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teral ligament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8초

디지털 텔로메터를 이용한 무릎 외측측부인대의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Knee Lateral Collateral Ligament Stability by Using the Digital Telometer)

  • 성열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5호
    • /
    • pp.319-32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텔로메터를 이용하여 20 대 정상 남자와 여자 무릎 외측측부인대의 안정성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지원대상자는 본 연구 목적에 동의하고 과거 무릎 관련 질병이 없는 정상 성인 31 명(남자 16 명, $21.1{\pm}1.5$ 세, 여자 15 명, $21.2{\pm}1.2$ 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방법은 디지털 텔로메터를 이용하여 내측대퇴경골관절강에 내반력의 힘을 가한 후 압통정도를 조사하였고 디지털 방사선영상에서 외측 무릎관절공간(JSW)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무릎에 부하의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남자그룹의 JSW는 $5.60{\pm}0.76$ mm, 여자그룹의 JSW는 $5.05{\pm}0.55$ mm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2). 그러나 무릎에 부하의 힘을 가한 결과, 여자그룹이 남자그룹보다는 다소 더 넓었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p>0.05). 무릎에 부하의 힘을 가할 때 남녀 모두 약 17~19 daN에서 압통을 느꼈다. 이 결과는 향후 디지털 텔로메터를 이용한 무릎 관절 외측측부인대의 안정성 검사 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관절과 전완부의 초음파 이상 소견 (Abnormal Findings of the Ultrasonography for Elbow and Forearm)

  • 김은국
    • Clinical Pain
    • /
    • 제20권1호
    • /
    • pp.1-6
    • /
    • 2021
  • Ultrasonography (US) of the elbow is an increasingly utilized modality for a variety of diagnoses. In this brief review, US findings for the pathologic conditions of forearm and elbow are described. The most common pathologies discussed here include distal biceps tendon and triceps tendon lesions, medial and lateral epicondylopathies, ulnar collateral ligament tears, ulnar nerve subluxation, joint effusions, and intra-articular bodies.

Effects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on Ankle Function, Range of Motion, and Dynamic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 Lee, Su Bin;Kwon, Jung Won;Yun, Seong Ho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4권3호
    • /
    • pp.91-9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hort-term effectiveness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ESWT) on pain, the ankle instability, the ankle function,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ROM), and dynamic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Methods: Eightee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n=9) and control group (n=9). The ESW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to the lateral collateral ligament in combination with the tibialis anterior whereas the ESWT was applied to the lateral collateral ligament of the ankle alone in the control group. Pain, the ankle instability, the ankle function, dorsiflexion ROM, and dynamic balance were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nkle-hindfoot score, weight-bearing lunge, and Y-balance test, before and after ESWT intervention. Results: Significant interactions (group × time) and time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dorsiflexion ROM and dynamic balance. Bonferroni's post-hoc analysi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ed a more significant change in dorsiflexion ROM and dynamic balance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time effect in the pain, the ankle instability, and the ankle function, but no significant interaction (group × time) was observed. Conclusion: The ESWT could improve the pain, ankle instability, ankle function, dorsiflexion ROM, and dynamic balance in patients with CAI. Furthermore, the ESWT combined with lateral ankle ligaments and tibialis anterior more improves the dorsiflexion ROM and dynamic balance.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의 관절경적 봉합술 (Arthroscopic Repair for the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s)

  • 최종혁;윤한국;김형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7-142
    • /
    • 2005
  • 목적: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최소한의 절개에 의한 봉합술 후 조기 운동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슬관절의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로 내원하여 인대 봉합술로 치료받은 환자 중 최소 6개월 이상 추시 관찰되었던 38명(39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평가는 이학적 검사, KT-10000을 이용한 전방 전위 검사 및 Lysholm평가를 이용하여 수술결과를 파열양상, 활막의 상태, 내측 측부 인대 손상 여부등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후 운동장해는 근위부 및 원위부의 복합파열과 내측 측부 인대 동반손상시 빈도가 의미있게 높았으며 근위부 단독파열과 활막의 파열이 없는 경우 의미있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전방 불안정성은 근위부 파열만 있는 경우 의미있게 적었으며 복합파열과 활막의 손상이 심할수록 전방 전위가 의미있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급성 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로 관절경적 봉합술은 근위부 단독파열이면서 활막손상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 결과가 좋은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앞십자인대 및 내측 곁인대 절제와 내측 반월판 절제술을 한 뒤 수술후 운동을 실시하지 않은 개의 무릎 관절의 평가 (Evaluation of the Canine Stifle Joint after Transection of the Cranial Cruciate Ligament and Medial Collateral Ligament, and Medial Meniscectomy without Postoperative Exercise)

