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urban area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5초

우리나라 연안 대형저서동물 시·공간 군집 특성 분석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Coastal area of South Korea)

  • 김영준;임정호;조춘옥;류종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00-117
    • /
    • 2022
  • 본 연구는 지난 6년간(2015-2020) 우리나라 연안의 대형저서동물 관측 개체수를 활용하여 시·공간 군집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주해역을 제외한 우리나라 서, 남, 동해에 위치한 총 154개(서해 70개, 남해 61개, 동해 23개 정점)의 연안생태조사 정점에 대하여 계절별로 각 정점에서의 주요 저서동물의 관측 개체 수 (개체 수/m2)와 퇴적환경을 조사·분석하였다. 정점별로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수심, 퇴적특성, 입도특성, 강열감량 및 총 유기탄소에 대한 저서환경 특성차이를 분석하였다. 총 1,614 종의 대성저서동물이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정점별로 평균 0.62 개체/m2의 밀도를 보였다. 시간적으로는 춘·하계(5, 8월)에 저서생물 개체 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450종 이상의 다양한 종이 우리나라 연안 해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개체 수에서 상위 1% 이상을 차지하는 우점종의 대부분은 환형동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상위 5종이 전체 개체수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5개 우점 종은 각각 고리버들갯지렁이, 긴자락송곳갯지렁이, 투구갯지렁이, 오뚜기갯지렁이, 가는버들갯지렁이로 나타났다. 상위 5개 우점 종에 대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공간적으로 구분이 되는 세 가지 군집을 도출하였다. 각 군집은 총 154개의 정점을 서, 남, 동해 연안에 위치한 정점들을 중심으로 구성이 되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군집별 저서환경 특성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군집 1과 3의 경우, 고리버들갯지렁이의 상대밀도가 각각 44%로 높게 나타났고, 군집 2의 경우는 동해에서 관측 개체수가 많이 발견 된 긴자락송곳갯지렁이의 상대밀도가 66%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군집 1과 3의 경우, 같은 종을 나타내는 군집임에도 불구하고, 모래(31.0%, 51.9%)와 진흙(15.9%, 9.7%) 함유량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경기만 조석 잔차류 산정 및 변동성 (Estimation of Tidal Residual Flow and Its Variability in Kyunggi Bay of Korea)

  • 김창식;임학수;김진아;김선정;박광순;정경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353-360
    • /
    • 2010
  • 경기만은 한강과 임진강 수계의 하구역을 중심으로 황해의 중부해역을 잇는 매우 중요한 해역이다. 특히 경기만 해역의 연안개발로 인한 하구습지와 연안습지의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갯벌과 해저 퇴적체의 변화에 대한 이해와 원인 규명을 위해서는 조석 잔차류의 역할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Kim et al., 2009). 하지만 경기만에서의 조석 잔차류에 대한 정량적 연구는 잘 이루어져 있지 못하며, 연간 변동성에 대한 연구도 흔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만 주수로인 석모수로와 장봉수로에서 1년간 연속 관측한 수층별 조류를 이용하여, 조석 잔차류의 특성과 조류분조의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였다. Kim et al.(2009)이 제안한 이동평균(Moving average) 기법을 이용하여 연간 월별 그리고 수층별 자료로 확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조류조화분해를 실시하여 이동평균 기법의 잔차류 특성과 비교하였으며 계절별 수층별 조류분조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비조석성분인 잔차류 산정에는 이동평균 기법과 조류조화분해법이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나 단주기 변동성 분석에는 이동평균기법이 장점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석모수로의 잔차류는 연간 낙조류 방향이며, 표층에서 20-40 cm/s, 저층에서 10 cm/s 미만으로 분석되었다. 장봉수로에서는 연간 창조류 방향의 잔차류는 표층에서 15-30 cm/s, 저층에서 20 cm/s 안팎으로써 여름철에는 강한 경압형 구조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해저면에 설치된 음파식 유속계 자료의 처리, 조석잔차류의 산정과 경기만 수로에서의 연간 잔차류 수직 구조와 변동성에 대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경기 일대의 물질이동과 퇴적체 변동성 연구에 기본적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프레쉬 킬스 공원 조경설계 (Fresh Kills Park Design, Staten Island, New York)

