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Sugar Contents

검색결과 501건 처리시간 0.029초

시판 치즈 케익의 물리화학적,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Properties on the Market Cheese Cake)

  • 김영훈;장영재;최희선;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32
    • /
    • 2003
  • 시판 치즈 케익 제품간에 향, 맛, 색, 당도, 질감 등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가운데 당도가 높은 제품의 선호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실험 대상자들이 질감 면에서 견고한 치즈 케익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관능검사를 기초로 치즈 케익의 선호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맛이며, 다음으로는 질감과 향임이 밝혀져 일관성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향후 업소에서 디저트 품질개선을 위해 고려해야할 단서를 제공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디저트 품질개선과 관련한 향후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으로 한계를 설정하였다. 이후의 연구들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신제품 개발 연구와 제품 교체로 인한 업소성과 비교연구 등과 같이 보다 과학적이고 실무적 관점에서 시도될 필요가 있다.

  • PD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aebong Persimmon (Diospyros kaki cv. Hachiya) Peel Vinegars

  • Seong, Gi-Un;Hwang, In-Wook;Chung, Shin-Kyo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4호
    • /
    • pp.240-244
    • /
    • 2013
  • To evaluate utilization of persimmon peels as novel bio-materials, the gener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aebong persimmon vinegar (DPV), Daebong persimmon peel vinegar (DPPV) and commercial persimmon vinegar (CPV) were investigated. The pH of DPPV had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inegars. The titratable acidities of vinegars were 3.24% (DPV), 2.77% (DPPV) and 7.78% (CPV), respectively. The reducing sugar contents showed that DPV had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inegars. The browning degree of DPV was lower than CPV in contrast to the turbidity. The results of Hunter's color value have showed that overall values of CPV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DPPV and DPV.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DPV and CPV were 19.49 and 17.13 mg/100g GAE,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of DPPV (8.04 mg/100g CE) were two fold higher than that of DPV (3.85 mg/100g CE). The antioxidant activities, by DPPH and FRAP assays, of DPV showed stronger than those of other vinegars. Free sugars were mainly composed of fructose and glucose. Organic acids were presented in the order acet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 and oxalic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aebong persimmon peels could be utilized for vinegar production as a health-benefit materi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ed yakgwa according to the addition ratio of mealworm

  • Ji Eun Kim;Shin Youn Joo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45-255
    • /
    • 2024
  • The proximate composition,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scores of yakgwa added with mealworm powder (MP) were examined. MP contained 5.83 wt% moisture, 55.70 wt% crude protein, 35.96 wt% crude fat, 3.70 wt% crude ash, and 2.43 wt% carbohydrate and featur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406.52 mg GAE/100 g and 21.18 mg NE/100 g, respectively.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the reducing power of MP were determined as 90.25%, 44.06%, and 1.74, respectively. Except for moisture and carbohydrate content,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mealworm yakgwa (MY)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MP increased. The pH of the dough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MP, whereas the expansion degree tended to decrease. Sugar content was highest at MP contents of 0 wt% and 12 wt% (FM4 group), and hardness was lowest in the FM4 group. With the increasing MP content, the L, b values and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d, whereas a value decreased. The sensory evaluation scores for the overall preference, appearance, color, and taste were lowest in the FM4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P contents of 6-9 wt% were optimal for mealworm-based yakgwa.

발효온도가 진양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Jinyang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 김철암;정희종;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14-418
    • /
    • 2006
  • 서로 다른 발효온도로 14일간 발효한 후 진양주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0, 15, 20, $25^{\circ}C$에서 제조된 진양주의 최종 pH는 각각 3.70, 3.73, 3.40, 3.26이었고 최종 총산도는 각각 1.04, 1.01, 1.39, 1.72이었다. 총당의 함량은 발효온도를 10, 15, 20, $25^{\circ}C$로 하여 제조된 진양주는 각각 6.43, 6.22, 5.91, 5.53%로 나타내었고 에탄올 함량은 각각 14.20, 14.17, 14.83, 15.4%로 나타내었다. 색도는 발효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진양주 사이에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를 통한 종합적인 기호도는 $15^{\circ}C$에서 발효를 한 진양주가 5.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10^{\circ}C$에서 발효한 진양주가 5.10로, $20^{\circ}C$가 4.40으로, $25^{\circ}C$가 4.30으로 나타났다. 진양주를 제조할 때 발효온도를 $10^{\circ}C$$15^{\circ}C$ 사이로 하는 것이 진양주의 품질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더욱 적합한 발효온도로 진양주를 제조하여 맛과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시판 생막걸리의 이화학 성분과 관능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in Makgeolli)

