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ffee Smell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Convergence of Consumer Hygiene Awareness on Coffee Smell, Price, and Shop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s

  • Kwon, Woo-Taek;Kim, Yeong-Seon;Kwon, Lee-Se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12호
    • /
    • pp.23-31
    • /
    • 201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consumers' awareness of hygiene and the perceived risks in the service areas of coffee shops and diners, or simply coffee shop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related publications, essays, and periodicals to find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We develope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and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satisfied adequacy standards, with GFI=0.926, AGFI=0.901, RMR=0.020, NFI=0.941, X2=403.197, and p-value=0.120. The results also displayed satisfied adequacy standards for the moderating effects of shop types, with GFI=0.998 (≥0.9 desirable), AGFI=0.998 (≥0.9 desirable), RMR=0.004 (≤0.05 desirable), NFI=0.999 (≥0.9 desirable), X2=1.572, and p-value=0.814 (≥0.05 desirable). Conclusions - A higher consumer hygienic awareness results in a better brand image. Moreover, greater perceived risk results in a worse brand image. Perceived risk is a vital determinant of brand image and it deeply influences customers' decisions to visit. Therefore, perceived risk is a vital determinant of forming a brand image and must be incorporated when devising strategies.

Determinants of Price in Specialty Coffee by Consumers

  • Kim, Hyojin;Jung, Oh-Hyun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51-159
    • /
    • 2016
  • With the targeted coffee consumers in Kwangju city, South Korea, this paper investigates a few determinants such as taste, aroma, mouth-feel, and satisfaction to influence coffee price, based upon self-evaluations by those who enjoy specialty coffee. Using both simple regression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t turned out that tastes, smell, mouth-feel, and satisfaction of specialty coffee had effects on coffee price. This study implies that when coffee consumers decide coffee price, they consider multiple factors to influence their overall satisfaction in multiple aspects than a single facet like taste, aroma, and mouth-feel. Practical and theoretical discussion and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the following studies.

커피분말 첨가가 쌀쿠키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as affected by coffee addition)

  • 성종환;정헌식;김한빛;이주백;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0-45
    • /
    • 2014
  • 쌀쿠키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밀가루나 글루텐 무첨가 쌀쿠키의 품질특성에 볶음 커피분말의 첨가가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쌀쿠키는 쌀가루 대비 커피분말을 0, 1.5, 3, 6, 12% 각각 첨가하여 반죽을 한 다음 원판으로 성형한 후 오븐으로 $170{\sim}180^{\circ}C$에서 10분간 구워 만들고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커피분말 첨가량의 증가와 함께 쌀쿠키의 색도인 $L^*$, $b^*$, $C^*$, $h^{\circ}$값은 감소되었고, $a^*$값은 증가됨을 보였다. 기계적 경도와 총페놀 함량은 커피분말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첨가량 1.5%와 3%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항산화능은 커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서 첨가량 1.5% 첨가구보다 3%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로서, 쌀쿠키의 darkness, smell, bitterness, hardness 등은 커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강하게 평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Overall acceptability는 커피분말 1.5%와 3%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로써 쌀쿠키의 항산화능과 기호도의 동시 증대를 위한 커피분말의 첨가량은 3% 정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A case study to standardize odor metadata obtained from coffee aroma based on E-nose using ISO/IEC 23005 (MPEG-V) for olfactory-enhanced multimedia

  • Choi, Jang-Sik;Byun, Hyung-Gi
    • 센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04-209
    • /
    • 2021
  • Immersive multimedia comprising metadata for five senses can provide user experience by stimulating memory and sensation. In the case of olfactory-enhanced multimedia, a computer-generated smell is combined with additional media content to create a richer and/or more realistic experience for the user.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olfactory-enhanced multimedia using e-nose and olfactory display, their practical applications have been severely restricted owing to the absence of a related standard.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standardize odor metadata obtained from an e-nose system, which has been particularly used to acquire data from different coffee aromas. Subsequently, the data were transferred to an odor display applicable for olfactory-enhanced multimedia using the ISO/IEC 23005 (MPEG-V) data template.