  • 정욱주;제임스 코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3-108
    • /
    • 2005
  • Fresh Kills is the largest landfill in the world located in the west side of Staten Island, New York. The landfill served as a storage area for New York City's trash for more than 50 years. After years of civilian and political pressure, state and local legislation decided its closure of landfill operation in Fresh Kills in March 2001. Soon after, Department of City Planning announced a Fresh Kills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Landfill to Landscape'. The winning entry was promised to be outline for the redevelopment of the 2,200 acre site which the size of three times Central Park. Forty-eight teams representing more than 200 offices from around world submitted proposals, from which six finalists that mostly led by landscape architects were selected. In December 2001, a jury of architects, landscape architects and city officials unanimously selected Field Operations as the winner. The plan, named Lifescape, visualizes the gradual 20-year transformation of the whole Staten Island into a 'natural lifestyle island' recognizing that Staten Island is home to coastal wetlands that shelter one of the most diverse ecosystems in the New York metropolitan area. It suggested that an ecologically reconstituted Fresh Kills could become the center of integrated parks and greenways system on the island otherwise fragmented. The project will be one of the largest and most ambitious undertakings in the metropolis in years developing a complex web of habitats and parklands on top of mountain of trash. This study tries to achieve two goals: One is to provide general explanations on the project, Lifescape, breaking down to its background, geographical context, design concepts and phased development plan. Another is to introduce the unique and innovative design approaches by Field Operations that are different from a conventional landscape architectural attitude. Since this project was well published through many magazines and newspapers, main focus will be upon aspects that differentiate this project from usual landscape projects. Conceptually Lifescape brought provocative notions on nature/culture relationship and the role of urban park as an active agency rather than just a green rest area. Also this project introduced pioneering graphics like plan collage, diagrammatic plan, phasing diagram and photo montage as vehicles conveying information, imagination and provocation. Witnessing the influence of the project gradually in the field of academic and practice in the States, this study is intended to become a constructive reference to similar landscape projects dealing with large and complex urban context in conjunction with restructure of contemporary city.

MCDM을 이용한 홍수방어대안 우선순위 정립에 관한 연구 (Study of flood prevention alternative priorities using MCDM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 임동화;정순찬;이은경;이재응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3호
    • /
    • pp.169-179
    • /
    • 2017
  • 최근 우리나라는 온난화 현상 및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국지성 호우 발생 빈도가 잦아지고 있다. 특히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심지역이면서 지형적 지리적 여건, 우수배제능력 부족 등으로 인해 내수침수의 위험도가 높은 지역은 국지성 호우에 취약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집중호우에 취약한 장항읍을 시범유역으로 지정하고 대표적인 내수범람 해석모형인 XP-SWMM 모형을 이용한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해당지역에 알맞은 홍수방어 대책 을 수립하기 위해 다기준 의사결정기법(Multi-Criteria Decision Making)을 이용, 다양한 홍수방어 대안을 비교 및 평가하여 최적의 홍수방어대안을 제시하였다. 해당지역의 침수해소를 위해 구조적 침수방지대책(관로 개량, 우수저류지 설치, 우수펌프장 설치)을 선정하였으며, 대상지역을 3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최적대안을 결정하였다. 2차원 내수침수 해석모형인 XP-SWMM을 이용하여 각 대안 설치 시 침수모의를 진행하였으며, 다기준 의사결정기법 Compromise Programming 기법을 이용하여 시범지역에 적합한 최적대안 우선순위를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 장항1지구의 경우 우수펌프장 설치, 장항2지구와 3지구의 경우 우수저류지 설치가 홍수방어를 위한 최적대안으로 선정되었다.

