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harmony prototyp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 디지털 전통색채이미지를 이용한 배색유형 개발 (A Development of Color Prototypes Based on Digital Color Image Analysis)

  • 이현수;김준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240-24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duce color harmony code based on color harmony prototype in terms of environmental color design. This paper proposes ways of categorizing more accurate color harmony prototype through digital image processing by the computer program called the Color Syntax. The method of analysis adopted in this paper is pixel based color image processing. The study suggests color harmony prototype which are categorized by a color harmony angles. These angles represented internal relations between colors. This study describes development processes of color harmony prototype which is a basis for creating color harmony codes. Development processes of color harmony schema consists of color analysis, color codes generation and color selection. Also, how to analyze color images and to chose suitable harmony color codes among various codes are main research issues. As a final result, 109 color harmony codes have been obtained. These code numbers are suggested through rotating 2 color pairs in a 360-degree arc in the same color harmony angles, the codes which is applicable to the color harmony schema previously developed. This color harmony codes will produce better color environment in a sense that it will help designers to maximally reduce their time consumption, and the results of their designs will also be related to the use of proper color for regional environments.

A Color Coordination Support System based on Color Image

  • Lee Ji-Hyun;Qian Wei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155-166
    • /
    • 2006
  • Color selection plays a vitally important role in creating impressions of individuals or companies. This is largely because colors have sensibility aspects, which relate, in part, to images and, in part, to associations. Based on theories of color harmony and sensibility ergonomics, we have developed quantitative and systematic metrics for color images. In this paper, we suggest a color coordinate system that supports color analysis and color harmony functions using color images, which can be captured by corresponding adjectival words. We focus on a prototype system for graphical logo design to exemplify our concepts. The system can be applied to a wide variety of design domains.

  • PDF

한 . 중 . 일 궁궐건축의 색채 특성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lor Design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of Korea, China and Japan)

  • 박영순;이현정;조은숙;진경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68-17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color design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among those in the neighboring three nations of East Asia, notably Korea, China and Japan. Undoubtedly the ultimate goal to be pursued, by so doing, has to be inquiry into the identical prototype of Korean color design element. The East Asian color palette is rich in symbolic meaning, mostly these color are in harmony with the nature and human life. In this study, the color of the traditional palace is characterized by the actual color use. The colors of China are various, but they concentration R~G, middle/high level of chroma. In Korea, the colors in palace are distributed in YR/GY, middle/low chroma, relatively higher value. While the major features of Japan color are YR/achromatic with middle/low levels of value and chroma.

운동기능성과 심미성을 고려한 아웃도어웨어의 디자인개발연구 (Design Process of Outdoor-Wear for Improvement of Comfort and Appearance)

  • 박우미;박춘덕;이귀례;나정은
    • 복식
    • /
    • 제52권8호
    • /
    • pp.29-39
    • /
    • 2002
  • It was increased leisure hours by automation and computerization of industry. Many people spend on hours in enjoying leisure sports, and then. nowadays, Many women tend to prefer casual wear to formal sui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sign of outdoor-wear that improve the functional and aesthetic effects for clothing comfort. Total 4 design prototype consisting of jumper and slacks were developed for this research. Outdoor-wear design forced on armhole type of jumper and ease of the back crotch length of slacks to improve the functional and aesthetic effects. And Outdoor-wear design focused on color harmony to aesthetic effects. Ease amount and materials of jumper and slacks were controlled. Design A: Jumper was designed as dropped shoulder with set-in steeve and band collar, A break-away zipper to facilitate ventilation control were made the area of back of jumper and the area of outside seam line of slacks Color of jumper and slacks were olive green color. Ease amount of the crotch length of slacks pattern was constructed as 7% of total crotch length: Design B 4DM cut pattern were applied to the jumper and slacks pattern. A break-away zipper to facilitate ventilation control were made the area of back of jumper and the area of inside seam line of thigh. Color of jumper and slacks were grey and orange color. Ease amount of the crotch length of slacks pattern was constructed as 5% of total crotch length. Design C : Jumper was designed as the set in sleeve and hood. and A break- away zipper to facilitate ventilation control were made the ares of the armhole and elbow. Color of jumper and slacks were ivory and orange color. Ease amount of the crotch length of slacks pattern was constructed as 5% of total crotch length. Design D : Jumper was designed as raglan sleeve. Color of jumper and slacks were olive green color. Ease amount of the crotch length of slacks pattern was constructed as 5% of total crotch length. Total six females, ages 20-45, served as subjects for this research. Subjects have standard body type, generally, wearing 66 size of ready-to-wear clothing. The performance of the newly designed outdoor-wear was evaluated for their effectiveness in several aspects such as conditions of skin temperature, sensory evaluation of comfort during body movements, appearance and color harmony and aesthetic collar design. Design 3 was appeared to be the most positive in aesthetic evaluation and functional effects of design 2 of 4DM cut pattern was appeared to be beter than other designs.

