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learfil SE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MARGINAL MICROLEAKAGE OF SELF-ETCHING PRIMER ADHESIVES AND A SELF-ETCHING ADHESIVE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와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변연 미세누출)

  • Cho, Young-Gon;Cho, Kong-Chul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7 no.5
    • /
    • pp.493-501
    • /
    • 2002
  • This study evaluated the microleakage performance of four self-etcing primer adhesives(Clearfil SE Bond, Clearfil Liner Bond 2, UniFil Bond, and FL Bond) and one self-etching adhesive(Prompt L-Pop). Class V cavity preparations with occlusal margins in enamel and gingival margins in dentin were prepared on both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50 extracted human molar teeth. Prepared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restored using one of five adhesives and composite resins: Prompt L-Pop/Filtek Z 250(Group 1), Clearfil SE Bond/Clearfil AP-X(Group 2), Clearfil Liner Bond 2/Clearfil AP-X(Group 3), UniFil Bond/UniFil F(Group 4), and FL Bond/Filtek Z 250(Group 5). Following one day storage in room temperature water, the restored teeth were thermocycled for 500 cycles between 5$^{\circ}C$ and 55$^{\circ}C$. Marginal microleakage was assessed by dye penetration using 2% methylene blue dye. After 24 hours, the teeth were sectioned longitudinally and evaluated for microleakage under steromicroscop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sed by Kruskal-Wallis Test, Mann-Whitney and Wilcoxon signed ranked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icroleakges at both enamel and dentinal mal$.$gins were the lowest in group 4. increasing among groups in the following order: group 2, follwed by group 5, follwed by group 1, and the highest in group 3. 2. At the enamel margins, the microleakage of group 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s 2. 4 and 5(p<0.05), and also the microleakage of group 1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groups 2 and 5(p<0.05). 3. At the dentinal margins, microleakage of group 3 was signincantly higher than microleakages of groups 1, 2, 4 and 5(p<0.05). 4. Compared with microleakages between the enamel and dentinal margins of each group, groups 1, 4 and 5 at enamel margin and group 2 and group 3 at dentinal margin were higher microleak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namel and dentinal microleakages of each group(p>0.05).

THE EFFECT OF Er,Cr:YSGG IRRADIATION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Er,Cr:YSGG 조사가 복합레진 수복의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 Son, Jeong-Hye;Kim, Hyeon-Cheol;Hur, Bock;Park, Jeong-Kil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5 no.2
    • /
    • pp.134-14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Er,Cr:YSGG laser irradiation with hypersensitivity mode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wenty extracted permanent molars were randomly assigned to six groups, according to the irradiation of Er,Cr:YSGG laser, adhesive system (Optibond FL or Clearfil SE bond) and application time of etchant (15 sec or 20 sec). Then composite resin was build up on each conditioned surface. The restored teeth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at room temperature for 24 h and twelve specimens for each group were prepared. All specimens were subjected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and the fracture modes were evaluated. Also, the prepared dentin surface and laser irradiated dentin surface were examined under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laser irradiated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no laser irradiated group. 2. Regardless of laser irradiati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Optibond FL was higher than that of Clearfil SE bond. And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20 sec etch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15 sec etching group when using Optibond FL. 3. The SEM image of laser irradiated dentin surface showed prominent peritubular dentin, opened dentinal tubules and no smear layer.

COMPATIBILITY OF SELF-ETCHING DENTIN ADHESIVES WITH RESIN LUTING CEMENTS (자가부식형 상아질접착제와 레진시멘트와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Kim, Do-Wan;Park, Sang-Jin;Choi, Kyoung-Kyu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0 no.6
    • /
    • pp.493-504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patibility between 4 dentin adhesives and 4 resin luting cements. Dentin adhesives used in this study were All-Bond 2 (Bisco Inc., Schaumbrug, IL, USA), Clearfil SE-Bond (Kuraray Medical Inc, Osaka, Japan), Prompt L-Pop (3M Dental Products, St. Paul, MN, USA), One-Up Bond F (Tokuyama corp., Tokyo, Japan) Resin luting ce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Choice (Bisco Inc., Schaumbrug, IL, USA), Panavia F (Kuraray Medical Inc, Osaka, Japan), RelyX ARC (3M Dental Products, St. Paul, MN, USA) Bistite II DC (Tokuyama corp., Tokyo, Japan). Combination of each dentin adhesive and corresponding resin cement was made to 16 experimental groups. Flat dentin surfaces was created on mid-coronal dentin of extr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then dentin surface was polished with 320-grit silicon carbide abrasive papers. Indirect resin composite block (Tescera, Bisco) was fabricated. Its surface for bonding to tooth was polished with silicon carbide abrasive papers Each dentin adhesive was treated on tooth surface and resin composite overlay were luted with each resin cement. Each bonded specimen was poured in epoxy resin and sectioned occluso-gingivally into 1.0mm thick slab, then further sectioned into $1.0{\times}1.0mm^2$ composite-dentin beams. Microtensile bond strength was tested at a crosshead speed of 1.0mm/min. The data were analysed by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2-step self-etching dentin adhesive which has additional bonding resin is more comparison than tests. self-etching dentin adhesive.

