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Uniformity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2초

사료의 조단백질 및 아미노산 함량이 토종오리의 성장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rude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Korean Native Ducks)

  • 권형주;추연경;오성택;김학규;강창원;안병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51-359
    • /
    • 2013
  • 본 실험은 조단백질과 아미노산(Lysine/TSAA) 수준이 토종오리의 생산성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육성 전기는 토종오리 450수를 6개 처리에 공시하여 사용하였으며, 육성 후기는 육성 전기를 거친 토종오리 중 360수를 6개 처리에 공시하여 사용하였다. 육성 전기의 실험 사료는 조단백질 23 및 20% 아미노산(Lysine/TSAA)은 각각 1.31/1.09, 1.21/1.00 및 1.11/0.91와 1.11/0.91, 1.02/0.83 및 0.92/0.75였으며, 육성 후기에는 조단백질 19 및 17%, 아미노산(Lysine/TSAA)은 각각 1.00/0.79, 0.94/0.75 및 0.88/0.71와 0.88/0.71, 0.82/0.67 및 0.76/0.63로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육성 전기 실험 결과는 조단백질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생체중과 일당 증체량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지만(P<0.05), 아미노산(Lysine/TSAA)과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에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균일도는 조단백질, 아미노산(Lysine/TSAA) 및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 모두에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육성 후기 실험 결과는 성장성적, 도체율 및 상대적 중량 모두에서 조단백질, 아미노산(Lysine/TSAA) 및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토종오리 고기의 화학 및 물리적 특성인 육색, pH, 전단력가 및 가열 감량에서도 조단백질, 아미노산(Lysine/TSAA) 및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토종오리는 육용종 오리와 달리 육성 후기의 경우 낮은 성장률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조단백질과 아미노산 수준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 Mega 화소 진단용 전자표시장치 인수검사 및 국내 실정에 적합한 정도관리 가이드라인 연구 (The Acceptance Testing of 5 Mega Pixels Primary Electronic Display Devices and the Study of Quality Control Guideline Suitable for Domestic Circumstance)

  • 정해조;김희중;김성규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2호
    • /
    • pp.98-106
    • /
    • 2007
  • 2005년 6월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에서는 진단목적으로 20대의 5 mesa 화소 Totoku ME511L 평판 LCD 표시장치를 추가하여 PACS를 확장하였다. 20대의 Totoku ME511L 표시장치를 대상으로 반사, 휘도 반응, 휘도 공간 의존, 분해능, 잡음, 베일링 그레어, 그리고 색도 항목에 대하여 AAPM TG 18보고서에 기준하여 정량적인(또는 시각적인) 인수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장치는 색도를 측정할 수 있는 만원경식 휘도계, 조도계, 반사 측정에 필요한 빛 선원, 빛 차단 장치, 그리고 TG18 테스트 패턴들이었다. 선택된 8대의 표시장치에 대한 평균 확산 반사계수($R_d$)는 $0.019{\pm}0.02sr^{-1}$이었다. 휘도 반응 검사에서, 휘도비(LR), 최대 휘도 변이($L_{max}$), 그리고 최대 대조도 반응 변이는 각각 $550{\pm}100,\;2.0{\pm}1.9%$, 그리고 $5.8{\pm}1.8%$이었다. 휘도 균일도 검사에서, 최대 휘도 변이는 TG18-UNL10 테스트 패턴의 10% 휘도에 대하여 $14.3{\pm}5.5%$이었다. 분해능 측정은 휘도 측정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중심에서 퍼센트 휘도(${\Dalta}L$)는 $0.94{\pm}0.64%$이었다. 시각적인 방법의 잡음측정의 모든 경우에서, 중앙 및 주위 4사분면에서 가장 작은 것을 제외하고 15개의 모든 정사각형의 표적을 인식할 수 있었다. 글레어 비(GR)은 $12,346{\pm}1,995$이었다. 최대 색도 균일도 지표(D)는 $0.0025{\pm}0.0008$이었다. 또한 국내 실정에 적합한 진단용 표시장치의 정도관리 가이드라인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모든 인수검사 결과는 AAPM TG18 보고서 기준에 포함되어 진단 목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였다. 결론으로 인수검사는 표시장치가 진단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성능임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정도관리의 가이드라인, 최적 판독 환경, 그리고 표시장치의 교체시기를 결정하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 PDF