초등학생 학교체육복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sign Prototype for Physical Education(PE) Uniforms of Elementary School)

  • 문명옥;김은정;이진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77-684
    • /
    • 2016
  • This study was done for the proposal for improvement for junior sportswear which is substitutable as uniforms in the form of elementary school and physical education uniforms by analyzing detailed features through investigation. Accordingly, we developed a prototype design for physical education uniforms as a symbol of the school to enhance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en we developed physical education uniforms, we put activity on our first priority while taking the improvement in both aesthetic and functional aspects into consideration. In addition, we tried to make sure the uniforms reflect the refined and trendy elements to meet students needs to satisfy their aesthetic sense in dress. Reflecting the improvement proposals and preferences of the students, six different prototype designs were developed and evaluated on the basis of two concepts of "new basic" and "trendy". The highest ranking, the physical education uniforms design 1 is based on new basic concept and characterized with slim fit considering activity which will be worn as fall/winter physical education uniforms. Design 1 uses ottoman functional knit as a fabric material which is not only students favorite but also good in both flexibility and warmth. Top with style of high-neckline collar and full open zip-up is simplified with the incision lines and detail. It is a set-in sleeve design in which blue and yellow collars signifying school color are properly placed along with the incision lines in harmony.

입지와 장소 특성으로 본 암각바둑판의 의미와 문화재적 가치 (A Study on the Meaning and Cultural Properties Value of Rock-Go-Board from the Viewpoint of Site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 박주성;노재현;심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4호
    • /
    • pp.172-205
    • /
    • 2011
  • 본 연구는 종합적인 현황 조사 분석을 통해 국내 돌바둑판의 위치 및 형태 그리고 입지 유형을 파악하는 한편 주변 경물과 각자 그리고 인근의 전래지명과의 관련성 분석과 해석을 통해 암각바둑판의 본질적 특성 및 장소적 의미 그리고 문화재로서의 가치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바둑판에 나타난 '네모난 바둑판과 둥근 바둑돌'의 천원지방적(天圓地方的) 형상, 흑백 바둑돌로 표상되는 음양조화 그리고 하늘 회전을 표현한 361로 등은 '우주적 질서가 투사(投射)된 상징체'이다. 