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ckl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65초

실험실 사육에 의한 고막, Anadara granosa bisenensis 치패의 적정 환경요인 및 성장 (Growth and Optimal Environment Factors of Cockle Shell, Anadara granosa bisenensis, Spat in Laboratory Culture)

  • 강경호;박형욱;김재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6권1_2호
    • /
    • pp.25-29
    • /
    • 2000
  • 우리나라 연안역에서 중요한 어업자원의 하나인 고막, Anadara granosa bisenensis의 성장에 관여하는 환경 요인 중 가장 중요한 수온과 염분에 대한 생존범위를 파악하고, 성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막의 서식 수온범위를 3$^{\circ}C$에서 36$^{\circ}C$까지 3$^{\circ}C$간격으로 12개의 실험구에서 24시간동안 조사한 결과, 3-33$^{\circ}C$ 범위 내에서 100%의 생존율을 보인 반면, 36$^{\circ}C$ 실험구에서는 수용 30분 이내에 전량 폐사하였다. 고막의 염분 내성을 염분도 0-100$\textperthousand$까지 10$\textperthousand$ 간격으로 10개의 실험구에서 70시간동안 조사한 결과, 0-50$\textperthousand$ 범위 내에서는 해수로 전환시 100%의 생존율을 보였고, 60-90$\textperthousand$ 범위에서는 5시간 침적 후 해수로 전환시 100% 생존하였으나, 100$\textperthousand$ 구에서는 80%만이 생존하였다. 고막의 월별성장도 조사를 위한 사육수는 자연해수를 이용하였는데, 실험개시시 평균 각장 및 전중이 10.11$\pm$0.E9 mm와 0.40$\pm$0.06 g이던 치패가 실험종료시인 150일 후에는 각각 13.17$\pm$0.98 mm, 0.69$\pm$0.11 g의 성장을 보였다.

  • PDF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수온내성과 생리적 변화 (Temperature Tolerance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 신윤경;문태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51-256
    • /
    • 2005
  • For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acclimated to winter and summer seasons, survival, temperature tolerance and physiological changes at different individual size were investigated for their temperature tolerances by increasing and decreasing temperature at a rate of 1, 2 and $3^{\circ}C/day$. The survival rate of adults and juveniles T. granosa acclimated to winter temperatures began to decrease from $32^{\circ}C$ and all experimental animals died between $37-39^{\circ}C$. In the case of animals acclimated to summer temperatures, the survival rates of adults and juveniles began to decrease from $35^{\circ}C$, and all died at temperatures between $40-44^{\circ}C$. The upper $LT_{50}$ was $27.72^{\circ}C$ for adults and $28.36^{\circ}C$ for juvenil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was decreased from $4^{\circ}C\;to\;0^{\circ}C$ in order to investigate lower temperature tolerances, the survival rate of T. granosa was more than $70\%\;at\;2^{\circ}C$ for 25 days. Lower L T 50 was $2.09^{\circ}C$ for adults and $2.34^{\circ}C$ for juveniles. There was no effective difference in temperature tolerance between adults and juveniles. Filtration and respiration rates of T. granosa showed a similar aspect with increase and decrease of temperature. Filtration and respiration rates exhibited irregular conditions of a broken biological rhythm as the group acclimated to winter $(10 ^{\circ}C)$ and summer $(25^{\circ}C)$. In the case of decreasing temperature, filtration and respiration rates of T. granosa reduced to a minimum below $6^{\circ}C$

여자만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 (Bivalvia: Arcidae)의 생리적변화 및 계절별 에너지수지 (Variation in physiological energetics of blood cockle Scapharca subcrenata (Bivalvia: Arcidae) from Yeoja bay, South coast of Korea)

  • 신윤경;이원찬;김성연;전제천;김응오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5-211
    • /
    • 2011
  • This study presents physiological rates of oxygen consumption, ammonia excretion, feeding rates, O/N ratio and assimilation efficiency of the blood cockle, Scapharca subcrenata, determined from specimens collected in Yeoja bay on the south coast of Korea. Physiolog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monthly under static, laboratory controlled conditions with ambient conditions, an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seasonally in order to estimate scope for growth and its probable sources of variation. Oxygen consumption and ammonia excretion rates have been in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with the highest value of August, 2008. Feeding rate was the highest during April whereas the lowest was during August which is a period of gametogenesis with minimum biomass of phytoplankton around sampling area. Assimilation efficienc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easonally and O/N ratio decreased during July to August. The scope for growth was negative during high temperature months(July to August), reflecting the high temperature and low feeding rate, and had its highest positive values during spring and autumn. Data on the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scope for growth of Scapharca subcrenata obtain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to assess the carrying capacity for blood cockle cultivation.

