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ud Physics Observatio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초

구름물리 관측시스템 및 산출물 검정 (Cloud Physics Observation System (CPOS) and Validation of Its Products)

  • 장기호;오성남;정기덕;양하영;이명주;정진임;조요한;김효경;박균명;염성수;차주완
    • 대기
    • /
    • 제17권1호
    • /
    • pp.101-108
    • /
    • 2007
  • To observe and analyze the cloud and fog characteristics, the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METRI) has established the Cloud Physics Observation System (CPOS) by implementing the cloud observation instruments: Forward Scattering Spectrometer Probe (FSSP), PARticle SIze and VELocity (PARSIVEL), Microwave Radiometer (MWR), Micro Rain Radar (MRR), and 3D-AWS at the Daegwallyeong Enhanced Mountain Weather Observation Center. The cloud-related products of CPOS and the validation status for the size distribution of FSSP, the precipitable water of MWR, and the rainfall rate of MRR and PARSIVEL are described.

Measurements of Cloud Raindrop Particles Using the Ground Optical Instruments and Small Doppler Radar at Daegwallyeong Mountain Site

  • Oh, Sung-Nam;Jung, Jae-W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3-306
    • /
    • 2013
  • Hydrometeor type and Drop Size Distribution (DSD) in cloud are the fundamental properties that may help explain the rain formation processes and determine the parameters of radar meteorology. This study presents a preliminary analysis of hydrometeor types and DSD data of cloud measured with a PARSIVEL (PARticle SIze and VELocity) optical disdrometer at the site of Cloud Physics Observation System (CPOS, $37^{\circ}41^{\prime}N$, $128^{\circ}45^{\prime}E$, 843 m from sea level) in Daegwallyeong mountainside of Korea. The method has been validated by comparing the observed rainfall rates with the computed ones from the fitted distribution, using the physical data such as DSD, terminal velocity, and rain intensity which were measured by a Micro-Rain Radar (MRR) and a PARSIVEL optical disdrometer. The analysis period started in three cases: on rainy days with light rain (15.5 mm), moderate rain (76 mm), and heavy rain (121 mm), from March to November 2007, respectively.

대관령 구름물리관측시스템 산출물 평가 및 FSSP를 이용한 시정환산 시험연구 (Intercomparison of Daegwallyeong Cloud Physics Observation System (CPOS) Products and the Visibility Calculation by the FSSP Size Distribution during 2006-2008)

  • 양하영;정진임;장기호;차주완;정재원;김유철;이명주;배진영;강선영;김금란;최영진;최치영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5-73
    • /
    • 2010
  • 구름과 강수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대관령에 구름물리관측시스템(Cloud physics Observation System, 이하 CPOS)을 2003년부터 운영해 오고 있다. 주요 관측 기기는 다음과 같다: FSSP (Forward Scattering Spectrometer Probe), OPC (Optical Particle Counter), VS (Visibility Sensor), PARSIVEL disdrometer, MWR (Microwave Radiometer), MRR (Micro Rain Radar). 앞의 4개 장비는 지상구름 (안개)과 강수 특성을, 뒤의 2개 장비는 연직구름의 특성을 실시간으로 관측하고 있다. CPOS 산출물을 검증하기 위해 FSSP는 흡습성 물질 시딩 실험 중 OPC와, MWR의 가강수량은 라디오존데와, PARSIVEL과 MRR은 우량계와 비교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 결과를 보면 대부분이 0.7이상의 좋은 상관도를 보인다. 이와 같이 신뢰도를 확보한 CPOS 관측 자료는 구름과 에어로솔의 간접효과나 기상조절 실험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SSP의 입자 크기 분포를 시정값으로 환산해 보았으며 FSSP 환산 시정값은 visibility sensors (SVS)와 PWD22 (Present Weather Detect 22)의 시정계 값에 비해 1.7~1.9배 과도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FSSP에 의해 관측되는 입자 크기($2{\sim}47\;{\mu}m$)의 한계 때문으로 사료된다. 향후 다른 입자크기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도입하여 추가 분석을 추진할 계획이다.