사료의 에너지 및 조단백질 함량이 토종오리의 성장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etabolizable Energy and Crude Protein Concentration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Ducks)

  • 김홍래;권형주;오성택;윤정근;최영인;추연경;강보석;김학규;홍의철;강창원;안병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67-175
    • /
    • 2012
  • 본 실험은 대사 에너지와 조단백질 수준이 토종오리의 생산성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육성 전기는 토종오리 828수를 9개 처리에 공시하여 사용하였고, 육성 후기는 육성 전기를 거친 토종오리 중 720수를 9개 처리에 공시하여 사용하였다. 육성 전기의 실험 사료는 ME 3,000, 2,900 및 2,800 kcal/kg, CP 23, 22 및 21%이었으며, 육성 후기에는 ME 3,100, 3,000 및 2,900 kcal/kg, CP 19, 18 및 17%로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육성 전기 실험 결과는 CP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체중, 증체량 및 사료 요구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지만(Linear effect, P<0.01), ME 수준과 $ME{\times}CP$ interaction에 의한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균일도는 ME, CP 수준과 $ME{\times}CP$ interaction 모두에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육성 후기 실험 결과는 체중, 섭취량, 증체량, 사료 요구율 및 균일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도체율에서는 ME 3,000 kcal/kg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Quadratic effect, P<0.01), ME와 CP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간의 상대적 중량이 유의적으로 각각 작아지는 결과(Linear effect, P<0.01)가 나타났다. 가슴육, 넓적다리 및 북채의 상대적 중량에서는 수준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토종오리 고기의 화학 및 물리적 특성인 육색, pH, 가열 감량 및 전단력가에서는 ME 및 CP 수준과 $ME{\times}CP$ interaction 모두에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해동조건에 따른 냉동마늘의 품질 특성 (Effects of Various Thawing Condition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Garlic)

  • 박종우;김진세;박석호;최동수;최승렬;김용훈;이수장;김하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93-901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awing conditions on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quality of peeled garlic. Peeled frozen garlic was analyzed after thawing at low temperature ($4^{\circ}C$), room temperature ($20^{\circ}C$), tap water ($20^{\circ}C$), radio frequency of 27.12 MHz, and 2.45 GHz in a microwave. As a result, the time required to thaw garlic to $0^{\circ}C$ by various thawing methods was shortest at2.45 GHz in a microwave, followed by $20^{\circ}C$ tap water, radio frequency of 27.12 MHz, $20^{\circ}C$, and $4^{\circ}C$. Microwave thawing was faster than other methods, but it resulted in significant non-uniformity of heating. The hardness of peeled garlic significantly decreased upon freeze-thawing, whereas it showed improved hardness upon radio-frequency thawing. Total color difference in garlic increased upon freeze-thawing, and it was not improved by various thawing methods.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termined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SOD-like activity, and reducing power.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in garlic extract were measured as $3.222{\pm}0.214{\mu}g$ GAE/g and $0.149{\pm}0.03{\mu}g$ QE/g, respectively.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2.45 GHz microwave thawing ($1.90{\pm}0.02{\mu}g$ GAE/g); however, flavonoid contents were slightly reduced under freezing and thawing condition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garlic extracts was not affected by thawing methods; however, SOD-like activity and reducing power were slightly reduced by freeze-thaw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hysiological activities were not improved by radio-frequency thawing; however, thawing time and maintain hardness were reduced compared with conventional thawing methods.

선명한 적색 대륜계 호접란 '화수 5205' 육성 (Breeding of Doritaenopsis 'Hwasu 5205' with Vivid Red and Large Flowers)

  • 임기병;김홍열;박노은;손병구;윤숙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6호
    • /
    • pp.941-946
    • /
    • 2015
  • 호접란 신품종 '화수 5205'는 2002년 경북대에서 Phal. Happy Valentin과 Dtps. Happy Rose를 모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한 $F_1$개체 중에서 육성하였다. 꽃은 선명하고 진한 적색의 대륜계이다. 2003-2004년 2년에 걸쳐 실생 300개체를 양성하여 이들 중에서 영양생장과 개화특성이 우수한 개체 02-05-205를 선발하였다. 2004년과 2005년에 1차, 2차 특성검정을 통하여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하고 '화수 5205'로 명명하였다. '화수 5205'는 화색이 선명하고 진한 적색(PN78B)이며, 화형은 안아피기로 안정되어 있다. 꽃의 길이와 폭은 각각 9.2, 12.0cm로 대형이다. 잎의 길이와 폭은 각각 24.3, 8.5cm이며 엽형은 수평이다. 기내증식율이 높고 변이가 거의 없으며 영양생장 우수하여 재배관리가 용이하다. 2009년 12월 1일 품종등록(등록번호 제2915호)하여 종자산업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변형 제누아즈법으로 만든 쌀가루 첨가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ed Rice Flour Produced by Modified Genoise Method)