올드 와인의 디캔팅 연구 : 강화 와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canting of Old Wine : Focused on Fortified Wine)

  • 김동준;추교진;백주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9-51
    • /
    • 2019
  • 본 연구는 라타피아 샴페인 트루일라드 1947 올드 강화 와인을 대상으로 테스팅을 하였고, 기존 와인과의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프랑스 상파뉴 지방의 올드 강화 와인으로 블랜딩은 피노 누아, 샤도네이, 피노 뮈니에이다. 알콜 도수는 18%이고 테스팅 날짜는 2019년 2월 15일-21일(디캔팅 기간 6일/최종 시음일 2월 21일 오후 15시)이다. 테스터는 FICB 그랑 꼬망되르 한국 총사령관 1명, KOV 핀란드 꼬망되르 1명, 총 2명으로 구성하였다. 와인 오픈은 철사 제거 후 투 블레이드를 시용하였고 디캔팅 시간은 본 연구에서 설정한 산정식인 2019(당해년도)-1947(해당 빈티지)/12=6일을 적용하였다. 아로마는 체리, 과일, 간장, 감초 등의 냄새가 났고, 부케는 5단계로 파악하였다. 1단계는 항아리 냄새, 2단계는 연한 커피, 3단계는 과일과 꽃 냄새, 4단계는 석청의 향, 5단계는 정제된 브랜디의 냄새로 나타났다. 그리고 테스팅은 7단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있다. 첫째, 올드와인의 새로운 개념을 강화 와인에 적용하였다. 디캔팅 기간의 구체적인 산정식을 도출하였다. 디캔팅에서 아로마와 부케의 5단계를 제시하였다. 와인 테스팅 단계를 기존의 5단계에서 7단계로 확대하였다. 또한 상파뉴 올드 강화 와인의 새로운 맛을 분석하였다.

Evaluation of Deodorization Capabilities, Morphologies, and Thermal Stabilities of Baking Soda, Charcoal, Coffee, and Green Tea for Kimchi Packaging Application

  • Jeong, Suyeon;Yoo, Seung Ran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
    • /
    • 2020
  • We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baking soda, charco'al, coffee, and green tea as a natural deodorant in Kimchi packaging. Moreover, to evaluate the potential usage of these deodorants in packaging materials and confirm their applicability in high-temperature melt-extrusion processing, the thermal stabilities of the deodorants were investigated, and heat-treated deodorant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 deodorizing function compared with non-treated deodorants. Aroma patterns were decreased after deodorizing treatment with all-natural deodorants. Dimethyl disulfide, methyl trisulfide, and diallyl disulfide, the most significant odor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of Kimchi, decreased after treatment with the deodorants. In particular, baking soda and charcoal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in removing odorous compounds and VOCs from Kimchi, even after high-temperature processing. The acetic acid removal rates for both baking soda and charcoal were 99.9±0.0%. The heating process increases the deodorizing effects of baking soda.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crease (p < 0.05) in the overall preference for Kimchi samples packaged with charcoal and baking soda.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odorization effects of natural deodorants for Kimchi smell and their applicability for packaging materials.

커피박 첨가 돈족(豚足)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ttitoes(Jokbal) added with Coffee Meal)

  • 최석봉;안상란;이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24
    • /
    • 2016
  • 본 연구는 실제 커피박을 자원화하고,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며, 열수추출물로 만든 커피박을 제조한 후 족발을 현재 식품제조사에서 만드는 공정으로 가공하여 다변화된 풍미와 기능성이 향상된 족발로 돈족 제품의 다양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기초자료로 얻고자 실시하였다. 족발의 pH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수분함량의 경우 대조구와 커피박 추출물 첨가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지방, 조회분의 경우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다소 증가되었으며, 단백질의 경우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도의 경우 대조구보다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텍스쳐(texture) 분석은 커피박 추출물 첨가에 따라 hardness와 chewiness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cohesivenes와 springiness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명도는 커피박 추출물 첨가량을 10%, 20%, 30%로 점차적으로 증가할수록 L값은 대조구에 비해 점점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값은 커피박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b값은 대조구가 가장 낮았고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커피박 추출물의 색도가 족발의 색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평가 결과, 10%의 커피박 추출물 첨가군이 외관, 씹힘성, 냄새 및 선호도에 높은 점수를 나타내 족발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관찰된다.