확률도에 의한 재첩(Corbicula elatior) 각고빈도의 분석 (Analysis of the Shell Height Frequencies on the Fresh-Water Cockle, Corbicula elatior, by Means of Probability Graph)

  • 박승원;이성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43
    • /
    • 1968
  • 낙동강 하구산 재첩 (Corbicula elatior)을 채취구의 찬택성이 다른 이종의 채취구로서 채집하여 표본의 각고류도의 확률도에 따라 각년령군으로 분리하여 성장과 연령조성을 추정하고 연간 평균생잔률을 추산하였다.

  • PDF

명주의 전통 쪽 염색 방법에 관한 연구 (Traditional Dyeing of Natural Indigo on the Silk Fabric)

  • 정인모;김현복;성규병;김영대;홍인표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1-35
    • /
    • 2005
  • 전통 쪽 염료제조 및 염색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통 족 염료 제조에 사용하는 꼬막껍질태운가루의 3 g/l 넣을 경우의 수용액의 pH 12.30 정도이었다. 2. 쪽 풀을 2일간 물에 침지를 하였을 경우가 염료의 K/S 값이 2.49로 가장 높았고, 명도 값이 5.03으로 가장 낮았으므로 색상이 가장 짙었다. 3. 볏짚 잿물과 꼬막 껍질 태운가루 양과의 관계를 염료 염색 상태를 보았을 때 3일째부터 염색이 되어5일 째까지의 염색이 가능 하였다. 4. 발효 온도 별로 꼬막껍질 태운가루의 사용량에 따른 발효 상태를 본 결과는 $30^{\circ}C$에서 발효할 경우 3~4g/l일 경우가 K/S 값이 가장 높았다. 5. 쪽 염료 발효 시 사용한 물엿 양은 20 g/l을 사용한 구가 염색 직물의 K/S값이 가장 높은 3.10이었으며, 염색 온도는 $30$~$50^{\circ}C$에서 비슷하며, 염료의 구성 성분도 인디루빈과 인디고 2개의 색소로 구성되었다. 6. 염료의 색소 및 염색 직물의 항균력은 99.8%로 우수하였고, 색소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소취성은 sodium hydrosulfite(개선)첨가 발효 방법이 높았다.

어패류를 이용한 조미료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1. 패류 자숙액즙의 성분조성- (A Study of Exploiting Raw Material of Seasoning by Using Fish and Shells -1. On Composition of Seasoning Material in Cooking By-product-)

  • 김우준;배태진;최종덕;최지현;안명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9-264
    • /
    • 1994
  • 굴, 키조개, 새조개, 진주담치 등을 가공할때에 부산되는 자숙액을 조미료 자원으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일환으로 정미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공과정에서 생산되는 자숙액은 굴 21,790톤, 키조개 604톤, 진주담치 1,395톤이었다. 2. 일반성분은 수분이 $95.2{\sim}97.4\%$로 높고 단백질이 $1.0{\sim}l.5\%$로 낮았다. 3. 유리아미노산 가운데 taurine이 $40{\sim}56\%$로 가장 많고 glycine이 $10.4{\sim}36\%$, alanine이 $4.8{\sim}8.6\%$, glutamic acid가 $3.1{\sim}5.3\%$로 많았다. 4. 핵산관련물질은 ADP, AMP가 높았다. 5. glycinebetaine은 굴이 139.3mg/100g이었으나 키조개, 진주담치, 새조개는 각각 45.2, 52.1, 66.9mg/100g로 적었다. 6. Total creatinine과 trimethylamine oxide는$30.4{\sim}59.1mg/100g,\;0.8{\sim}47.2mg/100g$로 적었다.

