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borative Editing Syste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유효시간 운영변환을 이용한 메모리 절약형 실시간 협업 편집 시스템 (Memory-saving Real-time Collaborative Editing System using Valid-Time Operational Transformation)

  • 권오석;김영봉;권오준;이석환;권기룡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32-241
    • /
    • 2018
  • Operational Transformation (OT) algorithms for real-time collaborative editing system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due to the increased demand for collaborative data processing. The operational transformation algorithm is a technique for real-time concurrency control and consistency maintenance with non-locking technique, an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overcome three issues of convergence, causality-prevention, and intention-prevention. However, previous work has the disadvantage of wasting memory by storing all operations that occurred during an edit operation in the history buff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fore, we propose a memory-saving real-time collaborative editing system that maintains a constant memory space and concurrency control through a method of applying the valid-time to each user-generated operation in order to reduce memory waste. This system prevents long-term memory occupation of client-generated operations, thus it reduces the space and time complexity even with low-rate of collaboration work, so that the performance degradation avoids.

Network-based Cooperative TV Program Production System

  • H.Sumiyoshi;Y.Mochizuki;S.Suzuki;Y.Ito;Y.Orihara;N.Yagi;Na, M.kamura;S.Shimoda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7년도 Proceedings International Workshop on New Video Media Technology
    • /
    • pp.75-81
    • /
    • 1997
  • A new DTPP (Desk-Top Program Produc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hat enables multiple program producers (directors) working at different locations to collaborate over a computer network and prepare a single program for broadcasting. In this system, information is shared among users by exchanging data edited on non-linear editing terminals in program post-production work over a network in real time. In short, the new DTPP system provides a collaborative work space for producing TV programs. The system does not make use of a special server for collaborative work but rather multiple interconnected editing terminals having the same functions. In this configuration, data at a terminal which has just been edited by some operation is forwarded to all other connected terminals for updating. This form of information sharing, however, requires that some sort of data synchronizing method be established since multiple terminals are operating on the same data simultaneously. We therefore adopt a method whereby the system synchronizes the clocks on each terminal at the time of connection and sends an operation time stamp together with edited data. This enables most recently modified data to be identified and all information on all terminals to be updated appropriately.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is new collaborative DTPP system and describes the techniques for exchanging edited data and synchronizing data.

  • PDF

게임 맵 디자인을 위한 협업 가상 환경에서의 동시성 제어 및 공동 편집 방법 (A Concurrency Control and a Collaborative Editing Mechanism in a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 for Designing a Game Map)

  • 박성준;이준;임민규;김지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5-26
    • /
    • 2011
  • 게임 레벨 디자인은 재미있는 게임 플레이를 위하여 매우 중요한 게임 제작 요소 중의 하나이며, 게임의 플레이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구성 및 해당 맵의 제작, 세부적인 장치, 객체와 물체의 설정 및 배치, 배경 설정 및 이벤트 연출 등을 설계하는 과정이다. 게임 맵 디자인 과정은 다수의 3D 객체를 공간 속에 배치하고, 지속적인 평가, 수정 및 보완 과정을 통하여 게임 공간의 성능을 개선하여야 하므로, 그 과정에서 비용과 시간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게임 제작 환경에서는 여러 개발자들이 공동으로 작업을 하게 되므로, 게임 공간 속의 객체 및 작업들에 대한 동시성 제어가 어려워서, 전반적인 작업의 일관성이 유지가 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공동 편집 과정이 복잡해지면 공동 작업의 품질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게임 맵 디자인을 위한 협업 가상 환경에서의 동시성 제어 및 공동 편집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계층 구조 기반의 객체들을 사용하고, 각 객체별 동시성 제어 기법을 제공한다. 또한 공동 편집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에 필요한 소유권 관리 기반 Undo/Redo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사용 하는 경우에 충돌의 횟수가 감소하며, 다른 개발자들이 작업을 취소하여 재수정을 하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 횟수가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 왔다.

DOM에 기반한 공동 문서 저작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pn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Document Authoring system based on DOM)

  • 유성주;김차종;신현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2601-2608
    • /
    • 2010
  • 텍스트 문서를 대상으로 하는 대부분의 공동 문서 저작 시스템에서는 문서의 병합과 재사용이 어려우며 문서를 저장, 관리할 수 있는 저장소를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웹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높은 접근성을 제공하지만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 문서를 대상으로 한 공동 문서 저작 시스템을 설계 구현함으로써 이들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이를 위해 XML 문서를 객체 모델화하고 조작하기 위한 API인 DOM(Document Object Model)에 기반을 두었으며 Java 객체를 송수신하고, 구현 시 소켓통신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지 않도록 RMI를 활용하였다. 또한 인증과정을 통해 보안성을 향상시켰으며 템플릿(Template) 제공, 주석달기, 문서구조 가시화가 가능한 편집기를 제공함으로써 XML 문서 공동저작의 수월성을 향상시켰다.

MissCW:다중 사용자 동기적 공동 저작 시스템 (MissCW:Multiuser Interactive System for Synchronous Collaborative Writing)

  • 성미영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7호
    • /
    • pp.1697-1706
    • /
    • 1996
  • 이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회의를 하면서 공동 편집을 하는 시스템 MissCW (Multiuser Interactive System for Synchronous Collaborative Writing)를 설계하고 구현한 내용을 소개한다. 이 시스템의 문서 모델인 DMDA(Distributed Multimedia Document Architecture)는 논리 구조를 가지며 표현 스타일 객체와 표시 객체를 포함 한다. 본 공동 저작 시스템의 동기성은 멀티미디어 회의와 편집 윈도우의 공유 모드로 실현되었다. 이 시스템의 공동 편집기는 분산 객체들을 논리 구조로 조합 하여 하나의 문서로 만들 수 있는 구조 지향적 편집 방식을 제공한다. 미들웨어인 공유 객체 관리자 (SOM;shared Object Manager)는 공유 객체들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며 응용 프로그램이 객체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 시스템의 하부 제어 구조는 강력한 서버 없이도 구현이 가능하도록 기본적으로는 복제 구조를 채택하였으나 공유 자료의 일관성유지를 위하여 가상 노드로의 중앙 집중 구조를 혼합 적용하였다. 가상 노드는 공유 객체 관리자의 객체 제어기에 해당하며 공유 객체 테이블(SOT; Shared Object Table)을 다루는 모든 일을 한다.

  • PDF

협업을 위한 공동 작업용 마인드맵 도구 개발 및 사용성 평가 (Development and usability evaluation of a Collaborative Mind map Authoring Tool)

  • 신은주;최자령;임수지;임지수;최유진;임순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187-192
    • /
    • 2018
  • 마인드 맵은 브레인 스토밍에 매우 효과적인 기법이다. 따라서 집단적 창의적 발상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마인드 맵 소프트웨어는 마인드 맵을 공유하거나 구성원 간의 소통을 통해 마인드맵을 통합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마인드 맵 소프트웨어의 개선을 통해 효율적인 헙업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프로젝트 구성원이 개별적으로 마인드맵을 편집 및 작성하고, 마인드맵을 통합하며, 마인드맵 편집 과정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하였다. 또한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를 통해 본 마인드맵 시스템이 협업을 지원하는데 효율적인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