  • 김재운;강지은;최한석;김찬우;정석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91-499
    • /
    • 2017
  • 본 연구에서 시판 생막걸리의 이화학 성분과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고, 특히 휘발성 성분과 향미 묘사용어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화학 성분은 우리술 품평회에서 입상한 생막걸리의 알코올, 환원당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색도가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휘발성 성분에서 입상한 생막걸리의 ethyl myristate의 함량이 2.4배 낮게 나타났다(p<0.05). 전체 15종 생막걸리의 묘사용어는 총 24개(외관2개, 향 10개, 맛 8개, 질감 4개)의 용어가 개발되었다. 입상주의 관능적 특성은 단내, 배향, 요구르트향, 알코올향, 알코올 향미, 탄산감이 주로 발현되었으며, 구수한 향/향미, 누룩향은 적게 나타났다. 생막걸리에 함유된 휘발성 성분과 묘사 용어 중 향에 관한 항목과의 상관분석 결과, ethyl lactate가 복분자향(r=0.840), 배향(r=0.723)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본 연구에서 도출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이화학 특성과 관능적 특성(단내, 복분자향, 배향, 요구르트향 등)이 생막걸리의 품질특성에 잘 반영된다면 막걸리의 소비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용 꽃차 추출물의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Anti-thrombosi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dible Flower Teas)

  • 이윤서;권하영;황은경;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89-996
    • /
    • 2022
  • 꽃은 특유의 모양, 색, 향, 맛으로 인한 시각적, 후각적 관능성이 우수하며, 최근에는 식용 꽃을 이용한 다류, 음료 제품이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3종의 국내 시판 꽃차를 대상으로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한 후, 이들의 명도, 황색도, 적색도 및 식용 타르색소 함유 여부를 조사하여, 개별 꽃차 특유의 색차를 비교 분석하고 타르색소를 포함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23종 꽃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평균 함량은 80.2±50.92 mg/g이었으며, 진달래, 매화, 메밀, 목련 및 살구꽃 추출물에서 150 mg/g 이상의 매우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당 함량 분석결과 케모마일(610.6), 국화(550.2), 동백(417.0) 및 원추리꽃(401.0) 추출물에서 400 mg/g 이상의 높은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23종 꽃차 추출물의 평균 함량은 187.4±166.5 mg/g으로 매우 큰 편차를 보였다. 항혈전 활성 평가결과, 장미꽃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달맞이, 동백, 히비스커스 및 메밀꽃 추출물에서는 강력한 트롬빈 저해 및 혈액응고인자 저해를 동시에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미, 금잔화, 메밀, 목련, 동백 및 진달래꽃에서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장미, 동백 및 메밀꽃은 새로운 항혈전 기능성 식품 소재로 개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한국산 왕대, 솜대, 맹종죽, 조릿대 및 오죽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Wang-dae, Som-dae, Maengjong-juk, Jolit-dae and O-juk)

  • 이민자;문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226-1232
    • /
    • 2003
  • 국내산 대나무 다섯 종의 줄기와 잎을 열수 및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이들의 항산화 효과를 TEAC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다섯 종의 대나무 모두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나 왕대>조릿대>솜대>맹종죽>오죽의 순으로 TE 값이 높게 나타났다. 줄기와 잎을 비교하였을 때 잎 보다 줄기의 항산화 효과가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에서의 항산화능이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왕대 70% 에탄올 추출물을 용매 극성별로 분획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디클로로메탄>에틸아세테이트>부탄올>물>핵산의 순으로 TE 값이 높았는데 특히, 디클로로메탄층의 TE 값은 1.713으로서 다른 식물성 추출물 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H를 이용하여 유리기 소거 효과를 측정한 결과와 nitrite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도 항산화 효과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서 줄기가 잎보다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왕대 용매별 분획물의 활성은 디클로로메탄층에서 가장 높았다. 대나무 열수 추출물의 높은 항산화 효과, 유리기소거 효과 및 nitrite 소거 효과는 메일라드 반응 생성물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져 환원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보다는 열수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왕대 열수 추출물의 환원당 함량이 가장 높았고 조릿대>맹종죽>오죽>솜대의 순이었으며 420nm에서의 갈색도도 이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당 함량이 높은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유리기 및 nitrite 소거 활성 검정에는 메일라드 반응에 의한 효과가 부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cetone 추출물 200ppm에서 98.19%의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9mg$의 함량으로 S3(279.29mg), S1(188.23mg), S2(180.52mg), S6(179,60mg)의 순으로서 S3(한국하), S1(한국상), S2(한국중)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한국 말차가 Ca 함량이 더 높았다. Mg의 경우는 시료 100g당 $346.63{\sim}590.03mg$로 S3(590.03mg), S4(530.00mg), S2는 346.63 mg으로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P의 함량은 S4 (398.47mg), S5(373.90mg), S6(371.55mg), S2(355.40mg), S1(346.66mg), S3(237.38mg)의 순으로서 $237.38{\sim}398.47mg$의 분포를 보여 S4(일본 상), S5(일본 중)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Na은 $141.78{\sim}231.54mg/100g$로서 S2(231.54mg), S1(292.95mg), S5(191.31mg)로 의 순으로 한국산 말차에 함량이 높았고, K은 $1,357.70{\sim}2,716.12mg/100g$으로 S4(2,716.12mg), S5(2,254.20mg), S6(2,221.45mg), S1(2,148.16mg), S2(1,842.36mg), S3(1,357.70mg)의 순으로 일본산이 훨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Fe함량은 $17.60{\sim}24.34\;mg/100g$으로서 S6 (24.34mg), S5(21.