또한 영원성을 바탕으로 바둑 삼매경에 빠진 '귤중지락(橘中之樂)'과 '상산사호(商山四皓)' 그리고 '난가(爛柯)' 모티프는 속세를 벗어난 망우청락(忘憂淸樂)의 '위기선미(圍棋仙味)'를 통해 '인생과 자연'의 관계를 시공간적으로 일치하고자 했던 천인합일의 표상이자 우미와 소요를 추구한 고아한 풍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돌바둑판은 총본 연구는 종합적인 현황 조사 분석을 통해 국내 돌바둑판의 위치 및 형태 그리고 입지 유형을 파악하는 한편 주변 경물과 각자 그리고 인근의 전래지명과의 관련성 분석과 해석을 통해 암각바둑판의 본질적 특성 및 장소적 의미 그리고 문화재로서의 가치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바둑판에 나타난 '네모난 바둑판과 둥근 바둑돌'의 천원지방적(天圓地方的) 형상, 흑백 바둑돌로 표상되는 음양조화 그리고 하늘 회전을 표현한 361로 등은 '우주적 질서가 투사(投射)된 상징체'이다. 또한 영원성을 바탕으로 바둑 삼매경에 빠진 '귤중지락(橘中之樂)'과 '상산사호(商山四皓)' 그리고 '난가(爛柯)' 모티프는 속세를 벗어난 망우청락(忘憂淸樂)의 '위기선미(圍棋仙味)'를 통해 '인생과 자연'의 관계를 시공간적으로 일치하고자 했던 천인합일의 표상이자 우미와 소요를 추구한 고아한 풍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돌바둑판은 총 18개로 이중 강진 월남사지 돌바둑판, 양산 소한정 돌바둑판, 반룡대 돌바둑판 등 3개소(16.1%)는 이동이 가능한 석국으로 분류된 반면 방학동 돌바둑판을 비롯한 15개소(83.9%)는 자연 암반에 새긴, 원래 장소를 이탈하지 않은 암각바둑판으로 밝혀졌다. 돌바둑판의 입지조건을 유형화한 결과, 계류형 15개소(83.9%), 암봉형 3개소(16.1%)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것은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1,389m)이었다. 총 15개 돌바둑판은 모두 500m 이하의 저산지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바둑판이 새겨진 입지는 속세와 멀지 않은 생활권의 일부였으며 모두 경관성이 탁월한 계곡 및 산봉에 입지하였다. 돌바둑판은 옛 선비들의 풍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찰되는바 특히 암각바둑판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조화를 추구하며 명산대천(名山大川)을 찾아 함께 노니는 풍류도의 정신을 전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즉 궁극적으로 바둑의 전통적인 상징성인 '은일의 매개체이자 자연귀의의 도에 다다를 수 있는 선비문화의 정수'인 동시에 유선적 취향의 도구로서 자리매김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징적으로 암각바둑판이 새겨진 단양 소백산 신선봉을 비롯하여 괴산 선국암, 무주 사선암, 장수 신선바위 등은 신선과 관련된 지명의 일체감이 매우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신선' 바위와 암각바둑판이야말로 선계에 대한 숭배와 동경의 소통방식이 가장 함축적으로 표현된 경관대상이자 조망처로 판단된다. 한편 암각바둑판이 입지하는 장소의 입지유형 등 물리적 환경과 팔경 및 동천구곡의 설정 여부, 유학자 등의 관련 여부를 중심으로 한 '인간활동' 그리고 '상산사호' 모티프 및 '난가고사' 상징의미 등 3가지를 '장소정체성 판단을 위한 해석 틀'을 기준으로 하여 고찰한 결과, 암각바둑판 주변에 각자 되어있는 동천, 동문 등의 모티프는 주자학적 '구곡팔경'의 개념 보다는 선취적 '선유동천' 개념의 공간성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계류형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공간은 유가의 은둔지향적 공간이나 선도적 은일지향적 공간으로 시대추이에 따라 습합되어 온 것으로 판단되며 산봉형의 암각바둑판은 별도로 신선 강림의 숭엄지향성이 장소정체성 지배의 중요 요인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곳을 포함하여 그 주변은 동천구곡이나 팔경의 일부로 널리 알려진 승경의 요처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선비 및 사대부 계층이 주체인 주변 각자들 중에도 신선 관련 표현어가 다수 발견됨에 따라 바둑판 조영의식의 이면에는 신선경 동경을 바탕으로 한 선도적 취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총합할 때 암각바둑판은 조선조 선비들의 은일과 운둔을 통한 자연경영의 문화 현상이 집약적으로 함축된 유산이자 전래 승경의 요처로, 명승과 같은 자연문화재로서의 가치가 탁월한 대상임이 확인되었다. 현재 남한내 17개의 돌바둑판 중에서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을 비롯하여 방학동 암각바둑판, 충주 사로암 암각바둑판, 무주 사선암 암각바둑판, 양산 어곡동 반룡대 석국 등은 세월의 풍파와 사람들의 접촉으로 마모되면서 바위가 깨어지거나 바둑판 줄이 희미해지고 있다. 