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eaning ability test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초

광전자방출(OSEE)법을 이용한 세정성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Cleaning Ability Using Optically Stimulated Electron Emission Method)

  • 민혜진;신진호;배재흠
    • 청정기술
    • /
    • 제14권2호
    • /
    • pp.95-102
    • /
    • 2008
  • 친환경적인 대체 세정제를 채택하기 위해서는 세정제의 세정성, 환경성, 경제성을 평가하여 체계적인 선정절차에 의거하여 도입 적용하여야 하며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세정성 평가방법의 정립이 현시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세정성 평가 방법들 중 광전자방출법(optically stimulated electron emission)(OSEE)을 활용한 세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오염물은 플럭스, 솔더, 그리스, 절삭유, 그리고 그리스 35%와 절삭유 65%을 혼합하여 만든 혼합 오염물로서 세정제에 의한 이들의 세정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실에서 개발하였거나 조제한 세정제를 이용하여 세정 후 OSEE법 측정 결과와 중량법 및 접촉각측정법에 의한 세정성 평가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플럭스와 혼합오염물을 세정한 경우의 OSEE 세정효율은 중량법과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솔더와 그리스 세정의 경우는 UV를 반사 또는 흡수하여 중량법과 비교할 수 없었다. 그리고 절삭유 세정의 경우 실질적으로 눈에 보일 정도로 피세정물 표면에 오염물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량법 측정 시 100%의 세정효율을 보임으로써 중량법 측정의 한계를 보였지만 OSEE법으로는 미소잔류 절삭유의 존재를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OSEE법과 접촉각측정법의 세정성을 비교측정한 결과로 플럭스, 혼합 오염물 그리고 절삭유의 세정성 평가는 OSEE법과 접촉각측정법이 유사한 세정효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솔더와 그리스 세정은 접촉각측정법이 OSEE법보다 더욱 정밀하게 세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솔더페이스트로 솔더링 후 잔류 플럭스 오염물에 대한 준수계 세정제의 금속치구를 이용한 세정성능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s of Residual Flux Cleaning Ability by Alternative Semi-Aqueous Cleaners Using Metal Test Tools After Soldering with Solder Paste)

  • 이동기
    • 청정기술
    • /
    • 제14권2호
    • /
    • pp.103-10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솔더페이스트(solder paste)로 솔더링후 표면에 잔류하는 플럭스(flux)의 효과적인 세정성능 평가방법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솔더링시 플럭스의 퍼짐오차를 줄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 고안한 금속치구를 이용하여 1,1,1-TCE 및 플럭스 제거용 몇 가지 대표 준수계 대체세정제에 대하여 세정시간에 따른 플럭스 제거율을 무게측정법으로 측정, 비교하였다. 세정시간 변화에 따른 각 세정제의 세정효율을 측정한 결과 측정값들의 상대표준편차(RSD)가 약 4%이하로 data의 신뢰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솔더페이스트로 솔더링후 대체세정제의 잔류플럭스의 세정성능 평가시험에 본 연구에서 적용한 금속치구(metal test tool)를 이용한 평가방법이 유력한 방법으로 적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 평가방법을 적용한 결과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우수하다고 알려진 몇 가지 대표 준수계 대체세정제 중 ST100SX와 750H가 고활성 플럭스에 대한 세정력이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으나 기존의 1,1,1-TCE에 비해서는 현저히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옻나무 추출액에 의한 견직물, 나일론 직물의 염색성과 자외선 차단성 (Dyeing Properties and Ultraviolet-cut Ability of Silk and Nylon Fabrics Dyed with Rhus verniciflua Extracts)

  • 최인려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1호
    • /
    • pp.158-16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yeing property and ultraviolet-cut ability on silk 100% and nylon 100% fabrics dyed with Rhus verniciflua extract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K/S values, surface color, washing fastness, dry cleaning fastness and ultraviolet-cut ability of the silk and nylon fabrics dyed with Rhus verniciflua extracts under the various dyeing conditions. As mordanting were used Tin(II) Chloride dihydrate $(SnCl_2{\cdot}2H_2O)$, Copper(II) sulfate pentahydrate$(CuSO_5{\cdot}5H_2O)$, Iron(II)Chloride$(FeC_2{\cdot}4H_2O)$. pH was adjusted by sodium carbonate$(Na_2CO_3)$ and formic acid(HCOOH). The optimum dyeing temperature, dyeing time, and pH of the silk fabrics dyed with Rhus verniciflua extracts were $90^{\circ}C$, 100min, and in the nylon fabrics were $90^{\circ}C$, 45min. It were colored(munsell value) 6.4Y 7.5/4.1 in the silk fabrics and colored 4.3Y 6.6/5.9 in the nylon fabrics dyed with Rhus verniciflua extracts. Washing fastness and dry-cleaning fastness in the silk and nylon fabrics dyed with mordanting agent improved in $4{\sim}5$ grade. UV-A test showed that nylon fabrics a high rate of 92% with Rhus verniciflua extracts.