  • PDF

여자만 북서부 꼬막어장의 해양환경 특성. 2. 수질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A Chare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s in a Blood Cockle Farms of the Northwestern Yeoja Bay, Korea 2.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 윤양호;이현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79-592
    • /
    • 2020
  • 여자만 북서해역 꼬막 어장의 수괴(수형), 영양염 등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7년 봄(5월), 여름(8월) 및 가을(11월) 7개 정점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꼬막어장의 수형은 수온과 염분 변화에 따른 계절특성이 명확하였다. 영양염 중 규산염은 연중 풍부였지만, 봄과 여름은 인산염이 결핍되었고, 가을은 질소원이 결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에서 출현종은 매우 단순하였으며, 현존량도 매우 낮았다. 우점종은 연중 규조류에 우점 되어, 봄은 Skeletonema costatum-ls, Nitzschia longissima, 여름은 Pleurosigma normanii, Coscinodiscus gigas, 가을은 N. longissima, Pseudonitzschia pungens, Chaetoceros curvisetus, Eucampia zodiacus가 우점 출현하여, 여름에 편모조류 출현이 낮은 특성을 보였다. 상관분석과 주성분 분석의 결과 여자만 북서해역 꼬막어장의 생물 해양학 특성은 계절에 따라 수질 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많은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육상에서 공급되는 무기 및 유기물질 및 낮은 수심으로 해수혼합에 따른 표층퇴적물의 재부유에 의한 영양염 공급, 그리고 해역자체의 생물생산과 무기화 과정의 균형에 의해 해양환경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생산이 결정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새조개 (Fulvia mutica) 난 발생 및 유생 성장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s on the Larval Development and Spat Growth of the Cockle Shell, Fulvia mutica)

  • 김재민;김상철;허준욱;임상민;김영훈;선승천;강경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2
    • /
    • 2012
  • 새조개의 효율적인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환경요인으로서 수온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정란은 산란유도하여 6개의 수온별 실험구 (14, 17, 20, 23, 26 및 $29^{\circ}C$)에 수용하여 발생과정을 관찰하였다. 유생사육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 (T, $^{\circ}C$) 에 따른 발생속도 (1/h, 시간) 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4-cell : 1/h = 0.0067T-0.0879 ($r^2$ = 0.8760) 8-cell : 1/h = 0.0128T-0.1794 ($r^2$ = 0.7589) M (상실기) : 1/h = 0.0234T-0.3274 ($r^2$ = 0.9587) B (포배기) : 1/h = 0.0306T-0.4276 ($r^2$ = 0.9236) T (담륜자기) : 1/h = 0.0442T-0.6224 ($r^2$ = 0.9121) V (D형유생) : 1/h = 0.0864T-1.2850 ($r^2$ = 0.8586) 유생사육시 수온과 난발생 속도와의 관계에서 추정된 D형 유생까지 난발생의 생물학적 영도 및 적산수온은 평균 $0.1^{\circ}C$$597.3^{\circ}C$였다. D형유생까지 가장 적합한 수온은 $23^{\circ}C$였으며, 발생은 20시간으로 나타났다.

열대성 해초지의 어류군집 I. 종조성 및 양적변동

  • 곽석남;허성회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49-550
    • /
    • 2001
  • 해초생태계는 해양의 생태계 중 가장 생산성이 높은 해역 중의 하나로 최근에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해초는 잘 발달되어 있는 뿌리를 지니고 있으며, 흔히, 온대와 열대의 연안해역에 밀생하여 무성한 해초지 (seagrass meadow)를 형성하고 있다. 본 조사해역인 호주 동북부, Magnetic Island주변에 위치한 Cockle Bay는 많은 종류의 열대성 해초가 연안을 따라서 많이 밀생하고 있어서 생산성이 매우 높고, 자치어를 비롯한 많은 해양생물들이 큰 생물들로부터 보호되고 있으며, 바다거북류 및 듀우공들의 좋은 먹이공급처의 역할을 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