  • 이해범;정창우;김남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5-330
    • /
    • 2007
  • 본 연구는 개에서 수술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관절의 불안정성을 최대로 유도하여 수술후 운동 없이 관절의 퇴행성 변화의 유무 및 정도와 골관절염 모델로 적합한지를 평가 하였다. 10두의 비글견을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오른쪽 무릎관절의 앞십자인대 및 내측 곁인대의 절제와 내측 반월 연골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왼쪽 무릎관절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수술 12주 후 연골의 손상, 윤활막의 염증 정도와 윤활액의 생화학적 변화를 평가 하였다. 조직 검사에서 연골의 비후, 연골 세포의 분화, 프로테오글리칸의 소실 및 윤활막의 염증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다. 윤활액의 생화학적 검사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된 MMP-2, -9의 농도를 실험군에서 관찰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 수행한 관절염 모델은 골관절염 유도가 가능하며, 술후 운동으로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 일수 있는 장점 있어 골관절염 모델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 시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의 효과 (Effect of Release of the Superficial Medial Collateral Ligament in Repair of the Posterior Medial Meniscus Root Tear)

  • 양병세;이동원;남상욱;하정구;김진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4-120
    • /
    • 2012
  • 목적: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 시 시행하는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의 유용성 및 안전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4월부터 2010년 9월까지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을 시행하지 않고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 20명(PM군)과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을 시행하고 봉합술을 시행한 시행한 환자 32명(RM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반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제외하였다. 안정성 검사로 술 후 3개월, 1년 추시 시 압통, 주관적 불안정성 및 외반 부하 검사를 시행하였고, 유용성 검사로 압박대 사용시간을 비교하였고, 임상 결과는 Lysholm 점수와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점수로 평가하였다. 결과: 전례에서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과 관련하여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합병증은 없었다. 술 후 3개월 및 1년 추시 관찰 시 압통, 주관적 불안정성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5명의 환자에서 외반 부하 검사상 grade I의 불안정성을 보였다. 압박대 사용 시간은 PM군 $53.5{\pm}13.6$분, RM군 $41.3{\pm}12.7$분으로 두 군간 차이를 보였다(P<0.05). 술 후 임상결과는 PM군은 술 전 Lysholm 점수 $56.8{\pm}5.5$에서 술 후 $85.1{\pm}5.8$로(P<0.001), 술 전 IKDC 점수 $42.6{\pm}6.3$에서 술 후 $77.2{\pm}6.3$로(P<0.001), RM군은 술 전 Lysholm 점수 $56.2{\pm}5.4$에서 술 후 $87.4{\pm}3.9$로(P<0.001), 술 전 IKDC 점수 $42.7{\pm}5.7$에서 술 후 $89.6{\pm}2.9$로(P<0.001) 개선되었다. 두 군간 수술 전, 후의 Lysholm 점수, IKDC 점수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은 슬관절 내측 수술 시 시야 확보에 유리하며, 수술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임상적 의미있는 잔존 불안정성을 남기지 않아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 시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교 남자 역도 선수의 척측 측부인대 초음파 검사 (Ultrasonographic Assessment of the Ulnar Collateral Ligament in High School Male Weight Lifters)

  • 장일웅;김세식;최창혁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7-53
    • /
    • 2010
  • 목적: 남자 고교 역도 선수에게서 나타나는 주관절 부위의 변화와 내측 측부 인대 손상의 정도 및 빈도를 초음파 검사를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평균연령 16.8세(범위 16세-18세) 고교 남자 역도 선수 15명(실험군, Group I) 및 평균 연령 16.7세(범위 16-17세)인 대조군(Group II) 9명을 대상으로 하여 주관절 부위 병력 청취, 신체검사, 단순 주관절 방사선 촬영, 외반 부하 방사선 검사 및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관절 주위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단순 방사선 촬영상 내측 관절 간격은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3.6 mm, 2.7 mm; p>0.05), 외반 부하 방사선 사진상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 되었다(우측 평균 5.86 mm 및 3.52 mm, p<0.01, 좌측 평균 5.33 mm 및 3.64 mm, p<0.01). 초음파 검사상 실험군에서 내측 관절 간격이 유의하게 증가 되어 있었고(우측 평균 4.66 mm 및 3.29 mm, p<0.01, 좌측 평균 8 mm 및 3.38 mm, p<0.01), 척골 근위부가 유의하게 외측 이동되어 있었으며(우측 평균 0.73 mm 및 1.43 mm, p<0.01, 좌측 평균 0.96 mm 및 1.53 mm, p<0.05), 주관절 각변형 또한 실험군에서(우측 A형 6례, B형 9례, 좌측 A형 9례, B형 6례), 대조군(우측 A형 9례와 좌측 A형 9례)에 비해 유의하게 나타났다. 실험군에서 운동경력(p>0.1) 및 우세팔 여부(p>0.05)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남자 고교 역도 선수들의 주관절 내측 이완성의 빈도가 높았으며, 동적 초음파 검사를 이용시 보다 효과적인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원위경비인대결합의 손상 (Syndesmotic Injury)