  • PDF

레이저 복합기의 재제조공정을 위한 전자부품 세정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Cleaning System of Electronic Components for the Remanufacturing of Laser Copy Machine)

  • 배재흠;장윤상
    • 청정기술
    • /
    • 제18권3호
    • /
    • pp.287-29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고 레이저 복합기의 재제조 과정에서 복합기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등 전자부품에 대하여 세정공정의 도입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고 세정장치 및 최적의 운전조건을 설계하였다. 1단계로 물에 의한 부식의 염려가 없는 건식세정방식으로 플라즈마세정에 의한 세정성을 분석하였다. 플라즈마세정 의한 PCB세정에서는 세정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으나 플라즈마가 전도 될 수 있는 피세정물의 금속 부분 주위에서 피 세정물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레이저 복합기의 재제조용으로는 생산성 및 경제성이 부족하였다. 2단계에서는 경제성이 있는 초음파세정방식을 위하여 현재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세정제를 포함하여 세정효율이 우수한 4종의 대체 세정제를 선정하여, 세정제의 물성을 측정하였고 세정성을 평가하였다. 준수계 세정제와 비수계 세정제보다 수계 세정제의 세정력이 우수 하였으며, 초음파 주파수가 작을수록 세정력이 우수하였다. 수계세정제 A를 사용하여 28 kHz의 초음파 세기에서 세정을 한다면 30초~1분 내에 빠른 세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단계에서는 선정된 세정제로 초음파 세정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제 부품들을 초음파 세정하여 현장에서 사용이 적합한 최적의 세정조건을 구하였다. PCB 보드 및 대전기에 대하여 최적 세정 조건을 구한 결과, 40 kHz, $50^{\circ}C$에서 1분 30초 및 2분에 세정을 끝낼 수 있었다. 수작업에 의존하거나 외부처리를 하고 있는 중소 재제조 업체들은 본 세정시스템의 도입으로 전자부품 기능의 신뢰성이 확보되며 전체적인 재제조 공정의 생산성 및 경제성 향상에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자·반도체용 스프레이 분사형 세정제에 대한 청정도 평가 (Cleanliness Test by Spray-Type Cleaning Agent for Electronic and Semiconductor Equipment)

  • 허효정;노경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6호
    • /
    • pp.688-694
    • /
    • 2009
  • PCB의 먼지 제거용 세정제로 사용되는 스프레이형 세정제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청정도를 평가하였다. 친환경적인 대체 세정제를 채택하기 위해서는 세정제의 세정성, 환경성, 경제성을 평가하여 체계적인 선정절차에 의거하여 도입 및 적용하여야 한다.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세정성 평가방법의 정립이 현시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세정성 평가 방법들 중 표면관찰평가법인 SEM-EDX(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Dispersive X-ray) 분석과 적외선열화상카메라(THERMOVISION A20 model)를 이용하여 청정도를 평가하였다. CT-2770 모델의 사운드카드를 $2{\times}2cm$로 잘라내어 스프레이 세정 전과 후의 청정도를 SEM의 이미지 분석을 통해 관찰할 수 있었고 EDX의 성분분석을 통해 먼지의 제거율을 정량화할 수 있었다. 컴퓨터의 P4T-E 모델의 마더보드와 IPC-A-36 모델의 기판을 사용, 오염물로 먼지와 철가루를 사용하여 열화상카메라로 세정 전, 후의 상온과 $50^{\circ}C$ Oven에 방치된 시간의 차이에 따른 온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치아 근관 세척용 마이크로 기포 세정 시스템 개발 및 성능평가 (Development and performance test of a micro bubble irrigation system for root canal cleaning of tooth)

  • 성길환;성재용;이명호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0-45
    • /
    • 2016
  • Elimination of the smear layer and bacteria in the root canal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endodontic treatment, and various irrigation devices have been developed. Nevertheless, it is hard to eliminate the smear layer and bacteria completely. In this paper, a micro bubble irrig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the root canal cleaning of tooth. Micro bubbles are generated when pressurized fluids passing through a porous material inside a hand-piece nozzle, and the bubbly flows excited by ultrasonic vibration are observed using a high-speed camera and a microscope. The results show that the diameter and number of bubbles increases with the applied pressure, and there found an optimum excitation frequency in order to minimize the bubble size. From in-vitro tests, it is also verified that the developed bubble irrigation system has the ability of antibacterial and infection removal. Thus, this biocompatible system would be well suited for root canal cleaning.

