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ification of combustible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화재하중을 통한 사찰의 화재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Risk Assessment of the Temple Using Fire Loads)

  • 김수영;신영주;박영주;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09-415
    • /
    • 2008
  •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fire risk assessment of the temple using fire loads and the classification of combustibles. The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s were classified as walls, beam-columns, floorings, ceiling panels and the loading combustibles were classified into fixed materials and movable materials.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total fire load of the Palsangjeon was $368\;kg/m^2$. The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93.8 percent of the total fire load and the loading combustible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6.2 percent.

  • PDF

국내 랙크식 창고 수용물품 등급분류를 위한 현장조사 (A Field Survey of Rack-Type Warehouse for Commodity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 김운형;이영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98-105
    • /
    • 2016
  • 물류창고 화재위험성은 보관물품, 포장재 및 파렛 등의 가연성과 화재하중 그리고 창고 내부 천장높이, 랙크 등의 저장높이와 배치, 통로 폭 등에 따라 결정된다. 물류창고의 소화 또는 진압대책은 이러한 주요 인자를 고려한 가연물 등급 분류기준을 마련하고 스프링클러설비 설계기준을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물류창고의 자동식스프링클러 적용을 위한 첫 단계로서 경기도 소재 5개 물류단지 내 28개 창고 동을 대상으로 수용물품의 분포 및 창고 공간특성을 현장 조사하였다. 아울러 미국 유럽 및 일본의 물품 분류기준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물류창고 수용물품의 등급분류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전통재래시장 상가간의 구역 구분에 따른 화재강도 분석 (Analysis of Fire Intensity According to the Zones Classification in Traditional Market Stores)

  • 김태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54-16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전통재래시장 상가 간 내연성 구획 벽 설치에 따른 화재강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구 서문시장 4지구 상가 일부분을 대상으로 모델링을 실시하였으며 섬유, 의류와 같은 가연물을 통로 인근에 배치하여 2016년 화재발생 당시와 유사한 조건으로 해석을 진행하였다. 최초발화지점은 4번째 상가 적치물에서 전기합선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구획 벽이 없는 경우 최초발화지점에서 방사형태로 급속도로 화재가 전파되며, 600초 이후 30 ㎡의 상가를 전소시켰다. 상가간 구획 벽을 설정한 경우 화재저항으로 인해 화재의 확산을 구획지역내부로 한정시킬 수 있었다. 열발생율이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하는 200초(X1)에서 600초(X2)까지 총 발생한 열에너지를 통해 두 해석조건의 화재강도를 예측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발화지점 인근의 구획 벽 설정을 통하여 해석한 결과 약 11.12 MW(55.68 %)의 열에너지 발생을 지연시킴을 확인하였다. 추후 구획 벽의 배치 및 재연설비 설치에 따른 연기제어에 대한 추가 해석을 수행함으로서 전통재래시장에서의 종합적인 화재특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