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eyera japonic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비쭈기 나무(Cleyera japonica)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leyera japonica Extract)

  • 안정좌;황태영;김현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3-157
    • /
    • 2015
  • 본 연구에서 비쭈기 나무의 잎 부분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소재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비쭈기 나무 잎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비쭈기 나무 추출물 처리 시 항산화(IC50, 22.90 ㎎/L) 및 항균활성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그람양성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았다. 또한, 비쭈기 나무 추출물 처리시 tyrosinase 활성저해 및 멜라닌 함량 저하(IC50, 101.90 ㎎/L)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비쭈기 나무 추출물은 피부미백 소재 등 피부개선 효과를 비롯한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비쭈기나무의 이름 유래와 문헌상 기재 그리고 이용 및 번식 (The Derivation of the "Bizooki" tree in the literature, the Uses and Propagation of Cleyera japonica Thunberg)

  • 서병기;변광옥;손석규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91-97
    • /
    • 2007
  • The Korean name "Bizooki" tree was named by the shape of winter bud which is like a slim bow. There are four scientific names in the tree which are Cleyera japonica Thunberg, Cleyera ochnacea DC, Sakakia ochnacea Nakai, and Ternstroemia gymnanthera. And the English name are Japanese Ternstroemia and Japanese Cleyera. "Bizooki" tree has planted at Buddhist temples in Japan for the ritual. The best result of stem cutting in "Bizooki" tree, 100 percent of rooting, could be accomplished in July when cuttings were done on the mixture-soil containing the same rates by volume of vermiculite, peatmoss and perlite with cuts processed with IBA 1,000 mg/l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70% of shade, plastic mulching, and mist were conditioned.

  • PDF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Korean Indigenous Plant Extracts by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Kim, Young-Leem;Min, Hye-Young;Park, Eun-Jung;Lee, Yong-Sup;Jin, Chang-Bae;Lee, Sang-Koo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9권2호
    • /
    • pp.80-82
    • /
    • 2003
  • Since reactive oxygen radicals play an important role in carcinogenesis and other human diseases including neurodegenerative states, antioxidants present in natural products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for alleviation of these disease states. Therefore, in order io identify antioxidants in plant extracts, fifty-seven methanolic extracts derided from indigenous Korean plants were primarily assessed for potential to scavenge stabl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s. As a result, nine plant extracts were found to exhibit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criteria of $IC_{50}<40\;{\mu}g/ml$. In particular, the extracts of Melioma oldhami $(IC_{50}=0.1\;{\mu}g/ml)$, Myrica rubra $(IC_{50}=16.2\;{\mu}g/ml)$, Sympolocos paniculata $(IC_{50}=23.0\;{\mu}g/ml)$, Carpinus laxiflora $(IC_{50}=25.1\;{\mu}g/ml)$, and Cleyera japonica $(IC_{50}=26.2\;{\mu}g/ml)$ showed a pot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urther study for the identification of active compounds from these lead extracts might be warranted.

국내산 식물체 추출물의 여섯 가지 주요 식물병원권에 대한 살균활성 (Fungicidal Activity of Domestic Plant Extracts against Six Major Phytopathogenic Fungi)

  • 박일권;이상길;박지두;신상철;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3-91
    • /
    • 2003
  • 118 종 국내산 식물체의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기주식물상의 온실실험조건에서 6 종의 주요 식물병원균에 대해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살균효과는 식물의 종류 및 채집부위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118 종 207 샘플을 2,000ppm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두 종 이상의 병원균에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 낸 식물체는 측백나무 잎, 육계나무 잎, 비목나무 수피 및 잎, 잣나무 목부, 헛개나무 목부, 모감주나무 수피, 때죽나무 목부, 동백나무 잎, 그리고 빗죽이나무 잎이었다. 특히 헛개나무 목부 추출물은 여러 식물병원 균에 대하여 강함 살균효과를 나타내어 방제에 크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Assessment of β-Lactamase Inhibitor Potential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Antibiotic-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Dawan, Jirapat;Ahn, Juhe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78-585
    • /
    • 202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using medicinal plant extracts as β-lactamase inhibitors to control antibiotic-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The susceptibilities of S. aureus ATCC 15564 (SAWT), ciprofloxacininduced S. aureus ATCC 15564 (SACIP), oxacillin-induced S. aureus ATCC 15564 (SAOXA), and clinically-isolated S. aureus CCARM 3008 (SACLI) to ampicillin were determined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medicinal plant extracts, including Cleyera japonica (CJ), Carpinus laxiflora (CL), Euphorbia helioscopia (EH), Euscaphis japonica (EJ), Oenothera erythrosepala (OE), and Rosa multiflora (RM). The phenotypic change in the clear inhibition zones around ampicillin disc was observed for SAWT, SACIP, and SAOXA, indicating the production of ampicillinase. Compared to the controls, the MICs of ampicillin against SAWT, SACIP, and SAOXA were decreased from 4 to 0.5 ㎍/mL in the presence of CL, 16 to 4 ㎍/mL in the presence of RM, and 32 to 2 ㎍/mL in the presence of CL, EH, and RM, respectively. The medicinal plant extracts, OE, EJ, and CL, effectively inhibited the β-lactamase activities of SAWT (78%), SACIP (57%), and SAOXA (76%)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medicinal plant extracts can be used as BLIs to control the antibiotic-resistant S. aureus.