  • 박희옥;장재선;손춘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07-614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ed rice flour produced by a modified genoise method to prevent volume reduction. A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I were prepared by the genoise method and experimental groups II, III, and IV were produced by a modified genoise method in which they were mixed with wheat flour and water to a make paste to form gluten for 3, 6, and 9 minutes, respectively. One third of the wheat flour in all experimental groups was replaced by rice flour.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compared in terms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batter specific gravity, volume, color,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ies, to determine the optimal pasting time for wheat flour in the formulatio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xperimental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wheat flour pasting time. The volume of experimental group I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volume values of experimental groups III and IV, made by the modified genoise method,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dL^*$ and $db^*$values for the crust and inside of the cake were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The $dL^*$ value, indicating brightness, increased as pasting time increased. The hardness values of experimental groups I and IV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whereas experimental groups II and III had lower hardness values. Chewiness was higher in the control group, as well as experimental groups I and IV than in the experimental groups II and III. The gumminess of experimental group IV was highest. Cohesiveness decreased by adding rice flour to the sponge cake. Sensory attributes of cell uniformity, tenderness, moistness,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had the highest scores in experimental group III.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quality of sponge cake containing one third of the wheat flour replaced by rice flour is best with 6 minutes pasting of the wheat flour to form gluten.

조생 감귤의 품질 특성 분포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Early Harvesting Mandarin Oranges)

  • 홍석인;이주원;김선희;정문철;박형우;김동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4-59
    • /
    • 2003
  • 제주도를 5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생 감귤을 3년간 구입한 후 감귤의 품질인자로서 색도, 크기(종, 횡), 중량, 균일도, 당도, pH 및 적정산도를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를 이용하여 각 품질인자의 연도별, 지역별 분포를 분석하였다. 감귤의 3년 평균 녹색도(100-황색도)는 2.58%로 대부분이 황색을 띠었으나 편차가 9.04%로 년도별 차이가 심하였다. 종과 횡의 크기는 3년 평균값이 각각 47.64mm 와 56.05mm 이었으며, 중량은 3년 평균값이 82.249으로 년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다 당도는 3년 평균치가 10.53$^{\circ}$Brix였고, 최고치는 17.2$^{\circ}$Brix, 최저치는 5.60$^{\circ}$Brix이었다. pH 및 적정산도의 3년 평균치는 각각 3.90 및 0.71%이었다. 지역별 품질특성을 보면 녹색도는 1.14-3.53%이었고. 종과 횡의 크기는 지역A가 각각 49.35mm 와 57.48mm로 가장 컸고, 지역I가 46.35mm 와 54.87mm로 가장 작았다. 중량 또한 크기에 비례하여 지역A가 87.619으로 가장 많이 나가고 지역I가 76.779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간의 당도는 10.27-10.75$^{\circ}$Brix 범위로 산지별 차이는 매우 미미하였다. pH는 3.78-3.96범위였고, 적정산도는 0.64-0.75%로 지역간에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광도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뉴기니아 봉선화 생육 특성 및 화색 변화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Characteristic and Flower Color Change of New Guinea Impatiens 'Fishlimp 149')

