otal acidity; however, the decreasing rate was slowed down by increasing the level of jasoja. The delayed pH drop of Dongchimi was limited only for the initial period of fermentation and the ultimate pH became almost comparable even for the 1% treatment. The total vitamin C content increased initially to a certain level depending on the level of jasoja, and then decreased later. Dongchimi with 0.5% jasoja contained the highest level of total vitamin C and reducing sugars. In case of 1% treatment, the typical pattern of an initial high content followed by a gradual decrease in reducing sugar was destroyed by a rapid fermentation at the later stage. Turbidity level, along with total solid contents of the liquid part of Dongchimi increased in all treatments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although the extent was rather suppressed by jasoja. As a result of fermentation, the colorimetric lightness values decreased, with the intial increase followed by the decrease at a certain point in redness and yellowness and the increase in color difference values (ΔE). Overall, fermentation with 0.5% jasoja for 11 to 30 days appea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Dongchimi.

  • PDF

Bacillus brevis 로 제조한 된장의 품질 (The Quality of Doenjang (Soybean Paste) Manufactured with Bacillus brevis)

  • 양성호;최명락;지원대;정영건;김종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80-985
    • /
    • 1994
  • We investigated the quality of soybean paste(Doenjang) fermented by BAcillus brevi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soybean paste fermented by Bacillus brevis had alkaline pH and yellow ochre color. Dextrinizing activity was about 98 D.P. unit from 5th to 25th day of fermentation at 3$0^{\circ}C$ and after that day somewhat decreased . Saccharifying activity was respectively 6.1, 7.2, 6.8, 6.4 S.P. unit on 5, 15, 25 and 35th day of fermentation. Protease activity suddenly increased after 15th day of fermentation and was 250, 275, 299 unit on15, 25, 35 th day of fermentation ,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free amino acid was found to be glutamic acid (561.8mg%) in soybean paste fermented by Bacillus brevis. In case of free sugar and non-volatile organic acid, fructose and oxalic acid showed highest content of 10.25mg% on 25th day and 12.20mg% on 15th day.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free sugars, organic acids in soybean paste fermented by B.brevis were most abundant after 25 days of fermentation and this results were similar to that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The odor of soybean paste fermented by Bacillus brevis was improved to be a nice soybean paste odor on 25th day of fermentation. However, sensory evaluation value of the taste of it decreased after 10 th day of fermentation.

  • PDF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Treatment Delays Leaf Senescence and Improve Fruit Storability in Melon (Cucumis melo L.)

  • Hong, Ji-He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158-161
    • /
    • 2012
  • The influence of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 on anti-senescence of melon leaves and the change in fruit quality during the storage at low temperature were studied. In most of the crops, freshness of leaves is important factor for characteristics of fruits, such as sugar contents, color, and firmness. Melon ($Cucumis$ $melo$ L. cv. Prince) plants were sprayed with LPE at 5 and 3 weeks before commercial harvest. In upper part, LPE treatment showed slight high number of fresh leaf compared to no treatment (None). However, in lower part, LPE resulted in apparent inhibition effect on senescence, showing that lower side of melon plant kept fresh upon LPE application up to about 30%. The SSC of melon treated with LPE was similar to that of fruit from None at harvest. There was no change in soluble solids content (SSC) for all treatment during the storage at $7^{\circ}C$.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rmness of mesocarp from melons given different treatments at harvest. The firmness of mesocarp from melon treated with LPE was higher than none after 2 weeks storage. The electrolyte leakage means for melon treated with LP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means at initial storage after 2 weeks storage among the treatments. None increased 57% from its initial electrolyte leakage during stor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pplication of LPE may have potential to inhibit senescence of leaves and maintain fruit quality during the storage in melon.

셀룰로오스코팅이 자두의 저장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ellulose Coatings on Postharvest Storage Qualities of Plums(Prunus salicina L.))

  • 송태희;김철재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5-57
    • /
    • 1998
  • Immature and mature plums(Prunus salicina L.) were coated with calcium-added methylcellulose(CaMC) and hydroxypropylmethyl-cellulose-15(CaHPMC-15). Physicochemical, nutrition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during the 8-day storage period at $30^{\circ}C$. Irrespective of maturity, pH of plums increased and the titratable acidity decreased during storage. Free sugars such as glucose, fructose, sucrose and sorbitol were eventually decreased during storage, but Ca-added cellulose coatings influenced on the prevention of free sugars from decreasing especially in mature plums. Vitamin C contents in immature and mature plums became decreased during storage, but the coatings took effective on its retention. Changes of malic acid, the major organic acid in plums were appeared the same tendency as vitamin C during storag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the development of red color in peel and the softening of plum tissue, and also showed that the overall eating quality and appearance generally decreased during storage. However, the coated plums either CaMC or CaHPMC-15 exhibited the better sensory characteristics. As though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harvest storage quality were not found between the two coatings, CaMC and CaHPMC-15 coating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overall storage quality, especially the retention of vitamin C and organic acids only on the mature plums.

  • PDF

시판 강정류의 이화학적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Commercial Gang-jeong)

  • 류지혜;권용석;김경미;이진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37-647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commercial Gang-jeong.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nine different Gang-jeong as commercial products. To accomplish this research,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ine samples, including moisture, crude lipid, sugar contents, acid value, color values, and texture, were measured. In addition, consumer panels evaluated the overall acceptability, appearance, flavor, sweetness, and texture of samples using a 9-point Likert type scale as well as the perceived intensities of sweetness and rancid odor by a 9-point Just-About-Right (JAR) scale.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ll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p<0.001). Analyses of consumer acceptability and JAR ratings of the nine samp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