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thing behaviors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27초

글로벌 마케팅을 위한 미국과 한국, 중국 소비자들의 니트웨어 구매 패턴 연구 (A Cross-Cultural Research of Knitwear Purchasing Behavior of U.S.,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 이옥희;강영의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3호
    • /
    • pp.394-404
    • /
    • 200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knitwear purchasing behavi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U.S., Korea, and China. It was developed questionnaire that included knitwear purchasing behavior that is fashion information sources, evaluation criteria of knitwear products, store attributes of knitwear, knitwear buying places, and purchasing experience of foreign-made knitwear. The final sampl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119 female college students in U.S., 150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217 female college students in China. Aged from 18 to 33. ANOVA, factor analysi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requency, and percentage as analysis method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preference of knitwear among the respondents was shown highly. This result is due to a world-wide trend of casual clothing, and is to prove, that knitwear is that made with flexibility, drape, and stretch, is the item that is able to satisfy consumer's desires. Knitwear preference of knitwear the U.S. respondents was shown highly, and buying intention of them was also high, not only for sweaters and t-shirts but for pants, skirts, jackets, coats, and dresses as well. Knitwear information the U.S. respondents considered important, was not only purchasing experience but also shop display and magazine advertisements. By evaluating criteria of knitwear, the U.S. respondents considered good fit, design, color, and comfort important, and they didn't consider the country of origin important. By store attributes of knitwear, the U.S. respondents specially considered the display, variety, price level, and sale frequency of merchandise. The respondents of China was shown higher than them of Korea in the intention of all items. Knitwear information the China respondents considered important, was not only purchasing experience but also shop advertisements of Newspaper and magazine and fashion articles in Newspaper and magazine. By evaluating criteria of knitwear, the China respondents considered good fit, design, color, and comfort important, and they considered fiber content and the country of origin higher than the respondents of U.S. By Store attributes of knitwear, the China respondents specially considered product knowledge and friendliness of sales personnel, Layaway payment plan, Brand names, New Fashion, and Dressing Facilities higher than the respondents of U.S. or Korea.

  • PDF

생활한복 이미지를 활용한 캐주얼웨어 디자인 개발 (A Study on the Casual Wear Design based on the Image of the Modernized Korean Costume)

  • 박영선
    • 복식
    • /
    • 제55권1호
    • /
    • pp.25-42
    • /
    • 2005
  • Costume is a formative art expressed by active human unlike the field of other living formativeness, and an expression of social actions based on a style of culture in a period. Therefore, costume has a deep connection with a mode of living and is recognized as a 'culture for living', and is more characteristic culture than all metaphysical cultures including architecture, craft, painting, and sculpture. Therefore, it expresses wearer's status or social standing, and furthermore, ideas and values of the times with aesthetic features in their form, color, materials, and pattern, so it is expressed as a mirror reflecting the phases of the times as. Korean costume had been dressed until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ithout a great change and started to be simplified in a simple style on the grounds of inconvenience in behaviors with the opening of an interchange of Western culture in the civilized period. And, this movement had been continued and Korean costume had been applied as an everyday dress under the name of 'Reformed Korean Costume'. Since the middle phase of 1980s, it aroused many people's interests with the introduction of designs focused on activity and convenience. In 1990's, many people had taken a growing interest in Korean costume with development of various designs keeping pace with the internationalization period and Korean Costume had been revitalized under the name of 'The Modernized Korean Costume'. And, since the 21st century, the advanced communication and full-scaled import of Western fashion have made the introduction of many fashion information in the world into Korea, affected greatly the fashion market, led consumers' sensitivity on a trend to be increased. Therefore, a design accepting a trend 'The Modernized Korean Costume' with fashions has risen. Second,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uggest a revitalization method of domestic casual Korean costume brands by developing and suggesting competitive and highly value-added products with connection of practicality, variety, and highly sensitive fashion styles. For theoretical study,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academic journals, professional monthly magazines, and newspapers were examined. And, a process of change and features of the Korean fashion since the civilization period, and concept, features and images of casual Korean costume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analyzing image, features, and consumers' preference of the modernized Korean costume, a design development plan was established and 10 suits of costume were designed and made.

