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eaner Production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2초

막생물반응기(MBR)에 의한 염료용액의 처리연구 (Decolorization of dye solution using membrane bioreactor (MBR) by Trametes versicolor)

  • 이유리;김현;박철환;이병환;김상
    • 청정기술
    • /
    • 제10권3호
    • /
    • pp.131-137
    • /
    • 2004
  • 오래 전부터 생물학적 폐수처리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나, 전통적인 염료 염색 폐수처리 방법들은 다소 비효율적이다. 최근 들어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특정 미생물이나 효소를 이용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백색부후균이 생산하는 리그닌 효소에 의한 생물처리 방법으로, 아조계(azo) 염료인 Reactive black 5를 적용하였으며, 다양한 농도에 따른 분해경향을 확인하였다. 미생물 재이용과 장기간 운전, 효율적인 유기물 제거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i)생물학적 처리와 ii)분리막 처리공정과 iii)이 두 가지를 결합한 공정의 처리 효율을 비교하였다. 결합공정을 사용하였을 때 색도제거율이 100%였으며, 총유기물(TOC) 제거율은 70% 이상으로 각 단위공정만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더 효율적인 결과를 보였다. 또한, 생물반응에서 배양말기까지 유지된 효소활성(40 U/ml laccase and 300-600 U/ml MnP)을 통해 미생물 재이용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Al 전극에 의한 염료의 전기응집에서 물질전달 특성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continuous electrocoagulation for dyestuff solution using aluminum flat plate electrode)

  • Kim, Tak-Hyun;Park, Chulhwan;Shin, Eung-Bai;Kim, Sangyong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290-291
    • /
    • 2001
  • The relationship between velocity, viscosity, diffusion coefficient, mass transfer coefficient and characteristic length and mass transfer data can be correlated by dimensionless relationship in electrolytic process. The performance of dyestuff removal was decreased as the flow rate of electrolyte was increased. It was due to the effect of retention time decreasing was superior to that of turbulent inlet mixing. Sh/Sc$\^$1/3/ vs Re plot for Al flat electrode did not showed the general tendenc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h/Sc$\^$1/3/ and Re. It can be thought that flow rate was not sufficiently high to increase the effect of mixing.

파일롯 스케일에서의 효율적인 염색폐수 처리 (Effective Textile Wastewater Treatment : Pilot-Scale Study)

  • Park, Chulhwan;Kim, Tak-Hyun;Lee, Jinwon;Kim, Seung-Wook;Kim, Sangyong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82-83
    • /
    • 2001
  • Selected microbes was applied to the treatment of textile wastewater with support particles. To enhance the treatment efficiency, biological treatment was achieved as first process. Wastewater with a COD of 870 ppm and color of 1340 PtCo unit was continuously treated in a 1.8 ton capacity reactor. In the case of combined processes, the effluent COD concentration and color were 40 ppm (95.4% reduction) and 20 PtCo unit (98.5% reduction).

청정생산기술 방향과 지역에코혁신 추진 전략 (The Future of Cleaner Production Technologies and Regional Eco-Innovation Strategy)

  • 김재연;김남규
    • 청정기술
    • /
    • 제22권4호
    • /
    • pp.316-325
    • /
    • 2016
  • 국내에 청정생산기술에 대한 개념이 도입된지 16년이 되었지만 아직도 청정생산기술에 대한 정의와 의미가 중소기업들에 확산이 되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정생산기술에 대한 개념과 구분을 살펴보고, 환경기술과 녹색기술과의 관계 그리고 국내외에서 구분하고 있는 기술 종류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중소기업들에 청정생산기술이 확산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지역에코혁신사업을 확대하는 정책 제안을 하였다.

