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Bias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5초

Consumers' Overconfidence Biases in Relation to Social Exclusion

  • HAN, Woong-Hee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7호
    • /
    • pp.303-308
    • /
    • 2020
  • Unlike previous studies of overconfidence bias that have been looking for causes of overconfidence bias in human cognitive error or in the desire to view oneself positively, this study presents the cognitive narrowing resulting from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 as the condition of overconfidence bias and investigates the mechanism of cognitive narrowing to overcome the negative emotions from social exclusion, and how overconfidence bias occur due to cognitive narrowing. Current study was performed with 94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social exclusion experience group or non-experience group. We analyzed how the degree of bias of overconfidence differs according to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 The degree of overconfidence bias of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experience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extends the concepts of escaping theory and cognitive narrowing to human cognitive bias and confirmed that social exclusion experience increased cognitive narrowing and overconfidence bias.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합리적 문제해결을 저해하는 인지편향과 과학교육을 통한 탈인지편향 방법 탐색 (Exploring Cognitive Biases Limiting Rational Problem Solving and Debiasing Methods Using Science Education)

  • 하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35-946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과 관련된 인지편향을 확인하고 과학교육을 통하여 인지편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문헌조사를 통하여 연구되어진 인지편향을 수집하였고, 과학학습의 관련성이 높은 인지편향을 과학교육전문가와의 토론을 통하여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합리적 인과관계추론을 방해하는 인지편향, 다양한 정보와 결론 생성을 방해하는 인지편향, 자기반성적 학습을 방해하는 인지편향, 자기 주도적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인지편향, 범주 제한적 사고를 조장하는 인지편향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고, 총 29개의 인지편향들을 조사하였다. 합리적 인과관계추론의 방해하는 인지편향은 목적론적 사고, 가용성 편향, 착각적 상관, 클러스터 착각이었다. 문제해결에서 다양한 정보의 탐색을 방해하는 인지편향은 선택적 지각, 실험자 편향, 확증편향, 단순 사고 효과, 주의 편향, 신념편향, 실용 오류, 기능적 고착, 틀 효과가 있었다. 자기반성적 학습을 방해하는 인지편향은 과도한 자신감 편향, 우월성 편향, 계획 오류, 기본적 귀인 오류, 더닝-크루거 효과, 사후확신편향, 맹점편향을 확인하였다. 자기 주도적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인지편향은 동조효과, 편승효과, 집단사고, 권위에 호소, 정보편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범주 제한적 사고를 조장하는 인지편향으로는 심리학적 본질주의, 고정관념, 의인화, 외집단 동질성 편향이 있었다. 연구된 인지편향에 대한 심리학적 특징들과 과학교수-학습방법들을 토대로 인지편향을 줄이고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 방법에 대해서 논의한다.

Does Social Exclusion Influence Consumers' Pseudodiagnosticity Biases towards Distribution Brands?

  • HAN, Woong-Hee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79-8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plores how cognitive impairment caused by social exclusion experience can be explained through cognitive narrowing and how it influences consumer's judgment and reasoning and results pseudodiagnosticity bias towards distribution brand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narrowing, which is one of the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 negative emotions resulting from social exclusion, and how cognitive errors called pseudodiagnosticity bias occur due to cognitive narrowing in the evaluation of distribution brand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Present study was performed with 77 college students in Seoul.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group who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and the group who did not experience social exclusion. The analysis has been made of how the degree of bias of pseudodiagnosticity differ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by t-test. Results: The group who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had a higher level of pseudodiagnosticity bias towards distribution brands than the group who did not experience social exclusion.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what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narrowing, which is one of the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 negative emotions resulting from social exclusion, and how cognitive errors called pseudodiagnosticity bias occur due to cognitive narrowing.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Cognitive Bias and Information Security Research: Research Trends and Opportunities

  • Park, Jongpil;Oh, Chang-Gyu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6권2호
    • /
    • pp.290-298
    • /
    • 2016
  • Human cognition and decision-making related to information systems (IS) is a major area of interest in IS research. Among these areas, cognitive bias rooted in behavioral economics is gaining considerable attention from researchers. In the present study, we identify the role of cognitive biases and discuss how they shape the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We also seek research opportunities to provid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행운신념이 긍정적 인지편향과 창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uck in Belief and Positive Cognitive Bias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 하환호;변충규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5호
    • /
    • pp.33-44
    • /
    • 2023
  • 창업효능감은 창업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와 행동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심리특성변수인 행운신념과 긍정적 인지편향을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 특히 주목한 것은 행운이다. 사업성공이 행운에 의해서 좌우된다는 생각과 믿음이 널리 퍼져있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학술적 검토와 논의는 제대로 되지 않았다. 학술적으로 무관심했던 이유는 행운이 일종의 미신이며, 예지나 초감각적 지각과 관련이 있고, 외부환경에 의해 무작위적으로 일어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행운을 개성과 같은 개인의 특성변수로 보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가 개발되면서 부터 행운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행운신념에 대한 기존연구들을 검토하고, 이 행운신념이 긍정적 인지편향과 창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일반인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사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AMOS 21.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행운신념이 긍정적 인지편향인 자기고양 편향과 통제착각 편향, 낙관주의 편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긍정적 인지편향(자기고양 편향, 통제착각 편향, 낙관주의 편향)이 창업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도 또한 모두 채택되었다. 행운신념과 창업효능감의 관계에서 긍정적 인지편향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보기 위해 추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분석에서 '행운신념→긍정적 인지편향→창업효능감'의 경로계수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행운신념과 창업효능감의 관계에서 행운신념의 간접효과, 즉 긍정적 인지편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 PDF

