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stridium difficile enterocoliti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Refractory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Cured With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in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Colonized Patient

  • Jang, Mi-Ok;An, Jun Hwan;Jung, Sook-In;Park, Kyung-Hwa
    • Intestinal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80-84
    • /
    • 2015
  • The rates and severity of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s, including pseudomembranous colitis, have increased markedly. However, there are few effective treatments for refractory or recurrent C. difficile infections and the outcomes are poor.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accepted as an effective and safe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recurrent disease, likely due to the restoration of a disrupted microbiome. Cure rates of >90% are being consistently reported from multiple centers. We cured a case of severe refractory C. difficile infection with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in a patient colonized by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소아 Clostridium Difficile 장염과 관련된 항생제에 대한 연구 (Clostridium Difficile Colitis in Childhood: Associated Antibiotics)

  • 김병찬;양혜란;정수진;이경훈;김정은;고재성;김의종;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5권2호
    • /
    • pp.143-149
    • /
    • 2002
  • 목 적: 최근 항생제 사용의 증가로 소아에서 C. difficile 장염의 빈도도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소아에서 C. difficile 장염과 항생제와의 관련성에 대한 체계적인 보고는 아직 없기에 저자들은 우리나라 소아에서 C. difficile의 장염과 항생제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C. difficile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이번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02년 6월 30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을 내원한 소아 환자 중, 설사가 있으면서 대변 배양에서 C. difficile이 나온 85례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환자의 의무 기록지를 참고하여 항생제 사용 유무, 사용하였던 항생제의 종류, 항생제 사용 시작 시점과 C. difficile 대변 배양 검사와의 기간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환아는 남아가 50례 여아가 35례로 남녀비는 1.4 : 1이었고, 평균 연령은 2.5세이었다. 결 과: 1) 대상 환아는 남아가 50례 여아가 35례로 남녀비는 1.4 : 1 이었고, 평균 연령은 2.5세이었다. 2) 항생제 투여 여부가 불확실한 환아 3명을 제외한 82명의 환아 중, 3달 이내에 항생제를 투여받은 환아가 55명(67%)이었고, 항생제 투여를 받지 않은 환아가 27명(33%)이었다. 3) 대변배양검사를 할 때 항생제를 쓰고 있었던 경우는 43명(78%)이었고, 항생제를 끊고 난 후였던 경우도 12명(22%)이나 되었다. 4) 항생제를 쓰고 있었던 환아 43명 중, 항생제를 처음 투여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균 배양까지 걸린 기간은 1일 미만이 5명(12%), 1일 이상 3일 미만이 9명(21%), 3일 이상 1주 미만이 10명(23%), 1주 이상 2주 미만이 10명(23%), 2주 이상 3주 미만이 6명(14%), 4주 이상 5주 미만이 1명, 6주 이상 7주 미만이 7명이었다. 1명은 방광요관 역류가 있어 10개월 전부터 예방적 항생제를 복용하고 있었다. 5) 대변배양검사 당시 항생제를 이미 끊었던 12명의 환아 중, 항생제를 끊은 뒤 대변배양검사까지 기간은 1일에서 3일 사이가 2명, 3일에서 1주일 사이가 3명, 1주에서 2주 사이가 5명이었고, 4주에서 5주 사이가 1명, 7주에서 8주 사이가 1명이었다. 6) 24명(44%)은 1가지 항생제를 투여 받았고, 31명(56%)은 2가지 이상의 항생제를 투여 받았다. 7) 사용된 항생제는 cefotaxime이 20례로 가장 많았고, amikacin 15례, ampicillin 13례, cefazolin, vancomycin 각각 8례 순이었다. 결 론: 특히 어린 연령 층의 소아 설사 환자에서 항생제 사용 중이거나, 최근 항생제 사용력이 있었던 경우 C. difficile 장염을 의심하는 것이 빠른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국내 요양병원의 감염병 입원환자 실태 분석 (Status of Infectious Disease Inpatients at Long-Term Care Hospitals in Korea)

  • 방찌야;이한주;손예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34-14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요양병원에 입원한 감염병 환자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국내 요양병원에 입원한 감염병 환자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798개의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14개 감염병에 대해 2016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2년 동안 지속적으로 운영된 요양병원에 입원한 감염병 환자수, 내원일수, 총 진료비 현황을 조사하였다. 2016년에 비해 2017년에 감염병 환자수, 내원일수, 총 진료비는 증가하였고, 요양병원에 많은 감염병은 클로스트리듐디피실리에 의한 장결장염, 인플루엔자, 옴이었다. 또한 연도별로 감염병이 발생한 요양병원 수를 확인한 결과, 인플루엔자, 클로스트리듐디피실리에 의한 장결장염, 카바페넴계내성 감염증이 발생한 병원이 2016년에 비해 2017년 증가하였다. 병상수에 따른 환자수는 150병상 이상 300병상 미만인 군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요양병원에 많이 발생하는 클로스트리듐디피실리에 의한 장결장염, 인플루엔자, 옴에 대한 관리방안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해당 질병에 대한 감염관리방법과 교육 등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300병상 미만 요양병원에서의 감염관리를 위해 요양병원에 적용 가능한 감염감시기준을 마련하고, 감염관련시설 및 인력 확충을 지원하는 등 감염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Acute Bacterial Enterocolitis in Children

  • Chun, Peter;Lim, Taek Jin;Hwang, Eun Ha;Mun, Sang Wook;Lee, Yeoun Joo;Park, Jae Ho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0권2호
    • /
    • pp.107-11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clarified the bacterial pathogens currently causing acute infectious enterocolitis (AIE) in children and evalu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ultrasonographic findings according to the different pathogens. Methods: Medical records regarding age, sex, clinical symptoms, laboratory data, identified enteropathogens, ultrasonographic findings, treatment, and outcome of 3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IE via stool examination using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or culture,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Twenty-four patients (70.6%) were male.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8.5{\pm}6.2$ (range, 1.1-17.1) years. Six bacterial pathogens were isolated: Salmonella species (spp.) (32.4%), Campylobacter spp. (20.6%), vero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14.7%), Staphylococcus aureus (11.8%), Clostridium difficile (8.8%), and Shigella spp. (2.9%). Abdominal pain occurred in all patients regardless of pathogen. The patients infected with Salmonella were older than those infected with verotoxin-producing E. coli (p<0.05). C-reactive protein levels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Salmonella and Campylobacter infections than in those with verotoxin-producing E. coli infection (p< 0.05), the other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were indistinguishable between pathogens. Ultrasonography demonstrated diverse involvement of bowel segments according to pathogen. Wall thickening of both the ileum and the entire colon was the most common lesion site regardless of pathogen. Conclusion: Various bacterial agents cause AIE and the symptoms are diverse symptoms, however, all most children recovered spontaneously. Use of multiplex PCR on stool samples warrants improvement of its sensitivity for diagnosis of enteropathogenic bacteria.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is useful for diagnosis of AIE; it can also detect the disease extent and seve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