염색가공분야에서 청정생산활동 접금방법 (Cleaner Production System in Dyeing & Finishing Its Approaching Mehods)

  • 이혜정;남창우;박영환
    • 청정기술
    • /
    • 제9권2호
    • /
    • pp.87-100
    • /
    • 2003
  • 본 연구는 청정생산기술의 개념을 염색가공분야에 도입시키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 것이다. 먼저 각 분야별 전문가로 이루어진 진단지도팀을 구성하여 대상업체에서 진행중인 제조공정 진행상태를 파악하고 사용하는 원부자재의 성능 및 환경적 분석과 폐수의 환경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원부자재(조제 및 염료)의 환경성은 TOC, CODMn, CODCr, $BOD_5$의 항목으로 평가하였고, 발생되는 폐수는 TOC, CODMn, CODCr, $BOD_5$, TDS, pH의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또 물질수지 분석과 LCA 평가 후 다음 단계로 공정, 에너지, 원부자재, 생산관리, 일반관리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한 후 그 중에서 개선 대상을 선정하고 마지막 단계에서 각 부분에 대해 지도하여 개선토록 한 후 최종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다당류 생산공정에서의 청정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leaner production technology in the production of polysaccharide)

  • 전용보;김경수;배우근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3호
    • /
    • pp.51-5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베타글루칸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정수에 대한 M/F(micro filtration) 분리막 시스템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M/F 시스템의 운전을 위하여 M/F 분리막은 Millipore(USA)사의 Pellicon 2 Cassette Filter Module HVMP $0.45{\mu}m$를 사용하였다. 플럭스는 운전압력의 상승에 따라서는 증가하며, 운전시간의 경과에 따라서는 감소하였다. 농축비가 높을수록 농축액에 남아있는 베타글루칸 제품의 회수가 효과적이었다. 베타글루칸 발효액의 재이용시 투과액의 전환수율이 42.5%로 배양 패턴에 큰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청정생산공정에서 투과액을 반응공정수로 재이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 PDF

Atmospheric Plasma application for dry cleaner, PR ashing & PI rework in the $5^{th}$ generation and beyond LCD production

  • Park, Young-Chun;Lee, Bong-Ju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421-424
    • /
    • 2003
  • An AP plasm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for the application of dry cleaner, PR ashing and PI rework in the large glass size. The technology is cost effective, environment friendly, and best fits for coming generation LCD production since the design is easily scalable to bigger size glasses. Surface cleaning results based on the contact angle study has been presented for $5^{th}$ generation LCD bare glass. PR ashing results and various parametric studies have been also presented.

  • PDF

국내 친환경공정기술 분야의 기술지도 소개 및 분석 (Introduction and Analysis of Technology Roadmap (TRM) about Eco-Friendly Process in Korea)

  • 김상용;박철환;이병환;이상훈
    • 청정기술
    • /
    • 제10권4호
    • /
    • pp.189-194
    • /
    • 2004
  • 최근 환경부와 과학기술부에서 과학기술 분야의 효율적인 발전을 도모하고자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지도를 마련하였다. 이를 위하여 산업기술동향을 분석한 후, 미래유망 기술 및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기술 등이 도출되었고, 마련된 기술지도는 산 학 연 관의 전략적 연구 및 기술개발사업 추진에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최근 친환경공정기술과 관련한 분야로, 과학기술부 국가기술지도의 '환경/에너지 프론티어 진흥' 중 '환경친화적 소재/제품 및 공정기술' 부문과 환경부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10개년 종합계획의 '친환경 공정기술' 부문에서 작성된 기술지도 내용에서 무배출 기술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해당 기술분야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연구수행에 전략수립과 효율적인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PDF

청정생산프로그램 ECOPROFIT의 국내 도입 성과분석 (A Performance Analysis of the Cleaner Production Program ECOPROFIT for Korean Regional Industry)

  • 주홍신;조병옥;박중구
    • 청정기술
    • /
    • 제15권2호
    • /
    • pp.137-14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15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오스트리아의 청정생산프로그램 ECOPROFIT을 시범 도입한 후 그 적용에 따른 성과 및 도출된 개선방안을 오스트리아의 사례와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기업에서 도출된 다양한 개선방안들은 적정 내부관리, 프로세스 변화, 내 외부 재활용, 원료물질 대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두 나라의 사례에서 도출된 개선방안 건수가 기업규모별 분포나 업종에서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은 점과 적정 내부관리가 주요 개선방안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반면에 투자대비 회수기간이 국내가 1.9년인데 비해 오스트리아는 0.5년으로 차이를 보였으며, 도출된 개선방안의 주된 미적용 사유에서도 국내의 경우 사업의 후순위, 오스트리아의 경우 기술적 문제 등으로 차이가 있었다. 국내 중소기업의 청정생산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기업의 적용 사례와 성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지속적인 정보 공유 및 성과 확산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