섬유상 여과필터의 고온 내구성 향상을 위한 테프론 코팅 연구 (Teflon coating of fabric filters for enhancement of high temperature durability)

  • 김은주;박영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2-239
    • /
    • 2011
  • Fabric fibrous filter has been used in various industrial applications owing to the low cost and wide generality. However, the basic properties of fabric materials often limit the practical utilization including hot gas cleaning. This study attempts to find new coatings of porous fibrous filter media in order to overcome its insufficient thermal resistance and durability. Teflon was one of the plausible chemicals to supplement the vulnerability against frequent external thermal impacts. A foaming agent composed of Teflon and some organic additives was tentatively coated on the glass fiber mat. The present test Teflon foam coated filter was fount to be useful for hot gas cleaning, up to $250^{\circ}C$-$300^{\circ}C$. Close examination using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Contact angle proved the binding interactions between carbon and fluorine, which implies coating stability. The PTFE/Glass foam coated filter consisted of more than 95% (C-F)n bond, and showed super-hydrophobic with good-oleophobic characteristics. The contact angle of liquid droplets on the filter surface enabled to find the filter wet-ability against liquid water or oil.

Factors affecting dental biofilm maturity assessed with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in Korean older adults

  • Shin, Na-Ri;Choi, Jun-Seon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1-362
    • /
    • 2019
  •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maturity of dental biofilm, which was assessed with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QLF-D), in a sample of Korean older adult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67 participants, aged 65 years and older.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nd tests to measure their manual dexterity and handgrip strength, which are parameters that indicate hand function abilities. To evaluate dental biofilm maturity, 804 surfaces of six index teeth were imaged using QLF-D and then quantified as ${\Delta}R$ values. All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5, 2017 to April 30, 2018.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aturity of dental biofilm (${\Delta}R$). Results: The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ctor most strongly related to dental biofilm maturity(${\Delta}R$) was manual dexterity (${\beta}=-0.326$), followed by handgrip strength (${\beta}=-0.303$) and use of interdental cleaning devices (${\beta}=-0.283$) (p<0.05). Conclusions: Manual dexterity, handgrip strength, and use of interdental cleaning devices are factors that can predict dental biofilm maturity in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Therefore, the hand function of a patient should be evaluated first, before assessing the oral hygiene status of the patient or providing him/her with oral health education, and the dental hygienist should provide differentiated oral hygiene care depending on the patient's hand function ability. Finally, dental hygienists should help older adult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such as interdental brushes and keep motivating them to use the devices more frequently.

에너지 절감형 염색기용 직접냉각수세장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irect Cooling and Washing Machine for Energy Saving-Type Dyeing Machine)

  • 한승철;김진호;김제훈;이성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85-491
    • /
    • 2012
  • 최근 국내 섬유산업의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섬유산업에서 에너지 소비는 계속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염색기는 고온 고압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염색 후 냉각을 하기 위하여 열교환기를 통한 간접냉각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간접냉각방식은 물의 소모량이 많으며 작업 시간 또한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냉각시 염액의 고착으로 인해 냉각 후 환원세정 및 수세를 수차례 하므로 에너지가 많이 소비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온 고압 액류 염색기의 열교환기에 의한 간접냉각방식을 염색기내에 냉수를 직접 공급하는 직접냉각방식으로 대체하기 위한 장치를 개발하여 기존의 염색기에 적용하여 냉각과 동시에 환원세정공정을 생략하고 수세공정을 단축시키면서 전공정을 마무리함으로써 전체 작업공정을 줄이고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는 등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직접냉각수세장치를 제안하며, 시제작품을 제작하고, 실제 염색기에 적용하여 기존의 간접 냉각 방식의 염색기와 성능, 자원 및 에너지 절감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시제작품을 적용한 염색기의 염색성 실험을 하였다.

Prototype Development of a Small Combine for Harvesting Miscellaneous Cereal Crops and its Basic Performance

  • Lee, Beom Seob;Yoo, Soonam;Lee, Changhoon;Yun, Young Tae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3권4호
    • /
    • pp.311-319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mall combine for harvesting miscellaneous cereal crops. Methods: A prototype small combine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Its specifications and basic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prototype small combine for harvesting miscellaneous cereal crops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to reflect similar specifications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combine. The prototype small combine comprises a diesel engine with the rated power/speed of 22.0 kW/2,600 rpm, three-stage primary and two-stage speed range transmission shifts, and a double acting threshing part. The maximum travel speeds of the prototype combine are approximately 0.72 m/s, 2.50 m/s, 0.30 m/s at the low, high speed range shift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while traversing in the reverse direction, respectively. The minimum radius of turning was approximately 1.50 m. In a static lateral overturning test, the prototype combine overturned neither to the right nor to left on a $30^{\circ}$ slope. The results of an oilseed rape harvesting test included the maximum operating speed of 0.32 m/s, the grain loss ratio of approximately 9.0%, and the effective field capacity of approximately 10.3 a/h. Additionally, among the outputs in grain outlet, the whole grains, damage grains, and materials other than grain (MOG) ratios accounted for 97.4%, 0.0%, and 2.6%,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prototype small combine for harvesting miscellaneous cereal crops indicates good driving ability and stability. The results of the oilseed rape harvesting test reveal that the harvesting performance must be enhanced such that the separating and cleaning parts are more suitable for each type of crop, thus reducing grain loss and foreign substances among the outputs in grain outlet. An improved small prototype combine could be used effectively to mechanize the harvesting of miscellaneous cereal crops in small family farms or semi-mountainous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