긍정적 인지편향이 창업시도 성공과 실패에 대한 태도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sitive Cognitive Bias on Attitude toward Success(Failur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하환호;변충규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4호
    • /
    • pp.145-153
    • /
    • 2014
  • 성공하려는 욕망이 있다는 것과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는 것은 창업의도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도이론에서 시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한 시도 성공에 대한 태도와 시도 실패에 대한 태도 2가지를 창업시도에 대한 태도로 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인지편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기고양 편향과 낙관주의 편향 그리고 통제착각 편향이 대표적인 긍정적 인지편향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세 가지 편향들이 창업시도 성공과 실패에 대한 태도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경로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자기고양 편향과 낙관주의 편향은 창업시도 성공에 대한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창업시도 실패에 대한 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제착각 편향은 창업시도 실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창업시도 성공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과 마찬가지로 창업시도 성공에 대한 태도는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창업시도 실패에 대한 태도는 창업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PDF

Behavioral Biases on Investment Decision: A Case Study in Indonesia

  • KARTINI, Kartini;NAHDA, Katiy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1231-1240
    • /
    • 2021
  • A shift in perspective from standard finance to behavioral finance has taken place in the past two decades that explains how cognition and emotions are associated with financial decision making.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on investment decision-making.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are investigated are differentiated into two aspects,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From the cognitive aspect, we examine the influence of anchoring, representativeness, loss aversion, overconfidence, and optimism biases on investor decisions. Meanwhile, from the emotional aspect, the influence of herding behavior on investment decisions is analyzed. A quantitative approach is used based on a survey method and a snowball sampling that result in 165 questionnaires from individual investors in Yogyakarta. Further, we use the One-Sample t-test in testing all hypothese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all of the variables, anchoring bias, representativeness bias, loss aversion bias, overconfidence bias, optimism bias, and herding behavior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vestment decisions. This result emphasizes the influence of behavioral factors on investor's decisions. It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in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investor's behaviors and enhance the ability of investors in making more informed decision by reducing all potential biases.

북한에 대한 인지편향(기준점편향) 이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gnitive-Bias (Anchoring Bias) to N. Korea on Reunification Perception)

  • 한승조;배영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01-20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에 대한 인지편향(기준점편향)을 지닌 집단 간의 통일인식 차이에 대해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북한과 관련된 학교교육이 제공하는 내용의 차이에 따라 인지편향(기준점편향)이 발생하고, 형성된 관점에 따라 통일인식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연구가 진행되었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에서 주관한 통일인식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인지편향이 상이한 두 개의 그룹은 청소년기 학교에서 주로 접했던 분야를 "반공과 안보"로 선택한 집단(A그룹)과 "통일이익, 다문화, 북한 이해"를 문항에서 선택한 집단(B그룹)을 기준으로 구분되었다. 분석결과 A그룹은 성인이 되어서도 북한을 적대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B그룹은 대화와 협력의 대상으로 여기는 인지편향(기준점편향)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A그룹은 B그룹에 비해 통일이 우리나라에 긍정적인 이득이 된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북한과의 타협과 대화에 대한 호응도도 낮았다. 하지만 북한 이탈주민에 대한 수용도 측면에서는 두 그릅 간의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초기 학교교육이 성인 이후의 통일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학교 통일교육 방향에 참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불안장애의 해석편향 연구: 컴퓨터 기반 해석편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Interpretation bias modification for social anxiety disorder: Development of computer based cognitive modification program)

  • 윤혜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11-12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반의 인지편향수정 프로그램(Cognitive Bias Modification Program - Interpretation, CBM-I)을 이용하여 사회불안 경향이 있는 대학생들을 위한 해석편향 수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사회불안증상 및 해석편향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40명의 사회불안 경향성자들을 긍정해석 훈련집단((n=21)과 비처치대기집단((n=19)에 배정하였고 치료 전후 해석 편향과 사회불안증상 수준(e.g.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레보위츠 사회불안 척도)을 비교하였다. CBM-I 훈련은 참가자들이 긍정적인 방식으로 모호한 상황을 해석하면 긍정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부정적인 방식으로 해석하면 부정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긍정해석 훈련집단의 경우 3주간 3번의 회기에 참가하였다. 사후분석에서 긍정훈련 조건에 참가한 내담자들의 자기 보고식 사회불안 증상이 감소하였다(t=2.35, p<.05; t=4.70, p<.001). 이러한 결과는 다중회기로 실시된 해석 편향의 수정이 임상적으로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 Model of the Operator Cognitive Behaviors During the Steam Generator Tube Rupture Accident at a Nuclear Power Plant

  • Mun, J.H.;Kang, C.S.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8권5호
    • /
    • pp.467-481
    • /
    • 1996
  • An integrated framework of modeling the human operator cognitive behavior during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scenarios is presented. It incorporates both plant and operator models. The basic structure of the operator model is similar to that of existing cognitive models, however, this model differs from those existing ones largely in too aspects. First, using frame and membership function, the pattern matching behavior, which is identified as the dominant cognitive process of operators responding to an accident sequence, is explicitly implemented in this model. Second, the non-task-related human cognitive activities like effect of stress and cognitive biases such as confirmation bias and availability bias, are also considered. A computer code, OPEC is assembled to simulate this framework and is actually applied to an SGTR sequence, and the resultant simulated behaviors of operator are obtai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