Preliminary screening to asses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of evergreen woody species from South Korea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 Jang, Bo Kook;Chi, Lai Won;Cho, Ju Sung;Lee, Cheol He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90-99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screen for plants with antimicrobial potential among the evergreen woody species of South Korea that are used for horticulture and landscaping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plants with proven antimicrobial activity to underpin future research. The plant materials were extracted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were evaluated by agar diffusion assay. The screening tests demonstrated that the crude extracts of 43 species had inhibitory effects against S. aureus.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four species (Elaeocarpus sylvestris, Camellia japonica, Cleyera japonica, and Quercus salicina)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synthetic antimicrobial agents methylparaben and phenoxyethanol.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was observed with the leaf extracts (extracted with methanol for 30 minutes) of E. sylvestris, based on induction of the largest inhibition zone of 23.3 mm in size. In addition, solvent fractions of E. sylvestris were evaluated. The largest inhibitory zone of 23.1 mm was observed for the n-butanol fraction, which is likely to contain effective compounds that exhibi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S. aureus. In contrast, n-hexane and residual aqueous fractions showed no antimicrobial activity. Overall, our findings confirm that evergreen woody plants native to South Korea have potential antimicrobial activity.

제주도 자생 차나무과 식물의 ACE, APN, $\alpha$-amylase 저해 활성 및 항산화활성에 대한 연구 (Antioxidative activity, including Inhibitory activities of ACE, APN and $\alpha$-amylase, in Theaceae Plants Native to Jeju Island)

  • 오순자;이진호;고광섭;신동범;고석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06-414
    • /
    • 2010
  • 본 연구는 제주도에 자생하는 차나무과 식물을 대상으로 식품소재 또는 생약으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저해활성, aminopeptidase N(APN) 저해활성 및 $\alpha$-amylase 저해활성을 조사하고, 항산화활성을 검색하고 T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CE 저해활성은 후피향나무(수피)와 비쭈기나무(잎)에서 50% 이상의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APN 저해활성은 비쭈기나무(잎과 수피)와 후피향나무(수피)에서만 양의 활성을 보였다.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동백나무(열매), 우묵사스레피나무(수피), 후피향나무(수피)와 차나무(줄기)에서 30% 이상의 저해활성을 보였다. 항산화활성은 비쭈기나무(수피), 후피향나무(수피), 차나무(잎)에서 30% 이상의 다소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비쭈기나무(수피)는 dot-blot test에 의해 다른 종에 비해 활성이 높아 $1.25\;{\mu}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TLC 분석에 의해 비쭈기나무(수피)에서 EGC(Rf 0.26) 활성이 높았으며, 비쭈기나무, 우묵사스레피나무, 후피향나무의 수피에서 EGCG(Rf 0.09) 활성이 높게 검출되었다. 그리고, 표준 catechin류와는 다른 것으로 보이는 5개의 밴드(Rf 0.54, 0.46, 0.44, 0.16, 0.03)는 Folin-Ciocalteu Reagent 방법과 Ferric chloride-alcohol 방법을 이용하여 polyphenol류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사스레피나무를 제외한 차나무과 식물들은 생리활성이 높아 식품 소재 또는 생약으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활성성분의 분리 및 동정 그리고 이들 물질을 이용한 임상실험 등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자생 식물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항균성 스크리닝 (Screening of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local some native plants)

  • 김현수;안정좌;최태호;황태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93-599
    • /
    • 2014
  •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가진 천연물을 활용해 합성보존료를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국내 자생 식물 중 135종을 대상으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중 항산화 활성이 10%대로 낮게 나타난 식물 8종에 대해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0.41~94.84%로 다양하였으며, 가장 효과가 좋은 식물은 꽃향유와 우엉으로 각각 94.84, 80.55%를 나타내었다. 우엉은 잎의 경우 26.87, 뿌리 19.29%의 활성을 나타내 동일 식물이라도 추출부위에 따라 활성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선이질풀과 비쭈기나무는 각각 그람양성균인 B. subtilis, 그람음성균인 E. coli 및 Candida속인 C. albicans에 대해 2.2~10.8 mm 수준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식물에 대한 다양한 추출법을 적용하여 기능성을 확인하고 이들 항산화성 물질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