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ding Education Process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2초

Design of Learning Process with Code Reconstruction Principle for Non-computer Majors

  • Hye-Wuk, 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175-180
    • /
    • 2022
  • To develop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university students are learning how to solve problems with algorithms, program commands and grammar, and program writing. Because non-computer majors have difficulty with computer programming-related content, they need a learning method to acquire coding knowledge from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interpreting, changing, and improving source codes by themselves. This study explored clone coding, refactoring coding, and coding methods using reconstruction tools, which are practical and effective learning methods for improving coding skills for students who are accustomed to coding. A coding learning process with the code reconstruction principle was designed to help non-computer majors use it to understand coding technology and develop their problem-solving ability and applied the coding technology learning method used in programmer educ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Content based on Augmented Reality

  • Kim, So-Young;Jung, Eunmi;Kim, Hee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4호
    • /
    • pp.198-205
    • /
    • 2022
  • Along with a variety of coding education,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for controlling various sensor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line wit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problem with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using Arduino is pin connection errors between Arduino and various sensors. Most of the students who come into contact with the Arduino for the first time often do not know the purpose of the Arduino pin and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pin. Also, hardware built with incorrect pin connections to the Arduino board often does not work properly. If this case continues, students will lose interest in coding educ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that informs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Arduino board and the sensor during physical computing coding education using Arduino, and designed and implemented educational content for the Arduino pin position and connection process. First, we explain the role of the Arduino board and the sensor and the location of the pins. After that, the students run the educational augmented reality educational content using their smartphones and check the correct pin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Arduino and the sensor. In the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use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and immersion of the class.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 will also increase by inducing fun and interest in physical computing coding education.

코딩교육을 위한 어린이 놀이 공간 디자인 연구 - 미취학 아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of Children's Play Space for Coding Education - Focusing on preschoolers -)

  • 김승인;이가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97-402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개정과정에 발맞춰 어린이들을 위한 코딩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의 문제점을 보완할 새로운 '놀이 중심'의 교육 콘텐츠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의 유아 코딩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한 뒤, 차후 유아코딩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새로운 코딩 교육용 어린이 놀이공간을 제시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현 코딩 교육은 어린이의 활동성에 제약을 많이 두고 있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이들이 활발하게 뛰어놀 수 있는 '놀이 공간'으로써의 코딩 교육 공간을 제시한다. 공간을 이용했기 때문에 아이들의 시각, 촉각, 후각 등 오감을 자극할 수 있어 감성적 교육이 가능하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공간 이해능력은 물론, 상상력과 창의성, 협동심까지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차후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특성과 기술적 프로세스를 심층적으로 연구해 향후 유아 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Design and Development of Robot Command Card for Coding Learning

  • Han, Sun-G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49-55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sign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cards to understand the grammar of coding, solving the problems and extending the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robot-driven environment. First, we designed the input/output module of the robot to process the coding grammar through the function analysis of the robot. And we designed the module of command card to learn coding grammar using color sensors. We have proven the validity of the designed instruction card by examining the experts to see if it is suitable for coding grammar learning. Designed robot and command card were developed with 28 cards and sensor robot. After applying the developed robot and command card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 showed that students grow the understanding and confidence of coding. In addition, students showed an increased need for programming learning.

On the Effect of a Pilot Co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Complex Problem Solving Tasks

  • Jeon, Inseong;Song, Ki-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4호
    • /
    • pp.128-137
    • /
    • 2018
  • In the programming education, there is a great need of a teaching support system that can support the learner in the programming process regardless of the computer language due to instructor's difficulty of checking the progress of learners in real-time. Its importance is especially important in lower grade coding classes such as in K-12 education because they are not used to coding and so simple problems can be regarded as complex problems. For this, a pilot co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based on Levenshtein distance algorithm which shows learners' progress to given solution in real-time was developed in order to help learners to solve complex problems easily, and the learners'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as measured for estimating the usefulness of developed system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n the learners use the developed system, it was found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s in the sub-factors of learning motivation compared with traditional class teaching environments.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the efficacy dimen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o.