Dentin bond strength of bonding agents cured with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DIODE로 광조사한 상아질 접착제의 상아질 전단접착강도와 중합률에 관한 연구)

  • Kim Sun-Young;Lee In-Bog;Cho Byeong-Hoon;Son Ho-Hyun;Kim Mi-Ja;Seok Chang-In;Um Chung-Mo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9 no.6
    • /
    • pp.504-514
    • /
    • 2004
  • This study compared the dentin shear bond strengths of currently used dentin bonding agents that were irradiated with an LED (Elipar FreeLight, 3M-ESPE) and a halogen light (VIP, BISCO).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wo light curing units were evaluated. Extracted human third molars were prepared to expose the occlusal dentin and the bonding procedures were performed under the irradiation with each light curing unit. The dentin bonding ag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Single Bond (3M ESPE), One-Step (Bisco), Clearfil SE bond (Kuraray), and Adper Prompt (3M ESPE), The shear test was performed by employing the design of a chisel-on-iris supported with a Teflon wall. The fractured dentin surface was observed with SEM to determine the failure mode. The spectral appearance of the LED light curing unit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halogen light curing unit in terms of maximum peak and distribution. The LED LCU (maximum peak in 465 nm) shows a narrower spectral distribution than the halogen LCU (maximum peak in 487 nm). With the exception of the Clearfil SE bond (P < 0.05), each 4 dentin bonding ag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alogen light-cured group and the LED light-cured group in the mean shear bond strength (P > 0.05). Th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absorption spectrum of camphoroquinone and the narrow emission spectrum of LED.

Micro-shear bond strength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and resin-based adhesives to dentin (상아질 위치에 따른 접착성 수복재의 미세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 Hong, Hyun-Kyung;Choi, Kyoung-Kyu;Park, Sang-Hyuk;Park, Sang-Ji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8 no.4
    • /
    • pp.314-325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종 상아질 접착 시스템과 복합 레진 및 resin-modified glass ionomer를 상아질 표면에 접착하여 재료 및 상아질내 위치에 따른 미세전단결합강도를 측정, 비교하는 것이다. 상아질 접착 시스템으로는, 3-step인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2-step인 Single Bond와 자가 부식형 시스템인 Clearfil SE Bond를, 1-step인 Prompt L-Pop을 사용하였다. 이와 함께 hybrid type의 복합 레진인 Clearfil AP-X와 2250을 사용하였으며 resin-modified glass ionomer로는 Fuji II LC를 사용하였다. 상악 소구치를 치아의 근원심 중앙부를 절단하여 상아질면을 노출시켰다. 5개 실험군으로 분류하고 상아질면을 위치에 따라 치관부의 occlusal $\frac{1}{3}$, middle $\frac{1}{3}$, cervical $\frac{1}{3}$과 치근부로 구분지어 시편을 부착하였다. 미세전단결합강도측정는 Universal testing machine(EZ-test; Shimadzu, Japan)에서 측정하였다. Occlusal 1/3부위에서는 SE가 가장 높은 값을, SM과 SB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PL, GI순으로, Middle 1/3부위에서는 $SM{\;}{\geq}{\;}SE{\;}{\geq}{\;}SB{\;}{\geq}{\;}PL{\;}{\geq}{\;}GI$순으로, cervical 1/3부위에서는 SM, SE, SB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Root dentin에서는 SM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SE, PL, GI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SE만이 치관부 상아질에 비해 치근부에서 유의할만한 결합강도의 감소를 나타냈다(p<0.05). GI는 치관부 상아질에서는 다른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나 치근부에서는 SE, PL과 유의차가 없었다.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 of different bonding systems on bleached enamel (수종의 치질 접착제의 미백 처리된 법랑질에 대한 전단접착강도 비교)