상자병(橡子餠)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Texture특성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 of Sang-ja-byung by Different ingredient)

  • 이효지;김희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2-351
    • /
    • 2000
  • 도토리전분과 도토리가루의 첨가량, 당의 종류와 양, 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상자병(橡子餠)의 관능검사, 기계검사, 수분측정, 색도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능검사 결과 Color와 Flavor는 도토리전분 5%에 꿀 첨가 군이 가장 좋았다. Grain은 도토리가루 5%에 설탕 첨가 군이 가장 고왔으며, Moistness와 Chewiness는 15%에 설탕을 첨가한 군이 가장 좋았다. Sweetness는 도토리 전분 15%에 꿀 첨가 군이 가장 달았다. Overall quality는 도토리전분과 도토리가루 모두 10% 첨가하고 설탕, 꿀, 올리고당 첨가 순으로 바람직하다고 평가되었다. Flavor를 제외한 항목에서 모든 시료는 유의 차가 있었다(P<0.05). 2. 기계검사 결과 Springiness는 도토리전분 10%에 설탕을 첨가한 군, Cohesivness는 도토리전분 5%에 설탕을 첨가한 군, Chewiness와 Gumminess는 도토리전분 15%에 꿀을 첨가한 군이 가장 높았고, Adhesiveness는 도토리 전분 5%에 꿀을 첨가한 군이 가장 높았다. Hardness는 도토리전분 15%에 꿀을 첨가한 군이 가장 단단했고 도토리가루와 전분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단단했으며, 설탕 첨가 군이 꿀이나 올리고당 첨가 군 보다 부드러웠다. 모든 시료는 유의 차가 있었다(P<0.05). 3. 수분함량은 쌀가루 32.93%, 도토리전분 8.52%, 도토리가루 13.26%이며 도토리 전분을 첨가한 상자병(橡子餠)이 44.11%, 도토리가루 첨가한 상자병(橡子餠)이 44.3%였다. 4. 색도측정 결과 L값은 도토리전분 5%에 올리고당을 첨가한 군, a값은 도토리가루 15%에 설탕을 첨가한 군, b값은 도토리전분 15%에 올리고당을 첨가한 군이 가장컸다. 이상의 결과로 얻어진 상자병(橡子餠)의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쌀가루 315 g에 도토리가루와 도토리 전분 35 g (10%), 설탕 60 g(17.1%), 소금 3.5 g(0.1%), 물 130 ml (37.1%)이다.

  • PDF

메주분말을 두부분말로 대체한 개량식 고추장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dified Kochujang Made with Tofu powder Instead of Meju powder)

  • 김하윤;박미란;김동석;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293-304
    • /
    • 2012
  • 본 연구는 기존의 메주가루 첨가 고추장의 관능 기호도를 높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고추장 제조시에 사용되는 메주가루를 대신하여 두부분말(메주가루 양 대비 25%, 50%, 75%, 100%)을 이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고 제조당일부터 저장 45일까지의 품질특성 측정 및 저장 45일째 고추장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수분함량은 두부분말 무첨가구가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저장 30일가지도 지속되었고 두부분말 무첨가구와 첨가구 모두 전반적으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다. pH는 두부분말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도는 두부 분말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대체적으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산도가 높아졌다. 색도는 L, a, b값 모두 두부분말 무첨가구가 두부분말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환원당은 저장 45일째를 제외하고는 두부분말 첨가구과와 무첨가구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은 두부분말 무첨가구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두부분말 100% 첨가구(100% TP)는 저장 45일동안 지속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관능특성은 두부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고추장의 색이 연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퀘퀘한 냄새가 약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관능 기호도의 측면에서는 냄새, 맛, 전반적인 기호도의 측면에서 두부분말 무첨가구에 비해 두부분말 첨가구의 기호도가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두부분말 100% 첨가구(100% TP)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 PDF

국내 시판 생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Non-sterilized Commercial Makgeolli)

  • 강지은;최한석;최지호;여수환;정석태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63-372
    • /
    • 2014
  • This study was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20 types of non-sterilized commercial Makgeolli. These sampl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firm size, enterprise Makgeolli(4 samples), prize-winning Makgeolli(6) and local Makgeolli(10). The alcohol contents of Makgeolli was determinded as follows: enterprise Makgeolli(6.18%), local Makgeolli(7.11%), and award-winning( 7.87%). Enterprise Makgeolli(0.24%) showed higher total acidity than award-winning and local Makgeolli(0.21%). In addition, pH levels were as follows: local Makgeolli(3.75), award-winning Makgeolli(3.77), and enterprise Makgeolli(4.09). Enterprise Makgeolli had the lowest sugar content.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three grades were identified based on balance and taste(5 points). The upper grade(more than 3 points) showed a higher pH, reducing sugar, higher aminoacidity, more soluble solids, and larger color differences than other grad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cidity across the grades. The alcohol and volatile acid contents of the upper grade were lower than the middle(2.0-2.9 points) and lower(under 2.0 points) grades. Further research should provide a quality analysis of leavening agents and fermentation conditions, and a sensor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