볶음조건에 따른 결명자차의 관능적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rganoleptic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ssia tora teas by Roasting Conditions)

  • 김종국;문광덕;강우원;김귀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41-245
    • /
    • 1995
  • 결명자 종실을 볶음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볶은 후 결명자차를 제조하여 5단계 평점법으로 각각의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결명자의 성분조성은 수분 11.6%, 조단백질 13.1%, 조지방 9.4%, 조섬유 13.8%, 조회분 4.9%, 가용성 무질소물이 47.2%이었다. 결명자를 볶음 처리하여 제조한 결명자차에서 관능적으로 느낄 수 있는 향미성분은 단맛, 떫은 맛, 시큼한 맛, 쓴맛, 볶은 커피냄새, 볶은 보리냄새 및 탄내 등이었으며 결명자차의 관능적 품질을 묘사분석에 의하여 평가한 결과 볶음처리함에 따라 전체적인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며 지나친 볶음처리시 쓴맛, 탄내 등에 의하여 낮은 관능 평점을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들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단맛과 쓴맛이 전체적인 기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0^{\circ}C$에서 20분간 볶음처리한 경우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가상현실 콘텐츠 용 MPEG-V 후각효과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MPEG-V Scent effects on Virtual Reality Content)

  • 임용철;김상균;이영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89-599
    • /
    • 2017
  • 본 논문은 후각실험에 사용되는 향기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로 MPEG-V(ISO/IEC 23005) 표준을 활용한 후각효과 재현 시스템을 소개한다. 구현된 시스템을 활용하여 실험 참여자들에게 두부장착교시장치(Head Mounted Display: HMD)를 착용시킨 상태에서 향기와 향기객체 이미지의 일대일 매칭, 향기와 다수의 향기객체 이미지 매칭, 그리고 발향장치와 피험자와의 거리별 선호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후각도구로 커피, 코코아, 바나나, 복숭아 향기를 실험에 적합한 향기로 선정하였다. 매칭 정확도가 높았던 커피 향기의 경우 발향장치와 참여자 사이의 거리가 10~20cm인 경우가 30cm보다 이미지 매칭에 더 효과적이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서 선정된 향기를 사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의 몰입감 및 현장감 향상을 위한 후각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가스폭발 사고와 관련된 국가배상 사례의 분석 (Analysis of A Gas Explosion-Related State Compensation Case)

  • 이의평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44-59
    • /
    • 2020
  • 이 논문에서는 2층 건물 지하층의 다방에서 가스냄새가 난다고 119신고가 되어 소방대원들이 출동하여 옥상에 있는 LPG 가스통들의 밸브를 직접 잠그고 지하층 다방의 중간밸브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고 현장에 도착한 가스공급 및 설치 업자에게 안전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하고 철수한 후 7분 만에 가스폭발사고가 발생하여 2명이 사망하고 21명이 부상을 입은 사례를 분석하고 있다. 법원은 가스폭발사고의 원인이 규명되지 아니하였으므로 가스공급 및 설치 업자와 한국가스안전공사에 배상 책임을 물을 수 없고 안전조치를 하지 않고 철수한 소방기관에게만 배상책임이 있다고 판결하였다. 그러므로 가스가 누설된다고 119신고가 되는 경우에 출동한 소방대는 가스 밸브를 잠그고 사람들을 대피시키거나 접근하지 못하게 하고 환기를 시키는 등 안전조치를 하고 화재나 폭발가능성이 없음을 확인한 후 철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