A Study on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for Palkyung of the West Coast and the Islands in Saemankeum Area

  • Huh, Joon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_2호
    • /
    • pp.176-185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clarify meanings of Palkyung(八景) in different regions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prototype of the region's cultural landscape and also to confirm the change process by pointing out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finally,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regions to establish their own identities, so they could be provided against the changes from developments in other a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values and the components of 32 Palkyung in 4 places those are Gogunsan, Wido, Gunsan and Byunsan under Saemankeum area have been analyzed and evaluated from operational point of view to clarify the structure of the landscape concept. Some important differentiation points would be the sunset of the West Sea, sailing boats and the sceneries related to fishing as they are in the West Sea Islands and the coastal regions; and it clearly reflects the local custo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s. Each of Gogunsan, Wido and Gunsan Palkyung has 2 distance views with 4km of visible area while Byunsan Palkyung has only 1; and it is considered that because it is mountain area. Most of the Byunsan Palkyung has close range views except for Seohaenakjo and there are around 4 close range views in other areas. There were 4 landscape dominated influence areas each in Gunsan and Byunsan, which means that there are comparatively more close to middle range views. Moreover, each region contains 2 to 3 views of psychological influence but as mentioned, Byunsan has only 1 view of psychological influenc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and valuable thing to consider the scenic relationship, preservation and reconstruction of Palkyung when planning the project.

Microbe Hunting: A Curious Case of Cryptococcus

  • Bartlett Karen H.;Kidd Sarah;Duncan Colleen;Chow Yat;Bach Paxton;Mak Sunny;MacDougall Laura;Fyfe Murray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9-206
    • /
    • 2005
  • C. neoformans-associated cryptococcosis is primarily a disease of immunocompromised persons, has a world-wide distribution, and is often spread by pigeons in the urban environment. In contrast, C. gattii causes infection in normal hosts, has only been described in tropical and semi-tropical areas of the world, and has a unique niche in river gum Eucalyptus trees. Cryptococcosis is acquired through inhalation of the yeast propagules from the environment. C. gattii has been identified as the cause of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centered on Vancouver Island, British Columbia, Canada. No cases of C. gattii-disease were diagnosed prior to 1999; the current incidence rate is 36 cases per million population. A search was initiated in 2001 to find the ecological niche of this basidiomycetous yeast. C. gattii was found in the environment in treed areas of Vancouver Island. The highest percentage of colonized-tree clusters were found around central Vancouver Island, with decreasing rates of colonization to the north and south. Climate, soil and vegetation cover of this area, called the Coastal Douglas fir biogeoclimatic zone, is unique to British Columbia and Canada.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C. gattii was highest in the dry summer months, and lowest during late fall, winter, and early spring, months which have heavy rainfall. The study of the emerging colonization of this organism and subsequent cases of environmentally acquired disease will be informative in planning public health management of new routes of exposure to exotic agents in areas impacted by changing climate and land use patterns.

강원도 양양군 쌍호, 가평리습지, 궁개호, 염개호의 20세기 경관 변화 (Landscape Changes during the 20th Century of Ssangho, Gapyeongri wetland, Gunggaeho and Yeomgaeho, Yangyang-gun, Gangwon Province)

  • 윤순옥;황상일;박충선;진민경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52
    • /
    • 2010
  • 양양군 오산리 일대에는 쌍호, 가평리습지, 궁개호와 염개호 등 4개의 석호가 높은 밀도로 나타난다. 쌍호는 동해안의 대표 석호군과 함께 해진극상기에 하구부가 익곡되어 현재까지 호수를 유지하고 있으나, 가평리습지와 궁개호, 염개호는 사빈의 제간습지에 형성되었다. 20세기동안 4개 석호는 대체로 축소 및 위치변화 정도가 심한데, 그 원인을 자연적인 요인과 인간의 영향, 그리고 기타 요인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지형발달에 따른 매적단계와 함께 20세기동안 급속하게 진행된 산업화와 개발에 따른 매립, 소규모 석호의 존재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이나 지도 작성시 오류, 그리고 측량기술의 낙후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경관 복원 계획은 석호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진행되어야 하며, 쌍호를 우선적으로 복원하는 것이 권장되며, 인간의 영향이 최소한 미쳤던 1920년대의 지형으로 되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SWMM5와 UNET 모형을 이용한 신항만 저지대 침수분석 - 진해시 용원동 (Inundation Analysis on the Region of Lower Elevation of a New Port by Using SWMM5 and UNET Model - Yongwon-dong, Jinhae-si)