또한 언양 반구대 집청정 암각바둑판은 토사 매몰로 그 형체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암각바둑판은 자연과 바람의 흐름을 그대로 투영한 예술적, 문화재적 가치가 탁월한 조형물이자 선인들의 자연 사랑의 마음과 선계동경의 문화가 만나 이루어진 문화유적으로, 이에 대한 국내 분포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정밀조사와 보존관리가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18개로 이중 강진 월남사지 돌바둑판, 양산 소한정 돌바둑판, 반룡대 돌바둑판 등 3개소(16.1%)는 이동이 가능한 석국으로 분류된 반면 방학동 돌바둑판을 비롯한 15개소(83.9%)는 자연 암반에 새긴, 원래 장소를 이탈하지 않은 암각바둑판으로 밝혀졌다. 돌바둑판의 입지조건을 유형화한 결과, 계류형 15개소(83.9%), 암봉형 3개소(16.1%)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것은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1,389m)이었다. 총 15개 돌바둑판은 모두 500m 이하의 저산지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바둑판이 새겨진 입지는 속세와 멀지 않은 생활권의 일부였으며 모두 경관성이 탁월한 계곡 및 산봉에 입지하였다. 돌바둑판은 옛 선비들의 풍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찰되는바 특히 암각바둑판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조화를 추구하며 명산대천(名山大川)을 찾아 함께 노니는 풍류도의 정신을 전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즉 궁극적으로 바둑의 전통적인 상징성인 '은일의 매개체이자 자연귀의의 도에 다다를 수 있는 선비문화의 정수'인 동시에 유선적 취향의 도구로서 자리매김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징적으로 암각바둑판이 새겨진 단양 소백산 신선봉을 비롯하여 괴산 선국암, 무주 사선암, 장수 신선바위 등은 신선과 관련된 지명의 일체감이 매우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신선' 바위와 암각바둑판이야말로 선계에 대한 숭배와 동경의 소통방식이 가장 함축적으로 표현된 경관대상이자 조망처로 판단된다. 한편 암각바둑판이 입지하는 장소의 입지유형 등 물리적 환경과 팔경 및 동천구곡의 설정 여부, 유학자 등의 관련 여부를 중심으로 한 '인간활동' 그리고 '상산사호' 모티프 및 '난가고사' 상징의미 등 3가지를 '장소정체성 판단을 위한 해석 틀'을 기준으로 하여 고찰한 결과, 암각바둑판 주변에 각자 되어있는 동천, 동문 등의 모티프는 주자학적 '구곡팔경'의 개념 보다는 선취적 '선유동천' 개념의 공간성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계류형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공간은 유가의 은둔지향적 공간이나 선도적 은일지향적 공간으로 시대추이에 따라 습합되어 온 것으로 판단되며 산봉형의 암각바둑판은 별도로 신선 강림의 숭엄지향성이 장소정체성 지배의 중요 요인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곳을 포함하여 그 주변은 동천구곡이나 팔경의 일부로 널리 알려진 승경의 요처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선비 및 사대부 계층이 주체인 주변 각자들 중에도 신선 관련 표현어가 다수 발견됨에 따라 바둑판 조영의식의 이면에는 신선경 동경을 바탕으로 한 선도적 취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총합할 때 암각바둑판은 조선조 선비들의 은일과 운둔을 통한 자연경영의 문화 현상이 집약적으로 함축된 유산이자 전래 승경의 요처로, 명승과 같은 자연문화재로서의 가치가 탁월한 대상임이 확인되었다. 현재 남한내 17개의 돌바둑판 중에서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을 비롯하여 방학동 암각바둑판, 충주 사로암 암각바둑판, 무주 사선암 암각바둑판, 양산 어곡동 반룡대 석국 등은 세월의 풍파와 사람들의 접촉으로 마모되면서 바위가 깨어지거나 바둑판 줄이 희미해지고 있다. 또한 언양 반구대 집청정 암각바둑판은 토사 매몰로 그 형체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암각바둑판은 자연과 바람의 흐름을 그대로 투영한 예술적, 문화재적 가치가 탁월한 조형물이자 선인들의 자연 사랑의 마음과 선계동경의 문화가 만나 이루어진 문화유적으로, 이에 대한 국내 분포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정밀조사와 보존관리가 시급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