  • 이호선;김수정;신우근;유병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6-411
    • /
    • 2006
  • 뉴기니아 봉선화(Impatiens hawkeri)는 광조건에 따라 생리적 반응이 매우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신품종 보호 재배심사(DUS test)시 나타나는 여러 증상들이 유전적인 요인에 의한 것인지 혹은 생리적 증상인지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뉴기니아 봉선화 'Fishlimp 149'를 비가림 하우스에 정식하고 광도조건에 따른 생육 및 화색발현을 구명하기 위하여 몇 가지 광도조건의 처리를 하였다. 실험결과 대조구 ($1,010{\mu}mol{\cdot}m^{-2}{\cdot}s^{-1}$)에 비해 차광 1($599{\mu}mol{\cdot}m^{-2}{\cdot}s^{-1}$) 및 차광 2($88{\mu}mol{\cdot}m^{-2}{\cdot}s^{-1}$) 처리구에서 초장, 초폭, 잎 크기 및 소화경 등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가장 광도가 낮은 차광 3($30{\mu}mol{\cdot}m^{-2}{\cdot}s^{-1}$)에서는 오히려 이들이 대조구에 비해 감소되었다. 개화특성 조사에서는 차광 1처리가 화경, 상부 꽃잎폭, 측면 꽃잎폭, 하부 꽃잎길이 등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의 경우 줄기, 잎 및 소화경에서는 차광에 의해 감소되었으나 소화경의 경우 차광 1처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차광 1처리가 뉴기니아 봉선화의 생장특성을 조사하는데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며, 생육과정 중 나타나는 안토시아닌 축적은 유전적인 요인이 아닌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생리적인 현상인 것으로 생각된다.

하수오 분말을 첨가한 증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Different Ratios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 Powder)

  • 이계순;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46
    • /
    • 2011
  • 검정콩 탁주를 발효원으로 한 증편에 기능성 재료로 경북 특산물인 하수오를 0, 2, 4, 6, 8%로 첨가하여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하수오 분말을 첨가할수록 pH는 높게 나타났으며 증편의 팽화율은 대조군에 비해 하수오 2%, 4%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하수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편의 항산화성이 증가하였으며 색도에서 $L^*$값은 감소하였으며 $a^*$, $b^*$값은 증가하였다. 경도는 하수오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응집성은 감소하였다. 전체적인 관능검사에서는 하수오 첨가량 4%증편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기계적 검사와 관능검사의 상관관계 결과 색도에서 L값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경도와 부서짐성이 전체적인 관능항목과 유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수오 증편의 내부구조를 살펴 본 결과 6%이상 첨가 시 기공이 커지고 불규칙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로 약리적인 기능과 항산화성을 가진 하수오를 증편에 첨가함으로써 증편의 기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수오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군에 비해 조직감이나 증편 모양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지만 하수오 4% 첨가 증편은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함과 동시에 관능평가에서도 가장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물질 보류 : 안료 코팅 처리를 위한 새로운 시도 (Material Retention: A Novel Approach to Performance of Pigment Coating Colors)

  • McKenzie, Ken;Rutanen, Anne;Lehtovuori, Jukka;Ahtikari, Jaana;Piilola, Teuvo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8년도 제33회 펄프종이기술 국제세미나
    • /
    • pp.47-70
    • /
    • 2008
  • Cost efficiency is today the primary requirement in the paper and board industry. This has led therefore, to a greater preponderance of products with specifically designed functionality to take account of current industry needs. Continually increasing machine coating speeds together with these new coating colour components have put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correct rheology and water retention of the coating colours to achieve good runnability and end product quality. In the coating process, some penetration of the aqueous phase, to the base paper or board must occur to anchor the pre-coating to the base or the topcoat to the pre-coat. The aqueous phase acts as a vehicle not only for the binder, but also for the other components. If this water or material penetration is not controlled, there will be excessive material shift from the coating colour to the base, before immobilization of the coating colour will stop this migration. This can result in poor machine runnability, unstable system and uneven coating layer, impacting print quality. The performance of rheology modifiers or thickeners on the coating color have tended to be evaluated by the term, "water retention". This simple term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ir performance changes during coating. In this paper we are introducing a new concept of "material retention", which takes note of the total composition of the coating colour material and therefore goes beyond the concept of only water retention. Controlled material retention leads to a more uniform z-directional distribution of coating colour components. The changes that can be made to z-directional uniformity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print quality as measured by surface strength, ink setting properties, print gloss, mottling tendency. Optical properties, such as light scattering, whiteness and light fastness delivery should also be improved. Additionally, controlled material retention minimizes changes to the coating colour with time in re-circulation giving less fluctuation in quality in the machine direction since it more closely resembles fresh coating for longer periods. Use of the material retention concept enables paper and board producers to have more stable runnability (i.e. lower process costs), improved end product quality (i.e. better performance of used chemicals) and/or optimized use of coating colour components (i.e. lower total formulation co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