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y

검색결과 4,452건 처리시간 0.04초

NBR-Clay 하이브리드 막의 제조 및 물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NBR-Clay Hybrid Membranes)

  • 남상용;김영진
    • 멤브레인
    • /
    • 제14권2호
    • /
    • pp.132-14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NBR과 여러 가지의 유기화물로 처리된 MMT type의 clay를 이용하여 NBR-Clay 하이브리드 막을 용융삽입법으로 제조하였다. Internal mixer를 사용하여 clay를 NBR에 분산시켰으며, 제조된 NBR-Clay 하이브리드에서 clay의 특성피크가 다소 감소하거나 이동하는 XRD 결과로부터 clay의 층간거리가 넓어지는 고분자의 clay층간삽입을 확인하였다. Clay의 종류에 따라서 제조된 NBR-Clay 하이브리드 막의 가스투과도, 기계적 물성 및 열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NBR-Clay 하이브리드 막은 clay 자체의 도입과 층간거리의 확대로 기체분자의 tortuosity를 증가시켜서 가스투과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Gas Barrier성 SEBS (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Copolymer)-Clay 하이브리드 막의 제조 및 물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EBS (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Copolymer)-Clay Hybrid Gas Barrier Membranes)

  • 남상용;염봉열;민병렬;김영진
    • 멤브레인
    • /
    • 제15권1호
    • /
    • pp.62-6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SEBS와 여러 가지의 유기화물로 처리된 MMT (montmorillonite) type의 clay를 이용하여 SEBS-clay 하이브리드 막을 용융삽입법으로 제조하였다. clay의 함량은 5 phr (per hundred resin)로 고정하였다. internal mixer를 사용하여 clay를 SEBS에 분산시켰으며, 제조된 SEBS-clay 하이브리드에서 clay의 특성피크가 완전히 박리되거나 이동하는 XRD 결과로부터 clay의 층간거리가 넓어지는 고분자의 clay 층간삽입을 확인하였다. Clay의 종류에 따라서 제조된 SEBS-clay 하이브리드 막의 가스투과도, 기계적 물성 및 열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SEBS-clay 하이브리드 막은 clay 자체의 도입과 층간거리의 확대로 기체분자의 tortuosity를 증가시켜서 가스투과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복합체의 형태학 및 기계적 특성 연구 (A Study on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iodegradable Polymer Nanocomposites)

  • 장상희
    • 청정기술
    • /
    • 제19권4호
    • /
    • pp.401-409
    • /
    • 2013
  • 폐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오염 증가로 생분해성 고분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 L-락타이드(polylactic acid, PLA)와 폴리 L-락타이드(polylactic acid, PLA)/폴리 부틸렌 숙신산(polybutylene succinate, PBS)(90/10)수지를 기지재료로 하고 유기 크로사이트(cloisite ) 20을 나노 클레이(clay) 20으로 사용하여 이축압출기에서 Clay-20 함량별 로 압출시켜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사출성형기로 사출성형시편을 제조하여 나노복합체의 열적, 기계적, 형태학적 및 라만 분광학 특성을 시차열량분석기(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인장시험기,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copy, SEM), 라만-현미경 분광광도계로 조사하였고, 또한 가수분해특성을 조사하였다. 시차열량분석기와 주사전자현미경 시험 결과에서 PLA/Clay-20과 PLA/PBS/Clay-20 나노복합체의 결정화도가 Clay-20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Clay-20과 PLA 및 PLA/PBS 수지가 서로 상용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Clay-20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두 나노복합체의 인장강도는 감소하지만 신도, 충격강도, 인장탄성률 및 굴곡탄성률이 증가하였다. 특히 Clay-20이 5 wt% 첨가된 PLA/Clay-20과 PLA/PBS/Clay-20 나노복합체의 충격강도는 순수 PLA와 PLA/PBS (90/10) 보다 2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Clay-20 3 wt% 첨가된 PLA/Clay-20 나노복합체의 가수분해속도는 순수 PLA 가수분해속도보다 두 배 정도 빨랐다. 이는 유기화 처리된 Clay-20 나노입자 표면의 친수성으로 계면에서 가수분해가 쉽게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적당량의 Clay-20 첨가로 PLA의 기계적특성 개선과 생분해 특성 조절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Gas Barrier성 Ionomer-Clay 하이브리드 막의 제조 및 물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Ionomer-Clay Hybrid Gas Barrier Membranes)