우리나라 20대 소비자의 명품 및 명품모방품 소비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Korean 20's Consuming Behaviors in Luxuries and Imitations)

  • 고인곤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2호
    • /
    • pp.77-84
    • /
    • 2015
  • 최근의 조사에 의하면 명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특히 2,30대의 젊은 소비자들은 강한 명품소유 욕구를 가지고 있어 본 연구는 20대의 소비성향에 대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들 소비자를 대표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명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경험, 주로 구매하는 품목, 월 용돈수준 등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명품모방품에 대해서도 구매경험과 주 구매품목, 구매이유를 살펴봄으로써 명품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소비자들은 사회비교추구성향을 보이는데, 특히 젊은 세대는 상대적으로 통제감이나 자기효능감이 강하지 못하므로 주변의 분위기에 휩쓸린 과시소비에 쉽게 빠져들 가능성이 높아 명품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 있다. 또한 실증 조사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은 명품을 품질이 우수하거나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랜드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남학생은 품질이 우수한 브랜드를, 여학생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랜드를 명품브랜드의 특성으로 꼽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별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아울러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명품브랜드를 구입한 경험이 있는데, 월 용돈이 많을수록 구입경험도 많았다. 응답자들이 구입한 품목은 패션용품, 의류, 시계/보석, 화장품/향수 등의 순이었고, 성별 및 용돈수준별로도 주요 구입품목이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명품모방품의 구입경험자는 많지 않았으며, 주로 구입한 품목은 패션용품이었고 구입이유로는 가격대비 품질 및 경제적인 이유를 가장 많이 들고 있었다. 비교적 높은 용돈수준의 응답자들이 명품모방품 구입경험이 높은 점은 흥미롭다.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서 명품 및 모방품의 구매의도가 높았다. 학년별 명품 및 명품모방품의 구매의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용돈에서는 흥미로운 점이 발견되었다. 즉, 명품의 구매의도는 용돈이 높을수록 증가하고 명품모방품의 경우는 그 반대였지만 특정 용돈수준에서는 높아서 비선형적(non-linear)인 트랜드를 보였다. 이는 명품모방품 구입경험 조사결과와도 맥락을 같이 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명품의 마케팅전략 수립에 있어서 여러 가지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PDF

소프트 로봇용 4D 프린팅 소재 (4D Printing Materials for Soft Robots)

  • 이선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67-685
    • /
    • 2022
  • 본 원고는 소프트 로봇용 4D 프린팅 소재와 어그제틱 구조체에 대한 연구 동향을 정리한 것이다. 먼저 4D 프린팅 소재의 형상 변화 거동을 형상 변화와 형상기억 소재, 이중, 삼중, 다중 형상기억 효과, 접힘과 굽힘, 표면지형별로 구분하여 알아보았다. 형상 변화와 형상기억 소재 등 열이나 수분의 자극에 가역적/비가역적 혹은 규칙적/불규칙적 형상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원별 형상이동 유형에 따른 특성과 물성에 대해 알아본 바, 1차원에서 다차원으로의 형상이동을 1D-1D 팽창/수축, 1D-2D 접힘/굽힘, 1D-3D 접힘 (1D-to-3D folding)으로 구분할 수 있다. 2차원에서 형상이동은 2D-2D 굽힙, 2D3D 굽힘/접힘/꼬임/표면말림/표면지형변화/굽힘과 꼬임, 3차원에서 다차원으로의 형상이동은 3D-3D 굽힙과 3D-3D 선형/비선형 거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4D 프린팅 메타구조체 중 힌지 구조체를 적용한 KinetiX는 단일단위 터셀레이션과 다중단위 터셀레이션으로 모델링할 수 있고, 평면 및 공간 변환이 용이하고, 컨포머블 헬멧에 적용할 수 있다. 키리가미 구조체를 기본으로 한 공압형 어그제틱 구조체는 역설계 기반 구조체로써 굽힘각도를 제어하는 알고리즘으로 설계할 수 있다. 설계 후 3D 프린팅하여 TPU 멤브레인으로 프로토 타입을 제조하였고, 압력을 낮추면서 원하는 3차원 형상으로 완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온도나 습도 등의 외부자극요소에 따라 형상이나 물성을 변화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변형가능한 3차원 구조체로 성형한 4D 프린팅 소재를 이용하여 상지, 하지, 손, 발 등 소프트 로봇의 외골격(exoskeleton) 소재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자세제어, 상황인식, 동작신호 생성 등 다양한 환경에 대응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에 고하중, 고기동성, 운동지속성을 지원하는 기능을 갖는 소프트 로봇용 4D 프린팅 소재는 헬스케어 웨어러블 의류 제품화 개발로의 용도 전개가 가능할 것이다. 특히 4D 프린팅 소프트 소재 및 공정개발 분야는 일상 생할 보조용이나 재활치료용 의류를 개발하기 위한 3D 프린팅 소재 및 공정의 원천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와 관련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