  • Kim, Kwang-Keun;Park, Jeong-W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9 no.1
    • /
    • pp.30-35
    • /
    • 2004
  • 치아 미백술은 치아의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가장 보존적인 방법의 하나로 인식되어져 왔으며 최근의 심미치과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그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술식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미백술 후 바로 접착수복을 할 경우 결합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일정시간 경과 후 접착수복 술식을 시행할 것을 권장 하고 있다. 자가산부식형 (self-etching primer system) 접착제는 기존의 접착제와 다른 성분으로 인해 치아미백제에 의한 영향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미백술을 시행한 법랑질 상에서 서로 다른 세 가지의 접착 시스템을 이용하여 미백술 후의 지연 시간이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발거한 대구치 68개를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근원심으로 절단하고 치관부를 자가중합 레진에 식립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세 가지 접착제로 $One-step^{\circledR}$, Clearfil SE Bond $primer^{\circledR}$, One-up Bond $F^{\circledR}$를 이용하였다. 각 접착제를 미백을 시행하지 않는 대조군과 미백 시행 후 바로 접착한 즉시 접착군, 그리고 2주간 생리식염수에 보관한 후에 접착한 지연군으로 나누어 총 9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접착제를 처리한 면에 Clearfil $AP-X^{\circledR}$ 복합레진을 2mm충전하고, 40초간 광중합을 시행하였다. 24시간 후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One-step^{\circledR}$의 경우, 즉시 접착군에서 지연 접착군보다 유의성 있게 낮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다. Clearfil SE $Bond^{\circledR}$의 경우, 즉시 접착군과 미백을 시행하지 않은 군간에는 접착 강도에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지연접착군에서는 낮은 강도를 나타내었다. One-Up Bond F$^{\circledR}$의 경우, 즉시 접착군에서 유의성 있게 낮은 전단접착강도를 나타내었고, 전반적인 접착 강도가 다른 두 접착제에 비해서 유의성 있게 낮은 값을 보였다. $One-step^{\circledR}$을 사용할 경우 지연접착을 하는 것이 추천되며, Clearfil SE Bond$^{\circledR}$의 경우에는 즉시 접착을 시행하더라도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One-Up Bond $F^{\circledR}$의 경우 미백술 후 접착수복 과정에 사용에 제한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influence of moisture control on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reated with self-etching adhesive system (Self-etching adhesive system에서 수분 조절이 레진의 치질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 Jin, Myoung-Uk;Kim, Young-Kyung;Park, Jeong-W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7 no.4
    • /
    • pp.363-369
    • /
    • 2002
  • 최근에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치과용 접착제는 산 부식 후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적용하는 wet-bonding 술식을 많이 추천하고 있다. 하지만 self-etching primer의 경우 산부식과 priming 과정이 동시에 시행되고, 제조자들은 건조된 치아표면에 적용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 건조된 정도에 대하여서는 별다른 추천사항이 없으며. 수분이 self-etching primer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서는 별다른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질 삭제 후 남아있는 수분이 self-etching primer의 레진 접착 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거한 대구치 96개를 이용하여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600 사포로 표면을 연마하고, 법랑질 면을 노출시킨 군과 상아질을 노출시킨 군으로 분류 후, 30분 공기 중 방치 군 (1군), 5초 공기 건조 군 (2군), 1초 공기 건조 군 (3군), 솜으로 약간의 물기를 제거한 군(blot dry) (4군) 등 총 8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Self-etching adhesive system인 Clearfil SE Bond primer를 20초간 적용하고, bonding제 도포 후 10초간 광중합 시행하였다. 접착제 처리한 치아면에 몰드를 고정한 후 Clearfil AP-X 복합레진을 2mm 충전하고, 40초간 광중합을 시행하였다. 24시간 후 전단 응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법랑질과 상아질 모두에서, 30분 건조군과 5초 공기건조군이 1초와 blot drying 군보다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실험 결과에 의하면 self-etching adhesive system을 사용함에 있어서 법랑질과 상아질군 공히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하며 수분의 존재시 치아와의 결합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에서 접착제의 적용시 수분의 조절에 주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riming time and etching effect on shear bond strength of self-etching adhesive (프라이머 처리시간과 산부식이 자가산부식 접착제의 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 Kang, In-Joo;Park, Jeong-W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9 no.2
    • /
    • pp.185-190
    • /
    • 2004
  • 자가산부식 접착제 (self-etching primer)는 법랑질과 상아질을 동시에 산부식과 프라이머 처리를 함으로 임상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임상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술자의 실수 및 타액등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약산을 이용한 산부식법이 법랑질에 대해 탈회효과 및 접착강도에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산을 이용한 추가적인 산부식 및 자가산부식 접착제의 적용시간을 달리할 경우 법랑질에 대한 접착강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35개의 발거한 우치의 법랑질 면을 #600사포로 연마한 후 9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은 부가적인 32% 인산을 처리하지 않은 군 (1~3군), 15초간 처리한 군 (4~6군), 60초간 처리한 군 (7~9군)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Clearfil SE Bond의 프라이머로 5초 (1, 4, 7군), 20초 (2, 5, 8군), 60초 (3, 6, 9군)간 처리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접착제 처리한 면에 Clearfil AP-X 복합레진을 접착하고 24시간 경과 후 전단응력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One-way ANOVA 처리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사후검증하였다. 동일한 자가산부식 프라이머 처리 시간을 가진 군에서 산 부식을 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높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인산부식 시간의 차이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1 < 4, 7군/ 2 < 5, 8군/ 3 < 6, 9군). 자가산부식제의 프라이머 적용 시간에 의한 효과는 1군(5초 적용)을 제외한 나머지 군의 경우 동일한 인산 처리군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1군 < 2, 3군/ 4=5=6군/ 7=8=9군). Clearfil SE Bond 접착제의 법랑질에 대한 접착강도는 부가적인 산부식을 통하여 증가시킬 수 있으며 프라이머의 적용 시간에 의한 효과는 제조자의 지시에 의한 시간 이상 적용할 경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Cavity Configura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Resin Composites.