  • 남상용;구형서;김인호;김영진;주대성;박지순;김진학
    • 멤브레인
    • /
    • 제14권4호
    • /
    • pp.320-32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ionomer와 여러 가지의 유기화물로 처리된 MMT type의 clay를 이용하여 ionomer-clay 하이브리드 막을 용융삽입법으로 제조하였다. Twin extruder를 사용하여 clay를 ionomer에 분산시켰으며, 제조된 ionomer-clay 하이브리드에서 clay의 특성피크가 완전히 박리되거나 이동하는 XRD 결과로부터 clay의 층간거리가 넓어지는 고분자의 clay 층간삽입을 확인하였다. Clay의 종류에 따라서 제조된 ionomer-clay 하이브리드 막의 가스투과도, 기계적 물성 및 열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ionomer-clay 하이브리드 막은 clay 자체의 도입과 층간거리의 확대로 기체분자의 tortuosity를 증가시켜서 가스투과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y의 종류 및 표면처리가 silicone rubber/clay 복합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al Properties of Silicone Rubber/Clay Composites According to the Clay Type and Modification)

  • 윤진산;김응수;김은정;이태화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4권3호
    • /
    • pp.260-268
    • /
    • 2009
  • Clay의 표면을 bis[(3-triethoxysilylpropyl)tetra sulfide (TSS)으로 처리하면 clay 표면의 소수성이 증가 될 뿐만 아니라 high temperature vulcanization 형 silicone rubber(HTV)와 화학적 반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clay와 silicone rubber 사이의 상용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TSS를 이용하여 Na-MMT와 Fe-MMT의 silicate 층 표면에 tetra sulfide 그룹을 도입시킨 Na-$MMTS_4$와 Fe-$MMTS_4$를 각각 제작하였다. 이들 clay를 HTV silicone rubber와 compounding하여 silicone rubber/clay composites를 제작하였으며, clay의 종류 및 표면개질에 따른 silicone rubber 복합체의 열적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고분자-점토 나노복합체에 관한 계면활성제의 개질 영향 (Modified Effects or Surfactants with Polymer-Clay Nanocomposites)

  • 김홍운;방윤혁;최수명;임경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0-299
    • /
    • 2006
  • This article investigated to polymer-clay nanocomposite, especially in interfacial respect clay structure, its dispersion into polymer matrix, and clay modification is studied. The cationic exchange of surfactants with clay gallery results in preparing organo-clay capable of compatiblizing to monomer or polymer and increasing interlayer adhesion energy due to expansion of interlayer spacing. The orientation of surfactant in clay gallery is affected by chemical structure and charge density of clay, and interlayer spacing and volume is increased with alkyl chain length of surfactant, or charge density of clay. Also, the interaction between clay and polymer in preparing polymer-clay nanocomposite is explained thermodynamically. In the future, the study and development of polymer-clay nanocomposite is paid attention to the interfacial adhesion, clay dispersion within polymer, mechanism of clay intercalation or exfoliation.

Amino Silane, Vinyl Silane, TESPD, ZS (TESPD/Zinc Complex) Effects on Carbon Black/Clay Filled Chlorobutyl Rubber (CIIR) Compounds Part III: Comparative Studies on Hard Clay and Soft Clay Filled Compounds