AI 메이커 코딩 교육이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AI Maker Coding Education on Improving Computing Thinking)

  • 이재호;김대현;이승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79-79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AI 메이커 코딩 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안산시 H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0명의 학생이며, 소프트웨어 코딩 기반 메이커교육용 교수학습모형을 활용한 총 8차시의 AI 메이커 코딩 교육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컴퓨팅 사고력의 향상 정도를 분석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실생활의 문제를 코딩과 메이킹 활동을 통해 해결하는 과정을 수행하였고, 컴퓨팅 사고력 검사지를 통해 교육 전·후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 정도를 측정하는 한편, 면담을 통해 컴퓨팅 사고력 구성요소와 관련된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학생 간 점수의 편차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면담을 통해서는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이 컴퓨팅 사고력과 관련된 사고 능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AI 메이커 코딩 교육은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 Study on Coding Education for Non-Computer Majors Using Programming Error List

  • Jung, Hye-Wu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203-209
    • /
    • 2021
  • When carrying out computer programming, the process of checking and correcting errors in the source code is essential work fo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Non-computer majors who are learning programming for the first time receive feedback from instructors to correct errors that occur when writing the source code. However, in a learning environment where the time for the learner to practice alone is long, such as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learner starts to feel many difficulties in solving program errors by himself/herself. Therefore, training on how to check and correct errors after writing the program source code is necessary. In this paper, various types of errors that can occur in a Python program were described, the errors were classified into simple errors and complex err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rors, and the distributions of errors by Python grammar category were analyzed. In addition, a coding learning process to refer error lists was designed to present a coding learning method that enables learners to solve program errors by themselves.

학교 교육 과정을 반영한 블록 코딩 교육용 게임 개발 (Development of Block Coding Educational Game Reflecting School Curriculum)

  • 양진서;강보미;김정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229-234
    • /
    • 2024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 코딩 교육의 중요성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들이 흥미롭고 효과적으로 코딩을 학습할 수 있는 중학교 교과서를 반영한 블록 코딩과 메타인지 교육이 결합된 교육용 게임 개발에 대한 연구이다. 블록 코딩의 장점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코딩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메타인지 요소의 적용을 통해 학습 과정을 자가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의 역량 향상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향후에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사용자 인터뷰 내용을 반영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확장하고 보완할 예정이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게임은 실제 코딩 교육 도구로써 학교 내외에서 교과서의 보조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코딩 교육용 게임에 나타난 수행적 글쓰기 - 를 중심으로 (Performative Writing of Coding Game )

  • 윤현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1-62
    • /
    • 2016
  • 본 연구는 SW중심 사회를 맞아 주목받고 있는 코딩과 코딩 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코딩 교육용 게임 를 중심으로 코딩과 이를 통한 게임 플레이 안에서 나타나는 수행적 글쓰기로서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글쓰기 과정으로서 코딩은 코드 블럭을 활용한 연쇄적 확장과 이의 순환이라는 작동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유닛 오퍼레이션으로서 의미를 생성하고 있었는데 이는 사용자의 창발적 플레이를 지시하는 동인이 되었다. 다음으로 수행적 글쓰기로서 코딩은 말하기/쓰기가 중첩되며 사용자의 플레이 전과정에 체현되고 있었다. 이어 실패와 교정의 부재는 역설적으로 사용자의 문제 탐험 공간을 확장시키며 사용자의 자율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시키고 있었다. 본 연구는 융합교육 환경에서 코딩과 코딩 교육의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는 시도로서 의의가 있다.

교육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블록 코딩 및 피지컬 컴퓨팅 교육 사례 (A Case Study on Block Coding and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for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 한규정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307-317
    • /
    • 2019
  •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의 예비교사들에 대한 블록 코딩과 피지컬 컴퓨팅의 교육 사례이다. 학생들은 블록 코딩을 지원하는 '엔트리'를 통해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코딩에 대한 친숙함을 느꼈으며 코딩 능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학생들은 피지컬 컴퓨팅 교구의 다양한 입·출력 장치로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고 프로그래밍을 통해 사물을 제어하였고, 교육용 포트폴리오를 제작을 통해 코딩에서의 문제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등의 전반적인 과정을 경험하였다. 적용된 교육 방법으로는 몰입기반 프로그래밍과 짝 프로그래밍이고, 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 결과, 학생들은 엔트리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잘 이해하였고 엔트리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혼합하여 학습한 것이 엔트리 단독의 코딩학습보다 효과가 더 좋았다는 응답을 하였다. 또한 피지컬 컴퓨팅 교구 학습에서 적용한 짝 프로그래밍의 효과가 좋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