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Identification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학교 아동의 미술영재성 판별에 따른 인지능력검사모형 구안 (The Development of the Inspection Model about Cognitive Ability according to Visual Artistic Giftedness Identifi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박명옥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1-30
    • /
    • 2010
  • 본고는 미술영재성 판별에 따른 인지적 능력과 관련하여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미술영재성과 인지능력과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초등학교 아동의 미술영재성 판별에 따른 인지능력검사모형을 구안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미술영재성과 인지능력의 관계를 고찰하여 미술영재성의 구성요인으로서 인지능력의 타당성을 규정한 다음, 앞선 문헌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아동의 미술영재성 판별에 따른 인지능력검사모형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구안된 검사모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일반학급 아동집단과 미술영재 아동집단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아동의 미술영재성 판별에 따른 인지능력의 구성요인으로서 시각적 사고력과 공간 지각력, 비판적 사고력이 논리적, 경험적으로 타당성이 있다고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이루어질 초등학교 아동의 미술영재성 판별에 대한 다양한 모색의 가능성과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새로운 접근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the Impact of Cause-related Marketing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 Huan Liu;Yazhu Zhao;Chi G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251-261
    • /
    • 2024
  • 본 연구는 S-O-R 이론과 사회적 정체성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어떻게 원인 관련 마케팅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306개의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 원인 관련 마케팅이 지각된 가치, 인지적 동일성, 그리고 구매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각된 가치와 인지적 동일성은 더 나아가 구매를 촉진합니다. 원인 관련 마케팅과 소비자의 구매 의도 간의 중재자로서, 지각된 가치와 인지적 동일성은 마케팅 행동과 구매 의도 간의 연결을 강화합니다. 게다가, 강화된 지각된 가치는 소비자가 마케팅 활동에 대한 인지적 동일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즈니스 마케팅에 대한 중요한 이론적 통찰과 실용적 함의를 제공합니다.

반려견 인지기능장애증후군에 대한 한의 진단 및 한약치료 적용 가능성 고찰: 치매환자 국내한의치료기술과 비교 분석 (Potential application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based on pattern identification for canine cognitive dysfunctional syndrome: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medicine therapy for patients with dementia)

  • 정경숙;조혜연;최유진;장정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5.1-25.9
    • /
    • 2022
  • Canine cognitive dysfunction syndrome (CDS) is a neurodegenerative disease that causes cognitive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reduces the quality of life in dogs and their guardians. This study reviewed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for CDS and compared the diagnosis and therapy of CAM between CDS in canines and dementia in humans. The evaluation tools for the diagnosis of CDS and dementia were similar in the neurological and neuropsychiatric examinations, daily life activity, cognitive tests, and neuroimaging, but the evaluation for dementia was further subdivided. In CAM, pattern identification is a diagnostic method for accurate, personalized treatment, such as herbal medicine. For herbal medicine treatment of cognitive impairment in canines and humans, a similar pattern identification classified as deficiency (Qi, blood, and Yin) and Excess (phlegm, Qi stagnation, and blood stasis) is being used. However, the veterinary clinical basis for verifying the efficacy and safety of CAM therapies for CDS is limited. Therefore, based on CAM evidence in dementi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DS-targeted CAM diagnostic methods and therapeutic techniques considering the anatomical,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ogs.

중학교 과학교육에서 변인통제 능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 효과 (The Effect of an Enhancing Program for Variable Control Abilities Applied to the Science Education in Middle School)

  • 김희진;김희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251-26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생들의 변인 판별 및 변인 통제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15가지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수업효과를 분석하였다. 변인 판별 및 통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자신의 사고 과정을 모니터하고 인지 활동 결과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수업 효과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을 투입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변인 판별 점수가 높았으며, 변인통제 논리 형성정도도 증가하였는데, 특히 변인통제 논리 형성정도가 미형성 단계인 학생들에게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우리가 개발한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변인 판별 및 통제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또한, 변인 통제 능력 점수와 메타 인지 수준 점수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메타인지 전략이 변인 통제 능력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Meta learning-based open-set identification system for specific emitter identification in non-cooperative scenarios

  • Xie, Cunxiang;Zhang, Limin;Zhong, Zhaoge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5호
    • /
    • pp.1755-1777
    • /
    • 2022
  •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led to the underutilization of radio spectra. To address this limitation, an intelligent cognitive radio network was developed. Specific emitter identification (SEI) is a key technology in this network. However, in realistic non-cooperative scenarios, the system may detect signal classes beyond those in the training database, and only a few labeled signal samples are available for network training, both of which deteriorate identification performance.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a meta-learning-based open-set identification system is proposed for SEI. First, the received signals were pre-processed using bi-spectral analysis and a Radon transform to obtain signal representation vectors, which were then fed into an open-set SEI network. This network consisted of a deep feature extractor and an intrinsic feature memorizer that can detect signals of unknown classes and classify signals of different known classes. The training loss functions and the procedures of the open-set SEI network were then designed for parameter optimization. Considering the few-shot problems of open-set SEI, meta-training loss functions and meta-training procedures that require only a few labeled signal samples were further developed for open-set SEI network training.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is approach outperforms other state-of-the-art SEI methods in open-set scenarios. In addition, excellent open-set SEI performance was achieved using at least 50 training signal samples, and effective operation in low signal-to-noise ratio (SNR) environments was demonstrated.