  • Kim, Kwang-Jea
    • Carbon letters
    • /
    • 제10권3호
    • /
    • pp.190-197
    • /
    • 2009
  • Various silanes, amino silane, vinyl silane, sulfur silane (TESPD), and ZS (TESPD/zinc soap complex), are added into chlorinated isobutylene-isoprene copolymer (CIIR)/soft clay/carbon black (CB) and CIIR/hard clay/CB compounds and they a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vulcanization characteristics, the processability,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Comparing hard clay and soft clay filled compounds, hard clay (Suprex) filled system shows a higher die C tear than the soft clay (GK) filled one. The other properties (Mooney, extrusion torque/pressure, torque rise ($M_H-M_L$), modulus at 300%) are close to each other. Among various silanes, the ZS treated hard clay (Suprex) compound shows the highest mechanical property following hard clay(S)/vinyl silane(V) and soft clay(GK)/vinyl silane(V) compounds. The TESPD and the ZS effectively helps a formation of a strong 3-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between silica and CIIR via coupling reaction due to bifunctional nature of TESPD. In addition to that, the ZS added compounds show both a better proces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compared to the S2 ones at low concentration due to improved compatibility between zinc soap and CIIR matrix. Only the ZS added compound shows both improved processabilities (Mooney, Extrusion torque-& pressure) and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degree of crosslinking, elongation modulus, tear, and fatigue to failure counts) on both CIIR/hard clay/CB and CIIR/soft clay/CB compounds.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해질 - 술폰화된 SEBS (SSEBS)-clay 하이브리드 막의 제조 및 물성 - (Organic/inorganic Hybrid Electrolytes for the Application of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ulfonated SEBS (SSEBS)-clay Hybrid Membranes -)

  • 남상용;박병길;공성호;김영진
    • 멤브레인
    • /
    • 제15권2호
    • /
    • pp.165-17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SEBS와 여러 가지의 유기화물로 처리된 MMT type의 clay를 이용하여 SSEBS-clay 하이브리드 막을 용액법으로 제조하였다. clay의 함량은 5 phr로 고정하였다. 용액법을 사용하여 clay를 SEBS에 분산시켰으며, 제조된 SSEBS-clay 하이브리드에서 clay의 특성피크가 완전히 박리되거나 이동하는 XRD 결과로부터 고분자의 clay 층간삽입을 확인하였다. Clay의 종류에 따라서 제조된 SSEBS-clay 하이브리드 막의 가스투과도, 기계적 물성 및 열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SSEBS-clay 하이브리드 막은 clay 자체의 도입과 층간거리의 확대로 기체분자의 tortuosity를 증가시켜서 가스투과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육계의 사료원으로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의 평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valuation of Spent Bleaching Clay as a Feed Ingredient in Broiler Chicks)

  • 전해열;손장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9-104
    • /
    • 2007
  • 본 연구는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를 육계 사료 원료로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는 대두유의 정제 과정에서 생산되어지며, 생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속에는 조지방(26.0%)과 조회분(68.3%)은 풍부하나, 수분(5.2%)과 조단백질(0.5%)의 함량은 낮게 평가되었다.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와 대두유의 산가는 각각 9.72 및 0.001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뿐만아니라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의 과산화물가는 대두유보다 유의하게 높아서(P<0.05)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의 빠른 산패 가능성을 시사한 결과이다. 그러나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의 산패는 인공적인 방법으로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의 육계 사육에서의 $2.0{\sim}4.0%$의 첨가는 사료 섭취량, 증체량 및 사료 효율을 개선시켰다. 결론적으로 육계 사료에 $2.0{\sim}4.0%$의 식용유 정제 폐백토(spent bleaching clay)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Egg-Cam Clay 모델 제안 및 지중매설관의 보강효과의 탄소성모델 해석 (The Introduction of Egg-Cam Clay Model and Elasto-Plastic Analysis of Reinforcement Effect on Buried Pipe)

  • 안태봉;조삼덕;김진만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5-1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지중내에 설치한 매설관에 작용하는 응력-변형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약지반의 수축과 팽창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Egg-Cam Clay 모델을 소개하였다. 기존에 사용하던 Cam Clay 모델은 연약지반의 수축 및 팽창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Cam Clay 모델을 수정하여 Egg-Cam Clay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지중내의 매설관에 작용하는 응력-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오그리드, EPS 지오폼을 매설관과 함께 설치하였다. 탄소성모델을 이용하여 현장에 시험시공한 여러 단면에 유한요소해석한 결과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