보성 표준기상관측소자료를 활용한 국지예보모델 대기경계층 유형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Type in the 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using the Data of Boseong Standard Weather Observatory)

  • 황성은;김병택;이영태;신승숙;김기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04-513
    • /
    • 2021
  • 대한민국 기상청에서 사용하고 있는 UM (Unified Model, UM) 모델의 국지예측시스템(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LDAPS)은 수치모델 모의 시 대기경계층 유형에 따라 물리과정을 다르게 계산하기 때문에 이 과정을 검증하는 것은 모델의 정확도 향상에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모델의 대기경계층 유형을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검증하였다.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대기경계층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서 보성 표준기상관측소에서 수행한 여름철 집중관측자료(라디오존데, 플럭스관측장비, 도플러 라이다, 운고계)를 활용하였으며, 2019년 6월 18일 부터 8월 17일 까지 61일 동안에 총 201회의 관측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관측자료와 수치모델 결과가 다른 경우를 보면,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한 대기경계층 유형 분류 결과에서 2유형으로 분류되는 사례가 수치모델에서는 1유형으로 분류된 사례가 53회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한 대기경계층 유형 분류 결과에서 5유형과 6유형으로 분류되는 사례가 수치모델에서는 3유형으로 분류된 사례가 많이 나타났다(각각 24회, 15회). 관측결과와 수치모델 모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은 사례는 모두 층적운 접합 여부 및 적운 모의 등 수치모델의 구름물리 부분의 모의 성능에 기인하여 발생한 것이라고 분석된다. 따라서, 대기경계층 유형 분류의 구름물리과정의 모의 정확도를 개선하면 수치모델 성능이 향상 될 것으로 판단된다.

Small scale Structure of Galactic Molecular Clouds toward Continuum Sources by KVN

  • Han, Junghwan;Yun, Young Joo;Park, Yong-Sun
    • 천문학회보
    • /
    • 제39권2호
    • /
    • pp.82-82
    • /
    • 2014
  • One of the subjects in clouds' structure and development is small scale structure of interstellar cloud. The possibility of AU scale structure (Marscher et al. 1993; Moore & Marscher 1995; Roy et al. 2012) is discussed, and this small scale structure is considered as the result of hydrogen volume density (Moore & Marscher 1995), or small-scale chemical and other inhomogeneities (Liszt & Lucas 2000). In order to study this subject with emission line, extremely high resolution is mandatory by VLBI system. However, the alternative method could be observing the absorption line of interstellar cloud on the continuum object. In this case, the resolution would be restricted to the size of the continuum object, if the size of the object is smaller than the resolution of a used telescope. We observed the previous researchers' three objects (BLLAC, NRAO150, B0528+138), whose spectrums are changed from 1993 to 1998 (Liszt & Lucas 2000), with KVN. Through KVN observation, we found the changes of optical depth spectrum compared with the previous spectrums. We will discuss the optical depth spectrum variation by time variation and the meaning of it.

  • PDF

A BRIGHT RIM OF SOLAR FILAMENT OBSERVED BY USING FISS

  • 양희수;채종철;송동욱
    • 천문학회보
    • /
    • 제36권1호
    • /
    • pp.38.1-38.1
    • /
    • 2011
  • Bright rims are one of the most unknown part of a filament nowadays. Many models tried to explain the environments, but there is no commonly acceptable model. Many survey observations have been performed to fi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bright rim statistically, but there was only one spectroscopic observation to understand phenomena of the bright rim. We observed a bright rim on June 25, 2010 using FISS installed in NST, Big Bear Solar observatory. FISS can obtain a couple of wavebands data simultaneously with short time cadence and fine resolution(~ 0.1", expected) with Adaptive Optics. By applying the cloud model, we found source function, optical thickness, temperature and non-thermal velocity of the region from the spectra of Ha and CaII 8542 lines. We discuss the physical implication of these measurements on the nature of bright rims of fila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