  • 이정민;이상호;강태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42-451
    • /
    • 2008
  •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rainfall-runoff for the channel of Yongwon area made by a new port construction. And we conducted inundation analysis on the region of lower elevation near the coast. SWMM5 was calibrated with the storm produced by the typhoon Megi from August 19 to August 20 in 2004, and was verified with the storm from August 22 to August 22 in 2004. We performed hydraulic channel routing of Yongwon channel about typhoon Megi from August 19 to August 20 in 2004 by UNET model which is a hydraulic channel routing. The simulated runoff hydrographs were added to the new stream as lateral inflow hydrographs and a watershed runoff hydrograph was the upstream boundary condition. The downstream boundary condition data were estimated by the measured stage hydrographs. The maximum stage that was calculated by hydraulic channel routing was higher than the levee of inundated region in typhoon Megi. Thus we can suppose an inundation to have been occurred. We performed inundation analysis about typhoon Megi from August 19 to August 20 in 2004 and flood discharge of return period 10~150 years. And we estimated each inundation area. The inundation areas by return periods of storms were estimated by 3.4~5.7 ha. The causes of inundation are low heights of levee crests (D.L. 2.033~2.583 m), storm surges induced by typhoons and reverse flow through the coastal sewers (D.L. -0.217~0.783 m). A result of this study can apply to establish countermeasure of a flood disaster in Yongwon.

부산지역 오존농도의 시·공간 분포 변화 (Spatial-temporal variations in surface ozone concentrations in Busan metropolitan area)

  • 강윤희;김유근;황미경;정주희;김현수;강민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9-182
    • /
    • 2019
  •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surface ozone concentrations in Busan were investigated by using observation data from urban air quality sites during 2001-2016. The annual ozone concentration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ing trend of $+0.40ppb\;yr^{-1}$ in this period, with a more rapid increase of $+0.81ppb\;yr-1$ since 2010. For the monthly analysis, the increase in ozone concentration was the greatest in August ($+0.68ppb\;yr-1$). These ozone trends were due mainly to rising temperature ($+0.05^{\circ}C\;yr^{-1}$) and weak decreasing precipitation ($-6.42mm\;yr^{-1}$). However, the extreme weather events (heat wave, localized heavy rain, etc.) lead to an increase in short-term variability of ozone since 2010. The relatively low ozone concentrations in the downtown area were caused by high NOx emissions from mobile sources. The increases in ozone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at most of the air quality monitoring sites due to the reductions in anthropogenic emissions of NOx during 2001-2015. However,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lower rates of increase in ozone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by $-0.10{\sim}0.25ppb\;yr^{-1}$ due to the significant NOx emitted by ships in the Busan port and Busan new port.

도심지역 지하철 침수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Evaluation of Subway Flood Inundation in Urban Area)

  • 전근학;서종철;최현구;김지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3-90
    • /
    • 2023
  • 기후변화로 이상강우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매년 폭우로 인한 피해 강도와 규모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폭우의 발생 빈도가 잦아지면서 폭우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이로 인해 도심지역에서는 전에는 없던 큰 침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하천과 해안 인근 지역이 불투수 지역일 경우에 강우강도가 높아질수록 최대 흐름이 급격히 높아지기 때문에 유역특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침수위험도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역사의 침수방지 대책으로 평가요소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여 침수위험도 평가를 분석하였다. 종합적인 평가 지수를 고려한 침수 위험도 평가 과정을 거쳐 과거 침수가 발생한 유동인구 및 교통량이 많은 5개의 도시철도역에 대한 침수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침수위험 등급(1~4등급)을 설정함으로써 위험등급에 맞는 침수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