  • Ryu, G.J.;Park, S.J.;Choi, K.K.
    • Proceedings of the KACD Conference
    • /
    • 2001.11a
    • /
    • pp.576.1-576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onfiguration of cavit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flexural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of resin composites. The materials used were $Clearfil^{TM}$ AP-X(Kuraray, Japan) and $Esthet-X^{TM}$(Dentsply, USA) as resin composite. Dentin-bonding systems used in the study were $Clearfil^{TM}$ SE Bond(Kuraray, Japan) and Prime & Bond $NT^{TM}$(Dentsply, USA). The specimens were prepared as 6 groups with 2 control groups and 4 experimental groups.(omitted)

  • PDF

INFLUENCE OF A SODIUM HYPOCHLORITE GEL ON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차아염소산 나트륨의 사용이 복합레진 수복물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 Yang, Kye-Sik;Kim, Dae-Eop;Lee, Kwang-Hee;Jeong, Young-Nam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0 no.1
    • /
    • pp.54-60
    • /
    • 2003
  • This study evaluated the influence of chemomechanical caries removal agent $Carisolv^{TM}$(MediTeam, Sweden) for composite resin adhesion to sound human permanent and primary dentin. The buccal/labial surfaces of 80 permanent molars and 80 primary incisors were used. Four types of adhesives and one composite resin were used; AQ Bond(Sun Medical, Japan), Clearfil SE Bond(Kuraray, Japan), Single Bond(3M, USA), Scotchbond Multi-Purpose(3M, USA) and Z100(3M, USA). One drop of $Carisolv^{TM}$(MediTeam, Sweden) was pretreated on the dentin for 0 second(control) and 60 seconds. The specimens were thermocycled for 1,000 times in baths kept 5 degrees C and 55 degrees C with a 30 seconds dwell time. Shear bond strengths were tested and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with subsequent post hoc Scheffe test at p<0.05. $Carisolv^{TM}$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hear bond strength. Shear bond strength of permanent dent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imary dentin. Clearfil SE Bond treatment groups show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and AQ Bond treatment groups showed the lowest shear bond streng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