  • 안정태;박문수;정비오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15
    • /
    • 2022
  • Syndesmotic injuries are found frequently in clinical practice, and they remain controversial because of the variety of diagnostic techniques and management options. Bony avulsions or malleolar fractur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syndesmotic disruptions. Even unstable isolated syndesmosis injuries are associated with a latent or frank tibiofibular diastasis and should not be ignored in the early phase. A relevant instability of the syndesmosis with diastasis results from collateral ligaments tears and requires operative stabilization. The treatment involves an anatomic reduction of the distal tibiofibular articulations followed by stable fixation. Syndesmotic transfixation screws or suture button implants are being proposed as a means of fixation. Recently, suture button fixation has shown more favorable outcomes, but the outcomes can still be controversial. Syndesmotic malreduction can lead to hardware failure, adhesions, heterotopic ossification, tibiofibular synostosis, chronic instability, and posttraumatic arthritis. In particular, the correct diagnosis and evidence-based treatment options for unstable syndesmotic injury should be considered.

Anatomical Study on the Heart Meridian Muscle in Human

  • Park Kyoung-Sik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17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the human heart meridian muscle, the regional muscle group being divided into outer, middle, and inner layers. The inner parts of the body surface were opened widely to demonstrate muscles, nerves, blood vessels and to expose the inner structure of the heart meridian muscle in the order of layers.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cdot$ The heart meridian muscle is composed of muscles, nerves and blood vessels. $\cdot$ In human anatomy, the difference between terms is present (that is, between nerves or blood vessels which control the meridian muscle and those which pass near by). $\cdot$ The inner composition of the heart meridian muscle in the human arm is as follows: 1) Muscle H-l: latissimus dorsi muscle tendon, teres major muscle, coracobrachialis muscle H-2: biceps brachialis muscle, triceps brachialis muscle, brachialis muscle H-3: pronator teres muscle and brachialis muscle H-4: palmar carpal ligament and flexor ulnaris tendon H-5: palmar carpal ligament & flexor retinaculum, tissue between flexor carpi ulnaris tendon and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tendon, flexor digitorum profundus tendon H-6: palmar carpal ligament & flexor retinaculum, flexor carpi ulnaris tendon H-7: palmar carpal ligament & flexor retinaculum, tissue between flexor carpi ulnaris tendon and flexor digitorum superficial is tendon, flexor digitorum profundus tendon H-8: palmar aponeurosis, 4th lumbrical muscle, dorsal & palmar interrosseous muscle H-9: dorsal fascia, radiad of extensor digiti minimi tendon & extensor digitorum tendon 2) Blood vessel H-1: axillary artery, posterior circumflex humeral artery H-2: basilic vein, brachial artery H-3: basilic vein, inferior ulnar collateral artery, brachial artery H-4: ulnar artery H-5: ulnar artery H-6: ulnar artery H-7: ulnar artery H-8: palmar digital artery H-9: dorsal digital vein, the dorsal branch of palmar digital artery 3) Nerve H-1: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median n., ulnar n., radial n., musculocutaneous n., axillary nerve H-2: median nerve, ulnar n.,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 the branch of muscular cutaneous nerve H-3: median nerve,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H-4: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ulnar nerve H-5: ulnar nerve H-6: ulnar nerve H-7: ulnar nerve H-8: superficial branch of ulnar nerve H-9: dorsal digital branch of ulnar nerve.

  • PDF

급성 외상성 비골근 탈구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Acute Traumatic Peroneal Tendon Dislocation)

  • 최은석;박홍기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9-183
    • /
    • 2005
  • Purpose: Acute traumatic peroneal tendon dislocation is relatively rare disease and their methods of treatment is controversial, that we want to assess the characters and outcomes of 8 patients with early surgical treatments.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the results of 8 patients who can follow up more than 28 months using sex, age, side, injury sports, concomitant injuries, Eckert and Davis classifications, anatomic variants, results and complications. Results: All of 8 patients was male, average age was 27, Right side was dominant (5/8), causal sports was variable. Concomitant injuries were distal tibiofibular ligament syndesmosis injury, Peroneus longus injury, lateral collateral ligament injury. On behalf of Eckert and Davis classifications 5 patients were Grade 1 and other 3 patients were Grade 2. 1 case of low lying peroneus brevis belly was found as an anatomic variants. 6 of patients shown excellent results, 2 patients were good. Post operative complications were discomfort of operation site and mild limited dorsiflexion on ankle joint. Conclusion: Careful history and physical exam is important for diagnosis. And surgical treatments can expect good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