Interference Minimization Using Cognitive Spectrum Decision for LED-ID Network

  • Saha, Nirzhar;Le, Nam Tuan;Jang, Yeong Min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2호
    • /
    • pp.115-121
    • /
    • 2013
  • LED-ID (Light Emitting Diode-Identification) network is envisioned to be the next generation indoor wireless communication medium by which simultaneously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identification, and illumination are possible. In spite of being extremely promising, it suffers from much impairment. Signals having different propagation paths can suffer from delays, and phase shifts which will eventually result interference. The probability of interference is also increased when communication links are established between a tag and several read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interference in LED-ID network to ensure quality of service. It is possible to avoid interference by knowing the information about readers prior to assign the available spectrum.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dynamic spectrum decision using cognitive radio concept. The simulation results justify that the proposed scheme i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scheme.

지상표적식별을 위한 다중센서기반의 정보융합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lti-sensor Data Fusion System for Ground Target Identification)

  • 강석훈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1호
    • /
    • pp.191-229
    • /
    • 2003
  • Multi-sensor data fusion techniques combine evidences from multiple sensors in order to get more accurate and efficient meaningful information through several process levels that may not be possible from a single sensor alone.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in the data fusion system is the identification fusion, and it can be categorized into physical models, parametric classification and cognitive-based models, and parametric classification technique is usually used in multi-sensor data fusion system by its characteristic.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heuristic identification fusion method in which we adopt desirable properties from not only parametric classification technique but also cognitive-based models in order to meet the realtime processing requirements.

  • PDF

치매(痴呆)의 한열허실(寒熱虛實) 변증(辨證)을 위한 지표 문항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Preliminary Research for Development of Instrument for Cold-Heat & Deficiency-Excess Pattern Identification of Dementia)

  • 허은정;강형원;전원경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53-562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cold-heat and deficiency-excess pattern identification for dementia, as well as for standard Korean medicine diagnosis and treatment. Five experts comprised of 4 neuropsychiatrists of Korean medicine and 1 statistician to develop cold-heat and deficiency-excess pattern identification for dementia. We searched studies about pattern identification and selected 507 articles using Oasis search terms provided by the KIOM. As a result, 10 pattern identification research study were recruited. Moreover, we analyze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s for dementia that evaluat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and cognitive function using experts conferences and we selected neuropsychological instruments using pattern identification. Six cold patterns, six heat patterns, ten deficiency patterns, and four excess pattern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cold-heat and deficiency-excess pattern identification of dementia. We selected the Caregiver-Administered Neuropsychiatric Inventory and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s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s of dementia, which examine behavioral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 suspectively. We formed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Korean medicine pattern identification an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s for dementia. We developed and suggested a forecast module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dementia. But, it is necessary to perform additional clinical trials to verify its validity and accuracy.

콘텐츠 특성과 자아특성이 소비자 공감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Characteristics in Consumers' Empathic Response)

  • 윤대홍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4호
    • /
    • pp.97-120
    • /
    • 2015
  • 본 연구는 소비자 공감 반응에 대한 연구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비자 공감 반응에 대한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인지적 반응(매력성, 친숙성, 실제적 자아일치성, 이상적 자아일치성 그리고 동감)요인, 감정적 반응(공감, 몰입, 애착) 그리고 인지적 반응과 감정적 반응을 매개하는 동일시와 상호작용성의 역할 및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2개의 가설(가설 1-1, 가설 3)을 제외하고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물매력성, 실제적 자아일치성을 제외하고, 스토리 매력성, 인물친숙성, 스토리친숙성, 이상적 자아일치성은 동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인지적 반응과 감정적 반응을 매개하는 변수로 동일시, 그리고 상호작용성의 관계 및 역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감반응과 공감반응의 매개 역할로 동일시와 상호작용성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감정적 반응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감과 몰입 그리고 애착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영재학급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 영재판별모형 개발 연구 (Identification Model Development for Gifted Students Based on Clas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 류지영;정현철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257-287
    • /
    • 2010
  • 본 연구는 교육청 산하 영재학급의 영재선발에 적용되는 관찰과 추천에 의한 영재판별모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영재 판별의 정의와 가능성, 현재의 영재선발, 영재판별의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관찰 추천 영재판별모형은 모두 4단계로 구성되었다. 1단계는 다양한 정보들의 수집이고, 2단계는 포트폴리오 구성과 그 내용을 루브릭으로 평정하는 것이고, 3단계는 2단계에서 선발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과 면접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과 정의적 특성을 알아본 다음, 4단계인 영재선정심사위원회에서 최종적으로 영재선발을 결정한다. 본 영재판별모형은 영재프로그램에 배치되고 나서도 영재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을 통하여 영재의 재배치나 상위 영재기관에의 추천 근거자료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본 모형은 현재 영재성을 발휘하거나 앞으로 발휘할 가능성이 높은 잠재적인 영재의 선발에 도움을 주며, 특히 소외계층의 영재선발에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